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5726 | |
005 | 20230816142024 | |
007 | ta | |
008 | 230807s2023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56769783 ▼g 93690 | |
035 | ▼a (KERIS)BIB000016806899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612.044 ▼2 23 |
085 | ▼a 612.044 ▼2 DDCK | |
090 | ▼a 612.044 ▼b 2023z1 | |
100 | 1 | ▼a 정일규 |
245 | 1 0 | ▼a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 ▼x Human performance & exercise physiology / ▼d 정일규 저 |
246 | 3 1 | ▼a Human performance and exercise physiology |
250 | ▼a 제2전정판[실은3판] | |
260 | ▼a 서울 : ▼b 대경북스, ▼c 2023 | |
300 | ▼a 728 p. : ▼b 천연책삽화, 도표 ; ▼c 28 cm | |
504 | ▼a 참고문헌(p. 672-695)과 색인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 청구기호 612.044 2023z1 | 등록번호 151364641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2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30여년 간 꾸준히 사랑받아 온 운동생리학 레퍼런스
최신의 이슈와 연구성과 반영, 새롭게 밝혀진 메커니즘 수록
1994년 《운동생리학》이라는 제목으로 간행된 이후 체육/스포츠/보건계열의 전공필수 서적으로 꾸준히 사랑받아 온 운동생리학 텍스트의 결정판. 2005년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이라는 제목으로 재간되고, 2011년 개정된 후 10년 만에 최신 이슈와 연구성과, 새롭게 규명된 메커니즘 등을 대폭 수록하며 개정 증보되어 재간행되었다.
30여년 간 꾸준히 사랑받아 온 운동생리학 레퍼런스
최신의 이슈와 연구성과 반영, 새롭게 밝혀진 메커니즘 수록
30여 년 전 저자가 대학에 자리잡으며 처음으로 집필했던 《운동생리학》 이후 이 책은 실제적으로는 세 번째 전정판에 해당한다. 1994년에 최초로 간행된 《운동생리학》은 예상치 못한 큰 사랑을 받아서 많은 대학에서 텍스트북으로, 임용고사 등을 위한 학습서로 사랑을 받아 왔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2005년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이라는 제목으로 재간행된 후. 2011년에 전정판을 내고 10년이 넘은 지금에서야 다시 제2전정판이 발간되기에 이르렀다.
기초가 부족한 사람이라도 운동생리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쓰면서도 그 안에 가장 최근의 정보, 심층적인 지식을 담는 것이 저자의 목표였다. 이해하기 쉬운 책의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은 지식을 체계화시키는 것으로, 가장 필요한 두 요소는 지식의 카테고리화와 단계화이다. 지식의 카테고리화는 마치 도서관에서 분야별로 서가를 정리하듯이 지식을 재분류하고 정리하여 제시하는 것이고, 지식의 단계화는 어떤 지식을 배우고 나서 그 지식을 바탕으로 다음 단계의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주도면밀하게 지식을 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저자는 지난 2년여 동안 전정판을 구상하면서 국제학술지를 중심으로 적어도 천 편이 넘는 논문들을 찾아보고, 그중에 족히 500여 편의 논문은 정독하면서 지난 10년간 새롭게 밝혀진 연구성과나 기전적 설명을 담으려고 노력했다. 그러면서도 요즘 텍스트북은 단순한 수험서로 이용되는 경향이 있어, 이러한 흐름에 반하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들기도 했다고 후술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구심을 떨쳐낼 수 있었던 것은 처음 책을 썼을 때, 그리고 전정판을 낼 때마다 당시로서는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많이 담고 있었지만 -그래서 공부하기에 너무 벅차다고 평가받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운동생리학의 세계에 이끌려 지적인 탐험을 떠나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었다고 이야기한다.
그리하여 운동생리학을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워나가 궁극적으로는 대학원 수준의 지식까지 쌓고자 하는 의욕을 가진 사람들, 그래서 운동생리학을 공부하며 ‘알아가는 재미’를 느끼게 될 사람들을 위하여 《휴먼 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제2전정판》은 완성되었다.
