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5510 | |
005 | 20230803164917 | |
007 | ta | |
008 | 230802s2023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46074552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6805542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02.30285 ▼2 23 |
085 | ▼a 302.30285 ▼2 DDCK | |
090 | ▼a 302.30285 ▼b 2023 | |
100 | 1 | ▼a Klein, Adam ▼q (Adam G.) |
245 | 1 0 | ▼a 온라인 세계의 극단주의 : ▼b 광신, 인종차별, 분노 / ▼d 애덤 클라인 지음 ; ▼e 한정라 옮김 |
246 | 1 9 | ▼a Fanaticism, racism, and rage online : ▼b corrupting the digital sphere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 ▼b 한울엠플러스, ▼c 2023 | |
300 | ▼a 270 p. : ▼b 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한울아카데미 ; ▼v 2455 |
504 | ▼a 참고문헌(p. 249-264)과 색인수록 | |
650 | 0 | ▼a Online social networks ▼x Moral and ethical aspects |
650 | 0 | ▼a Online hate speech |
700 | 1 | ▼a 한정라, ▼e 역 |
830 | 0 | ▼a 한울아카데미 ; ▼v 2455 |
900 | 1 0 | ▼a 클라인, 애덤,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30285 2023 | 등록번호 1118834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2.30285 2023 | 등록번호 12126475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2.30285 2023 | 등록번호 1118834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02.30285 2023 | 등록번호 12126475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온라인 세계의 주류 문화에 ‘혐오 문화’가 침투하는 현상을 비판적으로 탐구한 책이다. 인터넷이 보급되기 이전에 혐오단체들은 자신들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기 위해 팸플릿, 자체 출판, 지방 라디오 같은 비효율적인 대중매체에 의존했다. 그러나 오늘날 혐오단체들은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검색엔진 등 온라인 세계의 구석구석에 침투하여 클릭 한 번으로 혐오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우리 삶에 가까이 침투했다.
이 책은 혐오 문화가 온라인 세계에 침투하는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혐오 문화를 접하게 되는 맥락을 알 수 있게 한다. 이 책에 따르면 혐오 사이트들은 외양을 일상 정치 블로그나 소셜 네트워크처럼 보이게 만들고 그들의 논증을 본뜨는데, 여기서 혐오발언은 세탁되어 ‘정보’ 형태로 변형된다. 그러면 온라인 세계의 정보 탐색자들은 검색엔진,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도 모르게 그 사이트로 들어가 정보의 형태로 위장된 혐오를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이 책은 인종차별과 분노, 맹목적인 믿음으로 점철된 ‘혐오’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이미 우리 안에 스며들어와 있음을 인식하게 하고, 이러한 현상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미디어 해독력을 제공해 준다.
혐오단체는 어떻게 자신들의 생각과 목표를 온라인 세계의 문화로 각색했는가?
인터넷은 어떻게 혐오발언을 퍼뜨리는 매개체가 되었는가?
온라인 세계의 ‘혐오 문화’를 파헤치다
이 책은 미국에서 활동하는 혐오단체, 즉 백인민족주의, 반이민, 반유대주의, 반기독교, 반이슬람교, 반LGBT, 흑인분리주의 등이 자신들의 진짜 본성을 은폐하면서 자신의 명분에 대한 정당성과 대중의 지지를 구축하기 위해 어떻게 주류 디지털 문화에 성공적으로 침투했는지를 탐구한다. 저자는 온라인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혐오집단들의 재기와 성공적인 탈바꿈에는 ‘인터넷’이 기회로 작용했음을 강조하고, 혐오발언이 ‘정보’로 세탁되어 온라인 이용자들에게 가닿는 네 가지 경로를 안내한다.
온라인 세계에서 정보로 위장된 ‘혐오’를 만나게 되는 경로는 합법적이고 신뢰할 만한 출처들로 이어지는 경로와 동일하다. 이 책은 그 경로를 검색엔진(발견), 뉴스와 위키(정보), 정치 블로그(의견), 소셜 네트워크와 동영상 공유(표현)라는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본다. 여기서 검색엔진이나 위키는 온라인 이용자가 검색한 것과 연관된 주제로 바로 넘어갈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는데, 혐오 웹사이트들도 거기에 있다. 이런 링크는 그야말로 현실 세계에는 없는 상호 연결이다. 또한 소셜·공유 네트워크들은 혐오단체들이 ‘넷 세대’를 모집하는 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저자는 혐오단체들이 자신들의 메시지를 온라인 정보와 커뮤니티의 주제로 각색하는 데 열을 올리는 이유가 회원 모집, 특히 대학생과 청년 모집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넷 세대가 온라인 세계의 문지기로서 역할 해야 함을 강조한다.
