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동아시아 자본주의 : 마르크스주의적 접근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노자, 朴露子, 1973-, 저 Chakrabarti, Anjan, 저 Majumdar, Sayonee, 저 정성진, 丁聲鎭, 1957-, 저·편 장대업, 張大業, 1971-, 저 김덕민, 저 정구현, 저 권정임, 저 한상원, 1982-, 저 김미경, 역 김민정, 역 김종현, 역
서명 / 저자사항
동아시아 자본주의 : 마르크스주의적 접근 / 박노자 [외]지음 ; 정성진 엮음 ; 김미경, 김민정, 김종현 옮김
발행사항
과천 :   진인진,   2023  
형태사항
328 p. : 도표 ; 23 cm
총서사항
경상국립대학교 SSK 연구단 연구총서 ;제1권
ISBN
9788963475608
일반주기
공저자: 안잔 차크라바티(Anjan Chakrabarti), 사요네 마줌다르(Sayonee Majumdar), 정성진, 장대업, 김덕민, 정구현, 권정임, 한상원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4579
005 20230731163959
007 ta
008 230725s2023 ggkd b 000c kor
020 ▼a 9788963475608 ▼g 93300
035 ▼a (KERIS)BIB000016796373
040 ▼a 211015 ▼c 211015 ▼d 211009
082 0 4 ▼a 330.12/2095 ▼2 23
085 ▼a 330.122095 ▼2 DDCK
090 ▼a 330.122095 ▼b 2023
245 0 0 ▼a 동아시아 자본주의 : ▼b 마르크스주의적 접근 / ▼d 박노자 [외]지음 ; ▼e 정성진 엮음 ; ▼e 김미경, ▼e 김민정, ▼e 김종현 옮김
246 1 1 ▼a East Asian capitalism : ▼b Marxist approach
260 ▼a 과천 : ▼b 진인진, ▼c 2023
300 ▼a 328 p. : ▼b 도표 ; ▼c 23 cm
490 1 0 ▼a 경상국립대학교 SSK 연구단 연구총서 ; ▼v 제1권
500 ▼a 공저자: 안잔 차크라바티(Anjan Chakrabarti), 사요네 마줌다르(Sayonee Majumdar), 정성진, 장대업, 김덕민, 정구현, 권정임, 한상원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이 저서는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21S1A3A2A02096299)
700 1 ▼a 박노자, ▼g 朴露子, ▼d 1973-, ▼e▼0 AUTH(211009)92588
700 1 ▼a Chakrabarti, Anjan, ▼e
700 1 ▼a Majumdar, Sayonee, ▼e
700 1 ▼a 정성진, ▼g 丁聲鎭, ▼d 1957-, ▼e 저·편 ▼0 AUTH(211009)58048
700 1 ▼a 장대업, ▼g 張大業, ▼d 1971-, ▼e▼0 AUTH(211009)140783
700 1 ▼a 김덕민, ▼e
700 1 ▼a 정구현, ▼e
700 1 ▼a 권정임, ▼e
700 1 ▼a 한상원, ▼d 1982-, ▼e▼0 AUTH(211009)136103
700 1 ▼a 김미경, ▼e
700 1 ▼a 김민정, ▼e
700 1 ▼a 김종현, ▼e
830 0 ▼a 경상국립대학교 SSK 연구단 연구총서 ; ▼v 제1권
900 1 0 ▼a 차크라바티, 안잔, ▼e
900 1 0 ▼a 마줌다르, 사요네,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0.122095 2023 등록번호 1118831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계급분석을 중심으로 한 마르크스주의적 동아시아 자본주의 연구방법론 구축과 동아시아 역사와 현실에 대한 적용을 시도한 1부와 한국의 자본축적과 여성노동 및 민주주의 문제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제안한 2부로 구성된 책이다.

