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 과거, 현재, 미래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노자, 朴露子, 1973-, 저 김덕민, 저 Majumdar, Sayonee, 저 Chakrabarti, Anjan, 저 정성진, 丁聲鎭, 1957-, 저·편 권정임, 權丁林, 1963-, 저 임춘성, 저 장대업, 張大業, 1971-, 저 江原慶, 저 斎藤幸平, 저 佐々木隆治, 저 한상원, 1982-, 저 김현강, 저 김미경, 역 김민정, 역 김종현, 역 권오범, 역
Title Statement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 과거, 현재, 미래 / 박노자 [외]지음 ; 정성진 엮음 ; 김미경 [외]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과천 :   진인진,   2023  
Physical Medium
348 p. ; 23 cm
Series Statement
경상국립대학교 SSK 연구단 연구총서 ;제2권
ISBN
9788963475615
General Note
공저자: 김덕민, 사요네 마줌다르(Sayonee Majumdar), 안잔 차크라바티(Anjan Chakrabarti), 정성진, 권정임, 임춘성, 장대업, 에하라 케이(江原慶), 사이토 고헤이(斎藤幸平), 사사키 류지(佐々木隆治), 한상원, 김현강  
공역자: 김민정, 김종현, 권오범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4208
005 20230829154309
007 ta
008 230720s2023 ggk b 000c kor
020 ▼a 9788963475615 ▼g 93300
035 ▼a (KERIS)BIB000016796372
040 ▼a 244009 ▼c 244009 ▼d 211009
082 0 4 ▼a 335.4095 ▼2 23
085 ▼a 335.4095 ▼2 DDCK
090 ▼a 335.4095 ▼b 2023
245 0 0 ▼a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 ▼b 과거, 현재, 미래 / ▼d 박노자 [외]지음 ; ▼e 정성진 엮음 ; ▼e 김미경 [외]옮김
246 1 1 ▼a East Asian capitalism : ▼b past, present, future
260 ▼a 과천 : ▼b 진인진, ▼c 2023
300 ▼a 348 p. ; ▼c 23 cm
490 1 0 ▼a 경상국립대학교 SSK 연구단 연구총서 ; ▼v 제2권
500 ▼a 공저자: 김덕민, 사요네 마줌다르(Sayonee Majumdar), 안잔 차크라바티(Anjan Chakrabarti), 정성진, 권정임, 임춘성, 장대업, 에하라 케이(江原慶), 사이토 고헤이(斎藤幸平), 사사키 류지(佐々木隆治), 한상원, 김현강
500 ▼a 공역자: 김민정, 김종현, 권오범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21S1A3A2A02096299)
700 1 ▼a 박노자, ▼g 朴露子, ▼d 1973-, ▼e▼0 AUTH(211009)92588
700 1 ▼a 김덕민, ▼e
700 1 ▼a Majumdar, Sayonee, ▼e
700 1 ▼a Chakrabarti, Anjan, ▼e
700 1 ▼a 정성진, ▼g 丁聲鎭, ▼d 1957-, ▼e 저·편 ▼0 AUTH(211009)58048
700 1 ▼a 권정임, ▼g 權丁林, ▼d 1963-, ▼e▼0 AUTH(211009)75456
700 1 ▼a 임춘성, ▼e
700 1 ▼a 장대업, ▼g 張大業, ▼d 1971-, ▼e▼0 AUTH(211009)140783
700 1 ▼a 江原慶, ▼e
700 1 ▼a 斎藤幸平, ▼e
700 1 ▼a 佐々木隆治, ▼e
700 1 ▼a 한상원, ▼d 1982-, ▼e▼0 AUTH(211009)136103
700 1 ▼a 김현강, ▼e
700 1 ▼a 김미경, ▼e
700 1 ▼a 김민정, ▼e
700 1 ▼a 김종현, ▼e
700 1 ▼a 권오범, ▼e
830 0 ▼a 경상국립대학교 SSK 연구단 연구총서 ; ▼v 제2권
900 1 0 ▼a 마줌다르, 사요네, ▼e
900 1 0 ▼a 차크라바티, 안잔, ▼e
900 1 0 ▼a 에하라 케이, ▼e
900 1 0 ▼a 사이토 고헤이, ▼e
900 1 0 ▼a 佐佐木隆治, ▼e
900 1 0 ▼a 사사키 류지,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5.4095 2023 Accession No. 11188304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28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구 마르크스주의가 전반적으로 퇴조한 가운데 21세기 주요 사회이념으로 생명력을 과시하고 있는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를 주제로 한 연구서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 과거, 현재, 미래』가 경상국립대학교 SSK연구단 연구총서 2권으로 발간되었다.