정치, 과학, 교육의 모습으로 그럴듯하게 겉모습을 위장한 혐오발언,
혐오발언의 새로운 목소리는 대중문화와 정치의 언어로 말해지고 있다!
교육의 얼굴로 혹은 정치적 명분으로 가장한 온라인 혐오집단들은 혐오를 직접 드러내지 않고도 문화적 편협에 불을 지피는 법을 배웠다. 그들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혐오의 상징에서 벗어나, 국내 정치와 대중문화 쟁점과 같이 보다 일상적인 뉴스 항목에 관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인터넷상에서 이러한 주제들은 매일의 뉴스 피드나 온라인 사설과 같이, 사람들이 읽도록 의도된 웹사이트 포럼에 조심스럽게 엮여 있다. 여기서 뉴스 기사 대부분은 하나하나 그 자체만 두고 보면 정확한 정보 요소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잠시 뒤로 물러나 주어진 혐오 웹사이트의 모든 기사와 사설, 포럼을 관찰하면, 이런 개별 정보는 혐오 기반 기사를 끊임없이 제공하는 더 커다란 메커니즘의 일부임이 분명해진다. 이 맥락에서 이러한 콘텐츠들은 주의 깊게 선택되고 강조되며, 어떤 경우에는 오직 뚜렷한 인종차별주의적 관점만을 전달하기 위해 작성자가 이를 추리기도 한다. 이제 온라인 세계에서 수많은 편협의 언어들은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관계로 수렴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때 정치적 극단주의에서 인종차별주의를, 또는 사회적 논평에서 혐오발언을 가려냈던 구분선들이 점점 더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 책은 혐오발언을 간파해 내는 미디어 해독력을 제공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애덤 클라인(지은이)
미국 페이스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조교수다. 미디어와 정치의 급진적 목소리에 대한 그의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이론(Communication Theory)≫과 ≪커뮤니케이션 모노그래프(Communication Monographs)≫에 게재되었다. 또한 그는 뉴욕퍼블릭라디오(WNYC)의 <테이크어웨이(The Takeaway)>의 게스트이자 학술 뉴스 사이트인 ≪컨버세이션(The Conversation)≫의 기고가다. 그의 글들은 ≪뉴리퍼블릭(New Republic)≫,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 및 ≪로 스토리(Raw Story)≫에 실렸다.
한정라(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사회과학 방법론에 관심을 기울이며 철학 박사과정과 페미니즘 연구 과정을 수료했다. 『미묘한 전쟁』, 『마음과 몸의 문제』, 『자유의지』, 『근대과학 형성과 가내성』 등을 번역했다.

목차
1장 | 서론 부패하는 디지털 영역 온라인 혐오에 다가감 웹 기반 논쟁과 디지털 혐오의 분리 결론 2장 | 서가에서 데스크톱으로 대중계몽선전부 백인민족주의자, 지적인 미디어 그리고 정치 컴퓨터 시대와 디지털 혐오 문화의 시작 3장 | 정보화 시대의 혐오발언 정보세탁 이론 결론 4장 | 가상의 놀이공원 사이버 공간은 어디에 있는가?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가? 혐오발언의 법률적 지형 결론 5장 | 웹사이트 디지털 혐오: 규모와 의의 회원 모집 전략을 향하여 회원 모집 이론 결론 6장 | 공공연한 혐오 주류 속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ISIS의 부상 선언문과 분노의 플랫폼 적대감이라는 디지털 암류 결론 7장 | 계획적 기만: 두 부분 분석 분석 방법 분석 기간 1부 기만적인 웹 디자인 검토 2부 인종차별주의적 메시징 시스템 해체 결론 8장 | 디지털 영역 지키기 새로운 경계심 결론 9장 | 결론 앞으로 이론적 적용의 확장 관리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