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4739 | |
005 | 20230728160329 | |
007 | ta | |
008 | 230728s2023 ulk 001a kor | |
020 | ▼a 9788956254555 ▼g 0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155.9/37 ▼2 23 |
085 | ▼a 155.937 ▼2 DDCK | |
090 | ▼a 155.937 ▼b 2023 | |
100 | 1 | ▼a O'Connor, Mary-Frances |
245 | 1 0 | ▼a 사랑과 상실의 뇌과학 : ▼b 사랑하는 이를 잃었을 때, 뇌에선 무슨 일이 일어날까 / ▼d 메리-프랜시스 오코너 지음 ; ▼e 이한음 옮김 |
246 | 1 9 | ▼a The grieving brain : ▼b the surprising science of how we learn from love and loss |
246 | 3 9 | ▼a Grieving brain |
260 | ▼a 서울 : ▼b 학고재, ▼c 2023 | |
300 | ▼a 339 p. ; ▼c 19 cm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Grief |
650 | 0 | ▼a Bereavement ▼x Psychological aspects |
650 | 0 | ▼a Neuropsychology |
700 | 1 | ▼a 이한음, ▼e 역 |
900 | 1 0 | ▼a 오코너, 메리-프랜시스,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5.937 2023 | Accession No. 1118832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155.937 2023 | Accession No. 121265108 | Availability Proce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5.937 2023 | Accession No. 1118832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155.937 2023 | Accession No. 121265108 | Availability Proce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저명한 신경과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오코너 박사는 인간이 경험하는 중요한 특징 하나에 대해 매혹적인 새 창을 연다. 오코너는 우리 삶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을 잃었을 때 뇌는 그 상실의 비애에 어떻게 대처하려고 애쓰는지, 또 뇌 회로, 신경전달물질, 행동, 감정은 어떻게 관여하는지 수십 년을 연구해 왔다. 오코너 박사는 이 모든 걸 신경생물학 렌즈로 들여다보고 규명하여, 애도가 학습의 한 유형임을 밝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패러다임을 통해 상실이 가져오는 비애의 고통을 이해하고, 새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안내한다.
『사랑과 상실의 뇌과학』은 사랑하는 사람이 영원히 떠났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게 왜 그토록 어려운지 / 왜 상실의 비애는 슬픔, 분노, 비난, 죄책감, 그리움 등 수많은 감정을 유발하는지 /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후, 왜 그렇게 반추하는지 / 상실의 비애는 왜 그렇게 오래 가는지 / 사랑하는 이를 애도하면서 어떻게 의미 있는 삶을 회복할 수 있는지 이 모든 수수께끼를 하나하나 파헤친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 상실감에 젖었을 때,
뇌에선 무슨 일이 일어날까
수십 년의 연구와 신경과학이 뒷받침하는
사랑, 상실, 학습을 이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사랑하는 이를 잃었을 때
뇌에선 무슨 일이 일어날까
『사랑과 상실의 뇌과학』
상실이 가져오는 비애를 이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저명한 신경과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오코너 박사는 인간이 경험하는 중요한 특징 하나에 대해 매혹적인 새 창을 연다. 오코너는 우리 삶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을 잃었을 때 뇌는 그 상실의 비애에 어떻게 대처하려고 애쓰는지, 또 뇌 회로, 신경전달물질, 행동, 감정은 어떻게 관여하는지 수십 년을 연구해 왔다. 오코너 박사는 이 모든 걸 신경생물학 렌즈로 들여다보고 규명하여, 애도가 학습의 한 유형임을 밝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 패러다임을 통해 상실이 가져오는 비애의 고통을 이해하고, 새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안내한다.
하나하나 풀어 나가는 상실의 비애와 고통 그리고 회복의 수수께끼
우리 뇌는 시계처럼 쉬지 않고 일을 한다. 매초 매시간 보고 듣고 저장해 둔 정보를 찾았다 보냈다 한다. 그렇다면 사랑하는 이의 죽음과 마주할 때 뇌는 어떻게 받아들일까? 혼돈과 두려움, 설움에 빠져 비애에 잠긴다. 왜 이러한 반응을 보일까? 그리고 이때 뇌는 어떤 상태일까?
