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공식 조직의 기능과 결과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Luhmann, Niklas, 1927-1998 이철, 李哲, 1963-, 역
Title Statement
공식 조직의 기능과 결과 / 니클라스 루만 ; 이철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이론출판,   2023  
Physical Medium
566 p. ; 23 cm
Varied Title
Funktionen und Folgen formaler Organisation : mit einem Epilog 1994
ISBN
979119678605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27-55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3998
005 20230718155853
007 ta
008 230718s2023 ulk b 001c kor
020 ▼a 9791196786052 ▼g 93330
035 ▼a (KERIS)BIB000016796655
040 ▼a 247009 ▼c 247009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302 ▼2 23
085 ▼a 302 ▼2 DDCK
090 ▼a 302 ▼b 2023z1
100 1 ▼a Luhmann, Niklas, ▼d 1927-1998 ▼0 AUTH(211009)57936
245 1 0 ▼a 공식 조직의 기능과 결과 / ▼d 니클라스 루만 ; ▼e 이철 옮김
246 1 9 ▼a Funktionen und Folgen formaler Organisation : ▼b mit einem Epilog 1994
260 ▼a 서울 : ▼b 이론출판, ▼c 2023
300 ▼a 566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527-556)과 색인수록
700 1 ▼a 이철, ▼g 李哲, ▼d 1963-, ▼e▼0 AUTH(211009)36661
900 1 0 ▼a 루만, 니클라스,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02 2023z1 Accession No. 11188279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니클라스 루만(지은이)

독일 뤼네부르크 근교에서 태어났다. 당시 대다수 젊은이들과 마찬가지로 시대의 숙명을 피할 수 없었던 그는 제2차 세계대전의 막바지에 공군보조병으로 복무하다 미군의 포로가 된다. 1946년부터 1950년까지 법학을 공부한 후 고향에서 판사를 지냈고 니더작센 주 문화부에서 공직생활을 했다. 1960년부터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하면서 파슨스와 운명적인 만남을 통해 사회체계이론의 설계에 착수한다. 공직으로 돌아온 루만은 잠시 슈파이어 행정대학교 강사를 거쳐 도르트문트 대학교 사회학 연구소장으로 부임한다. 박사학위와 교수자격 학위를 취득한 루만은 독일 사민당의 교육대중화 정책의 결실인 빌레펠트 대학교의 창설과 함께 1969년 사회학과 창립교수로 초빙되었다. 1993년에 정년퇴임한 후에도 왕성한 활동을 하면서 전 세계의 유수한 대학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그는 사회학 이론의 완성에 꼬박 30년을 바쳤고 매체과학, 정치학, 법학, 철학, 언어학, 인공지능 연구, 심리학과 교육학 그리고 환경과 생태학에까지 연구의 스펙트럼을 넓혀 무려 70여 권의 저서를 남겼다. 특히『사회적 체계들: 일반이론의 개요』(이하『사회체계이론』)는 그가 생애를 바쳐 정립하려던 ‘사회학 이론’의 결정판이었다. 체계이론에 대한 기초단계로 저술된 저작으로는『형식적 조직들의 기능과 성과』 『권력』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변화와 대중매체』 『사회구조와 의미론』, 하버마스와의 공저인 『사회이론 또는 사회공학』과 당대 이론가들과의 논쟁을 담은『사회학적 계몽주의』가 있다. 총론격인『사회체계이론』의 각론으로 집필된 『법사회학』 『예술체계이론』 『사회의 법』 『사회의 예술』 『사회의 경제』 『사회의 과학』 등 황금기의 노작과 아울러 통섭담론으로의 완성기에『열정으로서의 사랑』에 이어『대중매체의 현실』, 사후에 출간된『사회의 정치』 『사회의 종교』 『사회의 교육체계』등 ‘사회체계이론’의 각론을 완성하는 방대한 저작을 내놓았다.