소비에트 체제 붕괴로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가 소멸하고, 서구 마르크스주의가 학술 연구 분야에서 고립화 주변화 되는 데 반해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는 ‘중화 마르크스주의’의 대두에서 보듯이, 21세기의 지배적 사회 이념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기여와 한계, 전망과 과제 등의 쟁점들을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포스트자본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혁신 : 글로벌 맥락에서 동아시아의 미래’ 연구과제가 기획되었고, 그 1차년도 연구성과가 『동아시아 자본주의 - 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고, 같은 사업의 2차년도 연구성과로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 과거, 현재, 미래』가 발간되었다. 한국, 인도, 일본의 마르크스주의 연구자 18명이 집필 및 번역 작업에 참여한 10편의 논문들로 구성된다.

서구 마르크스주의가 전반적으로 퇴조한 가운데 21세기 주요 사회이념으로 생명력을 과시하고 있는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를 주제로 한 연구서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 과거, 현재, 미래』가 경상국립대학교 SSK연구단 연구총서 2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소비에트 체제 붕괴로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가 소멸하고, 서구 마르크스주의가 학술 연구 분야에서 고립화 주변화 되는 데 반해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는 ‘중화 마르크스주의’의 대두에서 보듯이, 21세기의 지배적 사회 이념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기여와 한계, 전망과 과제 등의 쟁점들을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포스트자본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혁신: 글로벌 맥락에서 동아시아의 미래’ 연구과제가 기획되었고, 그 1차년도 연구성과가 『동아시아 자본주의-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고, 같은 사업의 2차년도 연구성과로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과거, 현재, 미래』가 발간되었습니다.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과거, 현재, 미래』는 한국, 인도, 일본의 마르크스주의 연구자 18명이 집필 및 번역 작업에 참여한 10편의 논문들로 구성됩니다.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역사를 다룬 1부는 1920-30년대 조선인 디아스포라 혁명가들의 마르크스주의적 학술 업적을 다룬 1장과, 21세기 초 한국의 대표적 마르크스주의 연구자인 김성구, 윤소영, 정성진이 벌인 ‘신자유주의’ 논쟁을 소개한 2장 및 1949-1984년 시기 중국에서 진행된 사회주의 농업개혁을 다룬 3장으로 구성됩니다.
2부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현재’는 모두 4개의 논문으로 구성됩니다. 21세기 중국 자본주의의 성격을 분석한 5장, 중국의 개혁개방 이전과 이후의 여성해방과 성평등 문제를 다룬 6장, 타이완 출신의 하버드대 비교문학 교수 왕더웨이의 『시노폰 담론, 중국문학』을 비판적으로 평가한 7장, 글로벌 신자유주의 후퇴 이후 아시아에서 대두하고 있는 권위주의적 신자유주의를 소개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노동운동의 국제연대를 제안하는 8장입니다.
3부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미래’에서는 일본 마르크스주의의 부흥, 동아시아연대, 한국 기후운동을 다룬 3편의 논문으로 구성됩니다. 에하라 케이, 사이토 고헤이, 사사키 류지가 작성한 8장 ‘21세기 일본 마르크스주의의 부흥’은 일본 마르크스주의 연구의 논의를 개관, 평가합니다. 9장 ‘혐오에 맞서는 동아시아 연대가 필요한 이유: 량영성과 재일조선인 시민권 문제’는 동아시아에서 민족주의를 넘어서는 공통언어로서 ‘시민권’을 확립하고 이에 기초하여 차별과 혐오에 맞서는 동아시아 연대를 구축하자는 량영성 재일조선인 시민운동 활동가의 주장을 소개합니다. 10장 ‘기후정의와 한국 기후운동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고찰’은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기후정의와 환경정의의 관계 및 환경정의에서 기후정의로의 이행의 철학적, 정치적 의미를 검토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 기후운동의 성격을 논의합니다.
서구사회에서 사회이념으로서의 생명력이 상실된 마르크스주의가 동아시아 2개 국가에서 체제이념으로서 건재함을 과시하고 있는 양상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첫걸음으로서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과거, 현재, 미래』에게 연구자들과 일반인들의 관심이 모아지기를 기대합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임춘성(지은이)

