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겨울 공화국의 작가들 : 박정희 시대 한국문학과 저항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Ryu, Youngju 이형진, 역 정기인, 역
Title Statement
겨울 공화국의 작가들 : 박정희 시대 한국문학과 저항 / 유영주 지음 ; 이형진, 정기인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소명,   2023  
Physical Medium
318 p. ; 23 cm
Varied Title
Writers of the winter republic : literature and resistance in Park Chung Hee's Korea
ISBN
9791159057854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01-310)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5714
005 20230807142634
007 ta
008 230807s2023 ulk b 001cu kor
020 ▼a 9791159057854 ▼g 93810
035 ▼a (KERIS)BIB000016788578
040 ▼a 243007 ▼c 243007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895.709 ▼2 23
085 ▼a 897.09 ▼2 DDCK
090 ▼a 897.09 ▼b 2023z3
100 1 ▼a Ryu, Youngju
245 1 0 ▼a 겨울 공화국의 작가들 : ▼b 박정희 시대 한국문학과 저항 / ▼d 유영주 지음 ; ▼e 이형진, ▼e 정기인 옮김.
246 1 9 ▼a Writers of the winter republic : ▼b literature and resistance in Park Chung Hee's Korea
260 ▼a 서울 : ▼b 소명, ▼c 2023
300 ▼a 318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01-310)과 색인수록
546 ▼a 영어로 된 원저작을 한국어로 번역
700 1 ▼a 이형진, ▼e
700 1 ▼a 정기인, ▼e
900 1 0 ▼a 유영주,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Newly arrived Books Corner/ Call Number 897.09 2023z3 Accession No. 15136462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26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겨울 공화국'은 박정희 군부 독재에 주어진 인상적인 이름이었고, 이 명명식에 참석한 열광적인 군중들 앞에서 낭송된 미출간 시의 제목이기도 했다. 이는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국가 권력에 대한 강렬한 은유가 되었다. 유례없는 정치적 억압의 시기 속 전례없는 급속한 경제 발전의 시기, 김지하, 이문구, 조세희, 황석영, 이들 겨울 공화국의 작가들은 혼란스러운 시기에 등장했다.

이 시대는 정치적 억압과 검열로 인해 어렵기도 했지만, 그런 시대에도 문학의 실천과 일상적인 관련성을 동시에 확장한 이유와 방법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이 책은 이 시대를 형성한 인물들의 삶과 작품을 다루며 그 시대의 문학, 문화, 정치사를 조명한다.

유례없는 정치적 억압의 시기 속 전례없는 급속한 경제 발전의 시기
김지하, 이문구, 조세희, 황석영
이 시대는 정치적 억압과 검열로 인해 어렵기도 했지만, 그런 시대에도 문학의 실천과 일상적인 관련성을 동시에 확장한 이유와 방법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이 책은 이 시대를 형성한 인물들의 삶과 작품을 다루며 그 시대의 문학, 문화, 정치사를 조명한다.


‘겨울 공화국’은 박정희 군부 독재에 주어진 인상적인 이름이었고, 이 명명식에 참석한 열광적인 군중들 앞에서 낭송된 미출간 시의 제목이기도 했다. 이는 민주주의를 억압하는 국가 권력에 대한 강렬한 은유가 되었다.
1975년 2월 12일 밤, 전라도 광주에서 젊은 고등학교 교사 양성우는 「겨울 공화국」이라는 시를 낭독하였다. “총과 칼로 사납게 윽박지르고 / 논과 밭에 자라나는 우리들의 뜻을 / 군화발로 지근지근 짓밟아대고”와 같은, 이 시의 꾸밈없고 맹렬한 구절은 생생하게 국가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삼천리”는 “화약냄새 풍기는 겨울 벌판”으로 변해 버렸다. 사람들은 이제 모든 곳에서 “뼈 가르는 채찍질을 견뎌내야 하는 / 노예다 머슴이다 허수아비다”. 그러나 여전히 시인은 “겨울 벌판에 / 잡초라도 한 줌씩 돋아나야”한다고 말한다. 결국, 시인은 마지막 연에서 자연법칙에 어긋나고 봄의 해동을 막아버린 비뚤어진 정치권력에, 구속된 신체의 일그러진 고통으로라도 저항하기를 촉구한다. “묶인 팔다리로 봄을 기다리며 / 한사코 온몸을 버둥거려야 / 하지 않은가.”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유영주(지은이)

미시간대학교 부교수. 2006년 UCLA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대 한국문학 전공으로, 현대 한국의 시위의 정치와 미학, 독재의 문화, 종속된 대중(mediatized publics)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책으로 Writers of the Winter Republic : Literature and Resistance in Park Chung Hee’s Korea는 Foreign Affairs에서 2016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었으며,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에서 제임스 팔레상을 수상했다. 독재시기 한국에 대한 관심으로 Cultures of Yusin: South Korea in the 1970s을 출간했다. 현재 팟캐스트 등의 포스트-방송 포맷이 포함된 미디어의 분석적 렌즈를 통해 196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역사를 재조명하는 책을 집필하고 있다.

정기인(옮긴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교수. 동경외국어대학 특임준교수 역임. 한국 근대시, K-pop 가사 및 뮤직비디오, 해외한국학, 번역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책으로 『한국 근대시 형성과 한문맥의 재구성』은 2018 지훈신진학술상을 받아서 출간되었다. 그 외 책으로 『韓国文学を旅する60章』(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Fields of Revision: Adaptations of Wren’s Elegy by Mo Yun-suk and Kim Ki-young”(공저), 「경전에서 텍스트로-20세기 초 『詩經』에 대한 근대 시인들의 인식 변화」,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친밀한 제국-한국과 일본의 협력과 식민지 근대성』(공역) 등이 있다.

이형진(옮긴이)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특임교수.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글쓰기교실 연구교수, 일본 도쿄대학 대학원 한국조선문화연구과 특임준교수, 일본 와세다대학 국제교양학부 조교수(비정년) 등을 역임. 한국현대소설 전공으로, 여성 표상, 번역, 비교문학 등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 「문학출판과 한류-일본에서의 한국현대소설 번역약사 (1)」(공저), 「나도향의 연애 서사와 사랑의 불가능성」, 「나도향, 번역 그리고 여성-번역된 팜므 파탈의 조선적 운명」, 「최인호 소설의 대중성과 여성 표상-『별들의 고향』의 서사전략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등이 있으며, 『韓国文学を旅する60章』의 저자 중 한 명으로 참여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감사의 말

서론

제1장
법정에 서다 김지하의 오적
자유세계 안에 겨울 공화국 위치시키기-역사적 맥락들
「곡哭 민족적 민주주의」-한일 관계 정상화, 법정에 서다
「오적」-판소리와 풍자
‘필화’-법정에 선 시인

제2장
정체성보다 인접성 이문구의 이웃들
근대의 묘지-『장한몽』
구어성과 문어성-『관촌수필』
적대(Antagonism)에서 경합(Agonism)으로-『우리 동네』
인접성과 정체성

제3장
저지된 발전 조세희의 난쟁이
계간지 시대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위상학과 정신분석학
이웃 사랑과 몽타주
‘대립의 미학’-사랑과 법
환상과 과학
『난쏘공』, 30년 후

제4장
행동 요청 황석영의 떠돌이들
정지整地 작업-「삼포가는 길」
도시로-「줄자」와 「이웃사람」
잔치-「돼지꿈」
힘에서 연대로-「장사의 꿈」
경향성에서 위기로-「객지」
광대로서의 작가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연여름 (2023)
가람기념사업회 (2023)
이병철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