아무쪼록 이 책이 체육․스포츠․보건 계열의 전공자들과 현장의 지도자들, 그리고 퍼스널 트레이너들에게 운동생리학의 교과서이자 참고서로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일규(지은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 미국 Auburn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 미국 Texas Woman’s University Research Scholar 미국 Master Fitness Specialist(Cooper Institute, Dalllas, Tx) 대한스포츠의학회 이사, 한국통합의학회 이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간행위원, 전문위원 대전시 대덕구보건소 자문위원 한국운동생리학회 학술이사 한국발육발달학회 부회장 한국운동영양학회 부회장 대한건강운동관리사 협회 부회장 한국사회체육학회 편집위원장 겸 부회장 국민생활체육회 자문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체육학회 부회장 한국사회체육학회 회장 및 명예회장 역임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 스포츠과학과 교수 역임 현 한남대학교 명예교수 서울송도병원 면역진료팀 자문교수 저서 휴먼퍼포먼스와 운동생리학 휴먼퍼포먼스와 운동영양학 트레이너가 꼭 알아야 할 99가지 진실과 거짓 굿다이어터를 위한 지혜서 뇌섹트를 위한 고급지식 외 다수 국내외 논문 및 학술발표 One-year Aerobic Interval Training Improves Endothelial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Randomized Trial. Internal Medicine(advanced publication): doi: 10.2169/internalmedicine.0947-22. 2023. 01. 외 260여 편.

목차
Chapter 1. 운동생리학 입문
1.1 운동생리학의 정의
1.2 운동생리학의 필요성
1.3 인체구조의 도식화
Chapter 2. 생리학의 기초
2.1 세포
2.2 인체 에너지원과 핵산
Chapter 3. 에너지대사
3.1 인체의 에너지
3.2. ATP 생성체계
3.3 인체 연료의 상호 전환과 대사 연결
Chapter 4. 에너지대사의 적응과 연료의 이용
4.1 인체 에너지대사의 특징과 적응
4.2 운동 시 연료의 이용과 피로
4.3. 운동과 탄수화물 섭취
4.4. 대사기능에 미치는 운동 훈련의 효과
Chapter 5. 운동과 근육계통
5.1 뼈대근육의 구조
5.2 근육수축기전
5.3 근육섬유의 종류
5.4 근육섬유 형태와 운동수행력
5.5 훈련과 근육섬유의 분포
5.6 근육섬유의 동원과 근글리코겐의 이용
5.7 근육수축의 종류
5.8 근육수축과 근력의 발휘
5.9 근력의 결정요인
5.10 훈련과 근육계통의 적응
Chapter 6. 운동과 신경계통
6.1 말초신경계통의 개요
6.2 신경세포의 구조와 기능
6.3 신경세포의 재생과 운동
6.4 세포막전압과 자극전달의 원리
6.5 신경연접부
6.6 근력의 신경성 조절
6.7 고유수용기와 근력의 말초성 조절
6.8 자율신경계통과 운동
6.9 중추신경계통과 운동
6.10 근력향상과 신경계통 트레이닝
6.11 정보처리능력과 신경지배경로 형성
Chapter 7. 운동과 순환계통
7.1 심장의 구조와 기능
7.2 심장의 조절기전
7.3 운동 시 심박수의 조절
7.4 운동과 심박출량
7.5 운동과 혈류변화
7.6 운동과 혈압
7.7 운동과 혈액
7.8 훈련과 순환계통 적응
7.9 순환계통의 개선과 최대산소섭취량
Chapter 8. 운동과 호흡계통
8.1 호흡기관의 구조와 기능
8.2 호흡역학
8.3 안정 시 및 운동 시 환기작용
8.4 가스교환
8.5 가스의 운반
8.6 환기능력과 기타 고려사항
Chapter 9. 인체수행력의 지표와 평가
9.1 에너지대사량의 측정
9.2 호흡교환율
9.3 운동 시 에너지 소비
9.4 운동 후 초과산소소비량(EPOC)과 산소부채
9.5 최대산소섭취량 검사와 유산소성 지구력
9.6 무산소성역치
9.7 무산소성 파워와 무산소성 능력
9.8 최대하검사를 통한 최대유산소능력의 측정
9.9 필드에서의 유산소능력검사
Chapter 10. 운동과 내분비계통
10.1 호르몬의 종류와 분비양식
10.2 호르몬의 작용기전
10.3 호르몬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4 내분비샘과 호르몬
Chapter 11. 콩팥과 산·염기평형
11.1 콩팥의 구조
11.2 콩팥의 기능
11.3 운동과 콩팥의 반응
11. 4 운동과 산·염기평형
Chapter 12. 체성분과 체지방
12.1 체성분의 측정
12.2 비만
12.3 체중조절 시 고려사항
12.4 체중조절과 운동
12.5 운동과 국부지방
12.6 체중감량을 위한 운동강도
12.7 체중감량을 위한 운동계획 수립
12. 8 체중감량을 위한 운동의 이점
Chapter 13. 운동과 환경조건
13.1 체온조절
13.2 열전도의 물리적 기전
13.3 체온조절기전
13.4 열 환경에서의 운동
13.5 추운 환경에서의 운동
13.6 고지환경과 운동
13.7 수중에서의 운동
13.8 대기오염과 운동
Chapter 14. 운동과 면역계통
14.1 림프계통
14.2 면역계통
14.3 운동과 면역
14.4 암과 운동
Chapter 15. 부록
정보제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