국립목포대학교 중국언어와문화학과 교수와 동 대학원 문화응용과스토리텔링협동과정 교수를 지냈다. 연구 분야는 중문학과 문화연구이고 최근 중국 비판사상 연구와 사이노폰 연구(Sinophone studies)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회장을 지냈고 동 학회 상임고문직을 맡고 있다. 『문화/과학』 편집자문위원, 맑스꼬뮤날레 집행위원, 상하이대학교 문화연구학부 국제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포스트사회주의 중국과 그 비판자들―개혁개방 이후 중국 비판사상의 계보를 그리다』(2021),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문화정체성과 문화정치』(2017), 『중국 근현대문학사 담론과 타자화』(2013), 『소설로 보는 현대중국』(1995), 『상하이학파 문화연구: 비판과 개입』(편저, 2014), 『상하이영화와 상하이인의 정체성』(공편저, 2010), 『21세기 중국의 문화지도: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문화연구』(공편저, 2009), 『동아시아의 문화와 문화적 정체성』(공저, 2009), 『홍콩과 홍콩인의 정체성』(공저, 2006)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 『마르크스로 돌아가다: 경제학적 맥락에서 고찰한 철학 담론』(공역, 2018), 『중국현대통속문학사上』(공역, 2015), 『중국근대사상사론』(2005), 『중국근현대문학운동사』(편역, 1997), 『중국통사강요』(공역, 1991) 등이 있다. 중국어 저서로 『新世紀韓國的上海文學硏究』(편저, 2021), 『千迴萬轉: 張愛玲學重探』(공저, 2018), 『新世紀韓國的中國現當代文學硏究』(편저, 2013), 『文化上海』(공저, 2013), 『精神中國』(공저, 2013), 『視野與方法: 重構當代文學硏究的版圖』(공저, 2012) 등이 있다.

권정임(지은이)

현) 경상국립대 SSK연구단 선임연구원 전) 베를린 자유대학교 철학박사, 한신대학교 연구교수. -논문 「기본소득과 젠더 정의」(2013) 「정의로운 민주주의」(공저) 「판 빠레이스의 공유주의와 기본소득 재구성」(공저) 외 다수. -저서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박종철출판사, 공저, 2014).

정성진(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현재 계간 『마르크스주의 연구』 편집위원장, 국제학술지 Research in Political Economy 편집위원, 맑스코뮤날레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과거에 한국사회경제학회장,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장과 대학원 정치경제학과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마르크스와 한국 경제』(2005), 『마르크스와 트로츠키』(2006), 『마르크스와 세계경제』(2015)가 있으며, 주요 공저로는 Marxist Perspectives on South Korea in the Global Economy(2017), Varieties of Alternative Economic Systems(2017) , 『세계화와 자본축적 체제의 모순』(2012), 『대안세계화운동 이념의 국제비교』(2010) 등이 있고, 『마르크스의 자본론의 형성 2』(2003), 『소련은 과연 사회주의였는가?』(2011), 『칼 맑스의 혁명적 사상』(2007), 『반자본주의 선언』(2003)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박노자(지은이)

소련의 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나 자랐고,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호노프’다. 2001년 귀화하여 한국인이 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조선학과를 졸업한 후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고대 가야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교에서 한국학과 동아시아학을 가르치고 있다.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칼럼들을 묶은 『당신들의 대한민국』으로 주목받았으며, 『주식회사 대한민국』 『비굴의 시대』 『당신을 위한 국가는 없다』 등은 이 연장선상의 저작이다. 『거꾸로 보는 고대사』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우승열패의 신화』 등을 통해 역사 연구자로서의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김덕민(지은이)

경상국립대학교 경제학부 조교수. 제라르 뒤메닐과 도미니크 레비의 《거대한 분기》, 《신자유주의의 위기》, 《현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을 번역하였고 《마르크스를 읽자》, 《대안마르크스주의》, 《아담의 오류》 등을 번역하였다. 대표 논문으로 〈The Stochastic Model of Technical Change and Profit Rates: Korean Economy〉(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 2023)가 있다.

김현강(지은이)

뒤셀도르프 대학의 페터 베렌스 예술대학 디자인 철학 및 미학 교수이다. 서울 연세대학교에서 독문학을 공부한 후 뒤셀도르프 및 본 대학에서 독문학과 철학을 연구했다. 2004년 본 대학교 독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2014년 본 대학교 철학과에서 교수자격논문을 취득했다. 2006‐015년 본 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의했다. 미학, 모더니즘 철학, 현대철학, 매체철학 및 디자인 이론에 대한 다수의 저작물이 있다.