이철(옮긴이)

독일 빌레펠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사회문제론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양대학교 경찰범죄심리학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Latente) soziale Probleme und Massenmedien』(2005), 『언어와 소통 -의미론의 쟁점들』(공저, 2016)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한길사에서 출간한 『예술체계이론』(공저, 2014)이 있고 그 외 『쉽게 읽는 루만』(2012) 『사회이론입문』(2015), 『사회의 교육체계』(2015), 『사회학의 기본』(공저, 2016), 『사랑 연습』(2017), 『벌거숭이 임금님: 신임보스의 사회학』(2018), 『사회이론인가, 사회공학인가? -체계이론은 무엇을 수행하는가?』(2018), 『니클라스 루만: 인식론적 입문』(2019), 『사회의 학문』(2019)이 있다. 번역출간 예정인 책들은 『갈등: 루만의 체계이론에서 본 갈등의 동학과 실천적 해법』,『역설의 형식 -조지 스펜서-브라운의 「형식의 법칙들」의 수학과 철학에의 입문』,『심리-내부세계의 외부세계의 내부세계에 관한 연구들』, 『공식 조직의 기능과 결과』,『루만-핸드북: 생애-저작-영향』과 『사회구조와 의미론』(I-IV)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역자 서문 _12
머리말 _17
도입(프릿츠 모슈타인 막스) _19
서론: 의도와 방법 _28
1. 조직과 조직 연구의 관점 일치와 한계 _28
2. 불일치 관점으로서의 기능적 분석 _30
3. 사회적 체계의 공식 조직의 일반이론 _31
4. 책의 구성 _33
제 1 부 기본 개념
제1장 사회적 체계들 _37
1. 환경에 맞서 자신을 유지하는 체계로서의 사회질서 _37
2. 의미 연관으로서의 인적 행위체계와 사회적 행위체계 _39
3. 체계 문제로서의 기대 안정화 _41
4. 비공식 구조로서의 자연적 행위체계와 공식화된 기대연관으로서의 조직된 체계 _42
5. 행위체계와 조직체계 구분의 방법상 장점 _43
제2장 공식 조직 _45
1. 공식 집단과 비공식 집단의 대립 관점과 한계 _46
2. 기존 공식성 개념의 정의와 그 한계 _48
3. 집단 형성의 기본 법칙에서 본 공식 조직과 비공식 조직 _50
4. 구성원자격의 가변변수화의 그 요건들 _52
5. 공식화된 체계 구성원들의 행동의무들 _55
6. 기대 공식화의 조건들 _56제3장 역할로서의 구성원자격 _58
1. 가입과 탈퇴의 구조적 의미의 문제 _59
1-1) 구성원 역할 및 지평을 넘어서는 경계 의식 _59
1-2) 체험과 처리의 대상으로서의 공식 조직 _60
1-3) 구성원 역할의 구조 효과 _61
1-4) 구성원 교체 가능성에 근거한 사회적 체계의 공식화 및 안정성 _65
2. 공식화된 체계에서의 역할조합 형식 _68
2-1) 구성원 역할의 기능 및 (차이)동일성 _68
2-2) 공식 역할과 비공식 역할의 분화를 통한 신축성 _71
3. 체험 성과의 질서 기능 구축 원리 _72
3-1)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의 조화 효과 _74
3-2) 명시적 역할 구성요소들과 잠재적 역할 구성요소들 _75
제 2 부 공식화의 체계 기능들
제4장 행동기대 일반화 79
1. 규범, 역할, 제도: 시간적 타당성, 사실적 무모순성, 합의 유지 _79