박노자 오슬로대 교수가 작성한 1부 1장 ‘동아시아 관료국가의 형성과 그 특성’은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계급적 분석의 핵심개념으로 중세 중국에서 발달한 과거제도를 기반으로 한 ‘관료제도’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총체적˙복합적 위기에 대해 마르크스주의 방법론의 적용을 제안하는 연구서 『동아시아 자본주의-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이 경상국립대학교 SSK연구단 연구총서 1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2차세계대전 이후 한·중·일 동아시아 나라들의 경제적 발전은 주류이론이나 진보적 대안에 있어서 모두 모범적인 사례였으나, 20세기 말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1997년 한국의 IMF 위기, 2008년 이후 중국의 저성장 전환 등은 초고속 성장 이후 경제위기와 불평등이 극심하고, 지정학적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고령화, 저출산 등 사회 자체의 재생산이 불투명해지는 지경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위기에 대해서 신자유주의 경제이론이나 비주류 국가주의는 근본적이고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데 실패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론적 위기는 소비에트 체제 붕괴 이후 폐기된 마르크스주의적 방법론을 재조명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포스트자본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혁신: 글로벌 맥락에서 동아시아의 미래’ 연구과제가 기획되었고, 그 1차년도 연구성과를 단행본으로 묶은 결과가 『동아시아 자본주의-마르크스주의적 접근』입니다. 같은 사업의 2차년도 연구성과는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과거, 현재, 미래』라는 제목으로 동시에 발간되었습니다.
『동아시아 자본주의-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은 계급분석을 중심으로 한 마르크스주의적 동아시아 자본주의 연구방법론 구축과 동아시아 역사와 현실에 대한 적용을 시도한 1부와 한국의 자본축적과 여성노동 및 민주주의 문제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제안한 2부로 구성됩니다.
박노자 오슬로대 교수가 작성한 1부 1장 ‘동아시아 관료국가의 형성과 그 특성’은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계급적 분석의 핵심개념으로 중세 중국에서 발달한 과거제도를 기반으로 한 ‘관료제도’로 설정할 것을 제안합니다.
인도 캘커타 대학 안잔 차크라바티 교수와 타키 서벵골주립대학 사요네 마줌다르 교수가 작성한 1부 2장 ‘중화인민공화국에서의 전환과 발전: 봉건제와 자본주의, 사회주의’는 전후 중국사회의 변환을 기존의 통설과는 다르게 1978년 개혁개방 시기를 중심으로 그 이전을 국가봉건제로 설정하고 그 이후는 국가자본주의로 이행했음을 계급분석에 입각하여 주장합니다.
1부 3장은 이 책의 책임 편집을 맡은 정성진 경상대학 연구석좌교수가 작성한 ‘동아시아 자본주의론의 마르크스주의적 접근: 평가와 과제’입니다. 동아시아자본주의분석의 주요 연구방법론이었던 마르크스주의적 국가자본주의가 소련 붕괴 이후 폐기되었다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국가자본주의론’으로 복원되고 있는 양상을 소개합니다.
장대업 서강대교수가 작성한 1부 4장 ‘동아시아 자본주의를 마주하기: ‘글로벌공장’에서 ‘노동의 대륙’으로’는 세계자본주의체제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가 담당했던 ‘성장’의 역할 이면에 무시되어 왔던 노동계급의 양적 질적 변화에 주목할 것을 제안하여 새로운 동아시아자본주의론 연구방법론의 전망을 열었습니다.
김덕민 경상대 교수의 2부 1장’ 한국경제의 기술과 분배(제조업, 1970-2019)’는 이윤율 계산과 결정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에서 자본축적과 기술 및 분배 문제를 검토합니다. 2010년 이후 한국 자본주의가 위기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이윤율 저하 데이터를 통해서 입증했습니다.
정구헌 경상대 SSK연구단 연구원이 작성한 2부 2장 ‘자본순환, 이윤율, 금융화: 1980-2018년 한국의 사례’에서는 자본순환 과정을 구성하는 생산지체와 유통지체 기간이 이윤율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추적하여 1980~2018년 시기 한국자본주의의 전개과정에서 드러난 양상들을 분석했습니다.
권정임 경상대 SSK연구단 연구원의 2부 3장 ‘21세기 한국자본주의와 여성 노동’은 젠더화된 사회적 재생산과 젠더 불평등 구조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합니다.
2부 4장 ‘위기의 한국 민주주의: 탈진실 정치와 민주적 집단지성’은 한상원 충북대 교수의 논문입니다. 한국정치에서 선동와 진영론으로 극심해지고 있는 ‘반지성주의’의 문제를 한국자본주의체제 위기의 징후로 진단하고 이를 바로잡기 위한 민주적 공공성의 회복을 제안합니다.
양극화와 저출산, 고령화로 노출되고 있는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총체적 위기에 대한 분석과 대안을 제시하는 ‘마지막 비상구’로 마르크스적 방법론이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 입각해서 새로운 마르크스주의적 접근으로 동아시아 자본주의 연구의 전망을 제시했다는 것이 『동아시아 자본주의-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이 가지는 의의일 것입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권정임(지은이)

현) 경상국립대 SSK연구단 선임연구원 전) 베를린 자유대학교 철학박사, 한신대학교 연구교수. -논문 「기본소득과 젠더 정의」(2013) 「정의로운 민주주의」(공저) 「판 빠레이스의 공유주의와 기본소득 재구성」(공저) 외 다수. -저서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박종철출판사, 공저, 2014).