장대업(지은이)

서강대 글로벌한국학과 교수. 주요 논저로 “East Asia: A Slippery Floor for the Left”(2015),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East Asian labour migration: a crisis of migration or struggles of labour?”(2015), “Labour and Developmental State: A Critique of the Developmental State Theory of Labour”(2013), “Capitalist Development in Korea: Labour, Capital and the Myth of the Developmental State, Routledge”(2009) 등이 있다.

한상원(지은이)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에서 마르크스의 물신주의와 이데올로기 개념 연구로 석사 학위를, 독일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아도르노의 정치철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앙겔루스 노부스의 시선: 아우구스티누스, 맑스, 벤야민. 역사철학과 세속화에 관한 성찰』이 있으며, 역서로 『공동체의 이론들』(공역), 『아도르노, 사유의 모티브들』, 『역사와 자유의식: 헤겔과 맑스의 자유의 변증법』이 있다. 『현대 정치철학의 네 가지 흐름』, 『근대 사회정치철학의 테제들』, 『아도르노와의 만남』, 『왜 지금 다시 마르크스인가』, 『팬데믹 이후의 시민권을 상상하다』 등 여러 책을 공저했다. 현대사회 · 정치철학의 여러 주제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철학과에 재직 중이다.

사사키 류지(지은이)

1974년생. 릿쿄대학立敎大學 경제학부 준교수. 히토츠바시대학一橋大學 사회학연구과 박사과정 수료. 사회학박사. 현재 MEGA(신 마르크스·엥겔스 전집)의 편집에 참여하고 있으며, 『자본론』의 초고와 발췌노트 연구에 종사하고 있다. 저서에 『마르크스의 물상화론』(사회평론사, 2011), 『우리는 왜 일하는가』(旬報社, 2012), 『마르크스와 생태학』(공편저, 堀之內出版, 2016) 등이 있다.

안잔 차크라바티(지은이)

캘커타대 경제학과 교수

사요네 마줌다르(지은이)

타키 서벵골주립대 경제학과 조교수

에하라 케이(지은이)

도쿄공업대 리버럴아트연구교육원 부교수

사이토 고헤이(지은이)

도쿄대 종합문화연구과 부교수

정성진(엮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경제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경상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현재 계간 『마르크스주의 연구』 편집위원장, 국제학술지 Research in Political Economy 편집위원, 맑스코뮤날레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과거에 한국사회경제학회장,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장과 대학원 정치경제학과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마르크스와 한국 경제』(2005), 『마르크스와 트로츠키』(2006), 『마르크스와 세계경제』(2015)가 있으며, 주요 공저로는 Marxist Perspectives on South Korea in the Global Economy(2017), Varieties of Alternative Economic Systems(2017) , 『세계화와 자본축적 체제의 모순』(2012), 『대안세계화운동 이념의 국제비교』(2010) 등이 있고, 『마르크스의 자본론의 형성 2』(2003), 『소련은 과연 사회주의였는가?』(2011), 『칼 맑스의 혁명적 사상』(2007), 『반자본주의 선언』(2003)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김미경(옮긴이)

부경대 강사

김민정(옮긴이)

마르크스주의연구자모임(준) 회원

김종현(옮긴이)

마르크스주의연구자모임(준) 회원

권오범(옮긴이)

정치경제학연구소 프닉스 연구위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1부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역사

제1장 조선적 특색을 가진 마르크스주의: 1920-30년대 소련의 조선인 디아스포라 혁명가들의 조선에서의 일본 식민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다시 읽기 / 박노자
제2장 한국 마르크스주의의 신자유주의 논쟁 / 김덕민
제3장 계급적 시각에서 본 사회주의 농업개혁: 중국의 실험적 시도(1949-1984)에 대한 분석 / 사요네 마줌다르·안잔 차크라바티


2부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현재

제4장 21세기 중국 자본주의: 마르크스주의적 분석 / 정성진
제5장 중국의 여성해방과 성 평등: 개혁개방 이전과 이후의 비교 연구 / 권정임
제6장 이중적 타자의 ‘통합의 정치학’ 비판 / 임춘성
제7장 퇴행하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아시아 노동 / 장대업


3부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미래

제8장 21세기 일본 마르크스주의의 부흥 / 에하라 케이·사이토 고헤이·사사키 류지
제9장 혐오에 맞서는 동아시아 연대가 필요한 이유: 량영성(梁英聖)과 재일조선인 시민권 문제 / 한상원
제10장 기후정의와 한국 기후운동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고찰 / 김현강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