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4837 | |
005 | 20230809085348 | |
007 | ta | |
008 | 230731s2023 ulkad b 000a kor | |
020 | ▼a 9791191872231 ▼g 033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3.482 ▼2 23 |
085 | ▼a 303.482 ▼2 DDCK | |
090 | ▼a 303.482 ▼b 2023z3 | |
245 | 0 0 | ▼a 한류와 문화다양성 / ▼d 이성민 [외]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c 2023 | |
300 | ▼a 279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수시조사 ; ▼v 2023-02 |
500 | ▼a 공저자: 김면, 이규탁, 한희정, 허윤, 장민지, 김경태, 윤경, 장민진, 이현지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700 | 1 | ▼a 이성민, ▼g 李星旻, ▼d 1982-, ▼e 저 ▼0 AUTH(211009)72947 |
700 | 1 | ▼a 김면, ▼g 金勉, ▼d 1967-, ▼e 저 ▼0 AUTH(211009)115038 |
700 | 1 | ▼a 이규탁, ▼g 李奎卓, ▼d 1978-, ▼e 저 ▼0 AUTH(211009)99752 |
700 | 1 | ▼a 한희정, ▼g 韓希正, ▼d 1964-, ▼e 저 ▼0 AUTH(211009)8149 |
700 | 1 | ▼a 허윤, ▼g 許允, ▼d 1981-, ▼e 저 ▼0 AUTH(211009)116492 |
700 | 1 | ▼a 장민지, ▼e 저 |
700 | 1 | ▼a 김경태, ▼e 저 |
700 | 1 | ▼a 윤경, ▼e 저 |
700 | 1 | ▼a 장민진, ▼e 저 |
700 | 1 | ▼a 이현지, ▼e 저 |
830 | 0 | ▼a 수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 ▼v 2023-02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2 2023z3 | 등록번호 11188323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2-19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한희정(지은이)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성균관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TBS 교통방송 PD를 거쳐 국가인권위원회 공보담당관실에서 일했다.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 《차별과 혐오를 넘어서》 《핵심 이슈로 보는 미디어와 젠더》 《디지털 미디어와 페미니즘》 등을 공동 저술했고,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과 문화 콘텐츠의 여성주의적 비평의 토대”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김면(지은이)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를 졸업한 후 독일베를린(T.U.)대학교에서 문학박사(Dr.Phil)학위를 취득했다. 연세대 연구교수, 통일연구원 기초사업부 연구위원으로 근무했고, 2017년 현재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부연구위원(문예실)으로 재직 중이며, 한국평화연구학회 이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독일민속학>, <구술로 본 해외통일운동사의 재인식: 독일편>, 논문으로는 '분단구조의 동.서독 민속학', '독일 한인통일운동의 형성과 전개과정', '복주머니 민담모티브의 수용양상' 등이 있다.
허윤(지은이)
남성이 성별화되는 공간에서 성장한 탓에 자연스레 젠더의 수행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보편적인 것을 의심하라고 배운 덕택에 더 많은 질문을 안고 세계를 바라볼 수 있었다. 한국 현대소설을 전공했으며 한국문학/문화/역사를 동아시아 젠더사의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남성성의 각본들』,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 연구』,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공저), 『원본 없는 판타지』(공저) 등이 있고, 우리말로 옮긴 책으로 『모니크 위티그의 스트레이트 마인드』, 『일탈』(공역) 등이 있다.
이규탁(지은이)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케이팝 세계화(Globalization of K-Pop)’에 관한 연구로 문화연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가톨릭대학교, 국민대학교, 인하대학교 등에서 음악산업과 대중문화, 영상미디어 관련 과목을 강의했으며, 2015년부터 인천 송도국제신도시에 위치한 한국 조지메이슨대학교 국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한국대중음악상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중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논문과 칼럼들을 학술지 및 다수의 매체에 기고해왔다. 저서로 『케이팝의 시대』(2016), 『갈등하는 케이, 팝』(2020) 등이 있다. 『Z를 위한 시』는 BTS를 위시한 케이팝 현상의 세계사적 의미를 톺아보고, Z세대에게 미치는 전방위적인 영향력과 BTS 다음의 ‘4세대’ 케이팝에 대해 전망해보는 본격 케이팝-젠지 융합 교양서다. 케이팝의 정의부터 시작해 케이팝 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장르적 특성,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젊은 세대가 케이팝에 빠져 있는지를 아울러 다룬다. 케이팝의 과거, 현재, 미래를 속도감 있으면서도 충실하게 전달하는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세대의 케이팝과 새로운 세대의 수용자에 관한 벅찬 스토리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장민지(지은이)
경남대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 지은 책으로『섹슈얼리티와 퀴어』, 『여자들은 집을 찾기 위해 집을 떠난다』등이 있다.
이성민(지은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김경태(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대중문화연구자.
윤경(지은이)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장민진(지은이)
Iyuno Korea 한국법인장.
이현지(지은이)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연구원.

목차
■ 1부 문화다양성 가치 관련 핵심 화두 한류, 한국 문화 콘텐츠와 문화다양성 | 12 이성민(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 문화다양성 정책과 한류 | 35 김 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정책연구실장) ■ 2부 한국 문화콘텐츠의 현주소, 쟁점과 전망 케이팝산업 속의 문화다양성: 현황과 전망 | 64 이규탁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국제학과 부교수) OTT 구독 시대, 한국 문화콘텐츠의 기회와 위기 | 90 한희정 (국민대학교 교양학부 부교수) 다원적 남성성의 전시장으로서 미디어, 그리고 한류 | 116 허 윤 (국립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우리는 언젠가 모두 장애인이 된다 | 145 장민지 (경남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 한국 미디어의 퀴어 가시성: ‘웨이브’의 퀴어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171 김경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대중문화연구자) 케이팝 해외 팬덤과 ‘케이팝 행동주의’ | 197 윤 경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 ■ 3부 문화다양성 시대, 균형의 미학 한국 콘텐츠에 기대하는다양성과 현지화 업계의 역할 | 220 장민진 (Iyuno Korea 한국법인장) 문화다양성 담지를 위한 내적 성찰: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 247 이현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