『사랑과 상실의 뇌과학』은 사랑하는 사람이 영원히 떠났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게 왜 그토록 어려운지 / 왜 상실의 비애는 슬픔, 분노, 비난, 죄책감, 그리움 등 수많은 감정을 유발하는지 /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후, 왜 그렇게 반추하는지 / 상실의 비애는 왜 그렇게 오래 가는지 / 사랑하는 이를 애도하면서 어떻게 의미 있는 삶을 회복할 수 있는지 이 모든 수수께끼를 하나하나 파헤친다.
오코너 박사는 선구적인 신경 영상 작업, 현장 연구, 자신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사랑과 상실의 뇌과학』을 써 내려간다. 그리고 이해하기 쉽게 풀어쓴 뇌과학, 실용적인 지식을 스토리텔링과 결합하여 우리가 상실과 마주할 때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고, 조금 더 쉽고 아름답게 상실의 비애를 탐색하도록 돕는다.
새로운 삶을 살아갈 지렛대, 『사랑과 상실의 뇌과학』
(사랑하는 이에 대한) 애도는 함께 삶을 헤쳐 나아가는 데 쓰던 지도를 내버리고 그와 관계를 수정하는 어려운 일을 하라고 뇌에게 요구한다. 오크너 박사는 애도는 사랑하는 이가 떠난 후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학습의 한 유형이라고 한다. 그리고 역저 『사랑과 상실의 뇌과학』에서 새로운 삶을 살아갈 지렛대를 제공한다. 우리 뇌에 새로운 지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간이 아니라 새로운 경험, 기다릴 줄 아는 인내를 학습하며 자기만의 방식을 찾아가라고 강변한다. 이를 위해 오크너 박사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실의 고통을 겪은 이들이 이 책을 통해 많은 도움 받은 사실을 고백한 것도 큰 힘이 되어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메리-프랜시스 오코너(지은이)
애리조나 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로, <슬픔, 상실 및 사회적 스트레스 연구소 GLASS>에서 슬픔이 뇌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연구한다. 2004년 애리조나 대학교에서 임상 심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UCLA <세멜 신경과학·인간행동 연구소>에서 심리신경면역학 박사후 과정을 마쳤다. UCLA에서 심리신경면역학 교수로 임용된 후, 2012년 애리조나 대학교로 돌아왔다. 그의 연구는 <미국정신의학회지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생물정신의학회지Biological Psychiatry>, <심리학회지Psychological Science>에 게재되었고, 『뉴스위크』 『뉴욕타임즈』 그리고 『워싱턴포스트』에 실렸다. 몬태나주에서 자란 그는 현재 애리조나주 투손에 살고 있다.
이한음(엮은이)
서울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공부했고, 전문적인 과학 지식과 인문적 사유가 조화된 번역으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학 전문 번역가로 인정받고 있다. 케빈 켈리, 리처드 도킨스, 에드워드 윌슨, 리처드 포티, 제임스 왓슨 등 저명한 과학자의 대표작이 그의 손을 거쳤다. 과학의 현재적 흐름을 발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과학 전문 저술가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청소년 문학 작가이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는 『바스커빌가의 개와 추리 좀 하는 친구들』 『생명의 마법사 유전자』 『청소년을 위한 지구 온난화 논쟁』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노화의 종말』 『생명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1부 여기, 지금, 가까이에서 일어난 가슴 아픈 상실 1장 어둠 속을 걷다 2장 부재, 정서적 경고를 보내다 3장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 믿다 4장 시간을 가로질러 적응하다 5장 비애는 혼자 오지 않는다 6장 사랑하는 이를 갈망하다 7장 차이를 아는 지혜를 만나다 2부 과거, 현재, 미래의 회복 8장 과거에서 보내는 시간 9장 현재를 살아가기 10장 미래 탐색 11장 애도는 학습이다 감사의 말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