2. 시간적 타당성, 사실적 무모순성, 사회적 합의를 통한 일반화 _81
3. 공식화의 기능: 일반화의 최대화 _85
제5장 기대구조의 공식화와 경계 정의 _87
1. 기대 공식화: 기대 인정으로서의 구성원자격 _88
2. 기대 공식화와 세 가지 의미 차원에서 체계 경계의 정의 _89
2-1) 구성원 역할의 기능: 행동기대의 공식적 타당성 확보 _90
2-2) 공식적이고 일관된 기대 질서의 형성 _92
2-3) 사회적 합의를 통한 경계 정의 _98
2-4) 신뢰의 체계 공고화 효과 _103제6장 공식화와 체계 분화 _106
1. 체계 유지 문제와 행위의 다(多)기능적 결과의 간과
: 분화의 성과 획득에 대한 고전적 설명의 한계 _106
2. 체계 분화의 기능과 작용 방식 _108
2-1) 체계 분화의 충족 방식
: 성과 단위들의 형성과 하위체계들의 분화 _109
2-2) 전체 체계 내에서의 하위체계들의 불변성 유지
: 역할 행동을 통한 개별 기능의 충족 _110
2-3) 하위체계들의 자기유지를 위한 전체 체계의 기능
: 단단한 경계와 특수한 목적의 선택 _111
3. 통합하는 구조로서의 공식적 기대 _113
3-1) 새로운 종류의 경계 정의들과 통합의 문제 _113
3-2) 새로운 종류의 내적 일반화
: 공식적 질서에의 지향을 통한 체계 분화 _115
3-3) 공식체계의 내부 분화와 체계의 공식적 일반화 _116
3-4) 분화 그리고 체계의 형식적 일반화의 상호 제한 _118
4. 분화 관점의 선택: 체계 과제 분류의 문제들과 대안 _120
4-1) 특수한 욕구들과 차별적인 공식화와 문제들 _120
4-2) 과제 분류의 의의: 하위체계 형성을 위한 결정화 지점 _122
4-3) 대안: 공표된 체계 목적과 체계 유지 욕구들과의 조화 _124
제7장 구성원 동기화 _126
1. 동기화 구조와 소통 구조의 분리 _128
2. 권위 의존의 일반화 _135
3. 동기화와 조직 목적의 분리 _140
4. 참여 동기화와 성과 동기화의 분리 _145제8장 비구성원들을 위한 체계의 서술 _151
1. 조직 목적의 정의와 환경의 구조화: 체계의 환경 적응 문제 _151
2. 목적 추구와 목적 서술의 분리와 연결: 결정과 소통의 이접 _153
3. (행정)조직의 결정과 결정의 소통 _154
4. 조직의 외부 면과 조직의 공식성: 적응을 위한 조직의 행동 _156
5. 조직 내부 면의 기능
: 외부 서술의 선택과 조종 및 제시 불가능한 욕구들의 은폐 _160
6. 조직의 공식성과 비공식적 제도들의 협력
: 체계 서술에서 참여자 자기서술의 기능 _165
제9장 영향의 공식화 _170
1. 시간적, 사실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영향 기대 일반화 _171
2. 의존의 중앙 집중을 통한 영향 기대의 일반화: 권력 _175
3. 부여된 영향 기대의 일반화: 권위 _177
4. 구성원들과 비구성원들의 분화에 근거한 체계의 영향 기대 일반화: 지도 _181
제10장 기대구조의 신축성과 변경들 _188
1. 기대구조의 신축성과 행동기대들의 변경 가능성 _188
2. 위치, 위치체계에서의 기대구조의 가변성 _191
3. 위치 변경 가능성에 기초한 기대구조의 구조적 분화
: 기대구조 변경의 프레임 조건 _195
4. 기대구조 변경의 실현과 실제적인 어려움들 _197
4-1) 위치 변경으로 인한 조직 구성원들의 어려움 _198
4-2) 위치 변경으로 인한 조직과 소통의 어려움과 해법
: 증축 전략과 양가성 전략 _201
5. 조직과 혁신의 충돌: 내적 지속 문제와 외적 지속 문제의 딜레마 _207제 3 부 공식화의 이차적 기능들