정성진(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현재 계간 『마르크스주의 연구』 편집위원장, 국제학술지 Research in Political Economy 편집위원, 맑스코뮤날레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과거에 한국사회경제학회장,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장과 대학원 정치경제학과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마르크스와 한국 경제』(2005), 『마르크스와 트로츠키』(2006), 『마르크스와 세계경제』(2015)가 있으며, 주요 공저로는 Marxist Perspectives on South Korea in the Global Economy(2017), Varieties of Alternative Economic Systems(2017) , 『세계화와 자본축적 체제의 모순』(2012), 『대안세계화운동 이념의 국제비교』(2010) 등이 있고, 『마르크스의 자본론의 형성 2』(2003), 『소련은 과연 사회주의였는가?』(2011), 『칼 맑스의 혁명적 사상』(2007), 『반자본주의 선언』(2003)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박노자(지은이)

소련의 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나 자랐고,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호노프’다. 2001년 귀화하여 한국인이 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조선학과를 졸업한 후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고대 가야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교에서 한국학과 동아시아학을 가르치고 있다.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칼럼들을 묶은 『당신들의 대한민국』으로 주목받았으며, 『주식회사 대한민국』 『비굴의 시대』 『당신을 위한 국가는 없다』 등은 이 연장선상의 저작이다. 『거꾸로 보는 고대사』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우승열패의 신화』 등을 통해 역사 연구자로서의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김덕민(지은이)

경상국립대학교 경제학부 조교수. 제라르 뒤메닐과 도미니크 레비의 《거대한 분기》, 《신자유주의의 위기》, 《현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을 번역하였고 《마르크스를 읽자》, 《대안마르크스주의》, 《아담의 오류》 등을 번역하였다. 대표 논문으로 〈The Stochastic Model of Technical Change and Profit Rates: Korean Economy〉(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 2023)가 있다.

장대업(지은이)

서강대 글로벌한국학과 교수. 주요 논저로 “East Asia: A Slippery Floor for the Left”(2015),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East Asian labour migration: a crisis of migration or struggles of labour?”(2015), “Labour and Developmental State: A Critique of the Developmental State Theory of Labour”(2013), “Capitalist Development in Korea: Labour, Capital and the Myth of the Developmental State, Routledge”(2009) 등이 있다.

한상원(지은이)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에서 마르크스의 물신주의와 이데올로기 개념 연구로 석사 학위를,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아도르노의 정치철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아우구스티누스, 맑스, 벤야민. 역사철학과 세속화에 관한 성찰』이 있으며, 역서로 『공동체의 이론들』(공역), 『아도르노, 사유의 모티브들』, 『역사와 자유의식: 헤겔과 맑스의 자유의 변증법』이 있다. 『현대 정치철학의 네 가지 흐름』,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아도르노와의 만남』, 『왜 지금 다시 마르크스인가』, 『팬데믹 이후의 시민권을 상상하다』 등 여러 책을 공저했다. 현대사회 · 정치철학의 여러 주제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다.

정구현(지은이)

경제학 박사이며, 현재는 경상국립대학교 SSK 연구단 선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마르크스의 경제지표로 한국 경제를 분석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다른 번역서로는 [마르크스의 주변부 연구](공역, 2020)가 있다.

안잔 차크라바티(지은이)

캘커타대 경제학과 교수

사요네 마줌다르(지은이)

타키 서벵골주립대 경제학과 조교수

정성진(엮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현재 계간 『마르크스주의 연구』 편집위원장, 국제학술지 Research in Political Economy 편집위원, 맑스코뮤날레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과거에 한국사회경제학회장,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장과 대학원 정치경제학과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마르크스와 한국 경제』(2005), 『마르크스와 트로츠키』(2006), 『마르크스와 세계경제』(2015)가 있으며, 주요 공저로는 Marxist Perspectives on South Korea in the Global Economy(2017), Varieties of Alternative Economic Systems(2017) , 『세계화와 자본축적 체제의 모순』(2012), 『대안세계화운동 이념의 국제비교』(2010) 등이 있고, 『마르크스의 자본론의 형성 2』(2003), 『소련은 과연 사회주의였는가?』(2011), 『칼 맑스의 혁명적 사상』(2007), 『반자본주의 선언』(2003)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김미경(옮긴이)

부경대 강사

김민정(옮긴이)

마르크스주의연구자모임(준) 회원

김종현(옮긴이)

마르크스주의연구자모임(준) 회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1부 동아시아 자본주의의 계급적 분석

제1장 동아시아 관료국가의 형성과 그 특성 / 박노자
제2장 중화인민공화국에서의 전환과 발전: 봉건제와 자본주의, 사회주의 / 안잔 차크라바티·사요네 마줌다르
제3장 동아시아 자본주의론의 평가와 과제 / 정성진
제4장 동아시아 자본주의를 마주하기: “글로벌공장”에서 “노동의 대륙”으로 / 장대업

2부 한국의 자본축적, 여성노동, 민주주의

제5장 한국경제의 기술과 분배(제조업, 1970-2019) / 김덕민
제6장 자본순환, 이윤율, 금융화: 1980-2018년 한국의 사례 / 정구현
제7장 21세기 한국 자본주의와 여성 노동 / 권정임
제8장 위기의 한국 민주주의: 탈진실 정치와 민주적 집단지성 / 한상원

관련분야 신착자료

大塚啓二郎 (2023)
최병선 (2023)
柄谷行人 (2023)
Garritzmann, Julian L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