제11장 서열 질문들 _213
1. 서열의 자발적 생성과 사회적 체계의 형성 기능 _214
2. 서열 공식화 기능 _219
2-1) 공식적인 신분 위계와 시간적, 사실적, 사회적 지위 일반화 _220
2-2) 공식 조직 내 서열 위계의 독립화 _223
3. 서열 공식화의 결과들 _225
3-1) 신분 불일치 문제 _225
3-2) 공식 신분의 공식 결정 의존 _226
3-3) 서열 구조들의 심층 효과의 감소 _229
3-4) 공식적 서열 단계들에 대한 비공식적인 추가 구분 _231
제12장 책임과 책임성 _234
1. 정보처리의 사회적 과정으로서의 책임: 불확실성 흡수 _236
2. 공식화된 질서에서 결정 강제로 변환된 책임의 문제
: 불확실성 흡수 기능의 탈공식화 _239
2-1) 결정 권한의 분화를 통한 불확실성 흡수 _241
2-2) 책임의 해명 의무에의 제한을 통한 불확실성 흡수 _243
3. 책임성 문제에 관한 고전 조직과학의 해법과 역기능적 결과들 _244
4. 공식화된 체계의 대체 해법 _253
제13장 소통망의 공식화 _255
1. 공식화된 체계에서의 소통망과 소통 경로의 특화 _257
2. 고전적 조직이론의 한계 _262
3. 소통망의 기능적 운용을 위한 제안들 _266제14장 지도자와 상사 _273
1. 기초적 지도 _275
2. 공식화된 체계 내에서의 지도의 기능 _276
3. 상반된 기대들에 대한 지도 역할의 내적 갈등으로의 전환 _282
제15장 경계 위치들 _291
1. 경계 위치들의 문제와 기능 _291
제16장 갈등의 공식화 _315
1. 갈등 주제의 이분화 _318
2. 갈등 질서의 기능들 _324
제17장 실망, 실수, 처벌 _330
1. 기대의 실망 _330
2. 공식 조직의 실망 대응 전략: “실수” _334
3. 제재의 중앙집중화 및 그 기능과 한계 _339
4. 공식 조직의 비공식적 제재와 기능 _343
제 4 부 공식 조직에서의 공동 작업
제18장 공식성과 실제 행동 _353
제19장 기대구조와 접촉구조 _358
1. 접촉의 언어화와 접촉 방어 _364
2. 조직상 허구들 _365
3. 소통 장애 _368
4. 신축적 프로그램화 _370
제20장 공식 역할과 비공식 역할의 분리 _373
제21장 상황의 고유 권한 _389
1. 거대 공식 조직과 개별 상황의 병존 _389
2. 자연적인 사회적 상황과 공식적인 사회적 상황 _391
3. 공식적인 상황의 성공을 위한 요건들 _395제22장 사용할 만한 위법성 _400
1. 적응적 전략으로서의 위법성과 그 체계이론적 의미 _400
2. 해법으로서의 실천적-작동적 기술들 _404
3. 위법성 은폐 전략들과 기능들 _408
제23장 동료 관계 _414
1. 공식 조직의 필수 보완물로서의 동료 관계 _414
2. 신뢰와 비공식적 동료적 행동의 제도화 _419
3. 구성원의 자기존중 유지 기능 _422
4. 파벌: 유형, 특징, 기능 _426
제24장 기초적 행동방식의 쇠락과 유지 _436
1. 도움과 감사 _439
2. 교환 _444
3. 조롱과 농담 _447
4. 개인적 존중을 통한 행동 조종 _455
5. 개인적인 교제 형식들 _465
6. 분별, 공손함, 친절함의 형식 _469
7. 간접 소통의 형식들 _474
제25장 감정적 안정화와 기능적 안정화 _486
결론: 인간들과 척도들 _498
후기 1994 _517
참고문헌 _52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有山輝雄 (2023)
Gladwell, Malcolm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