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글의 발전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상규, 李相揆, 1953- 천명희, 千明熙, 1974-, 저
서명 / 저자사항
한글의 발전 / 이상규, 천명희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23  
형태사항
660 p. : 삽화 ; 23 cm
ISBN
9791169191203
서지주기
참고문헌: p. 652-66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3730
005 20230713154445
007 ta
008 230712s2023 ulka b 000c kor
020 ▼a 9791169191203 ▼g 93710
035 ▼a (KERIS)BIB000016777999
040 ▼a 243009 ▼c 243009 ▼d 211009
082 0 4 ▼a 495.711 ▼2 23
085 ▼a 497.11 ▼2 DDCK
090 ▼a 497.11 ▼b 2023z4
100 1 ▼a 이상규, ▼g 李相揆, ▼d 1953- ▼0 AUTH(211009)109734
245 1 0 ▼a 한글의 발전 / ▼d 이상규, ▼e 천명희
246 1 1 ▼a The development of Hangul
246 3 1 ▼a Development of Hangul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3
300 ▼a 660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652-660
700 1 ▼a 천명희, ▼g 千明熙, ▼d 1974-, ▼e▼0 AUTH(211009)112995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11 2023z4 등록번호 1118825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글의 발전이라는 책은 필자와 천명희 교수가 쓴 논문을 중심으로 살을 붙여 전체를 3편으로 나누어 한글의 창제에서 현대 AI시대 한글의 활용에 대한 내용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해석하고 설명하였다. 제1편은 5장으로 구성하여 훈민정음에 대한 사유라는 이름으로 훈민정음 창제와 그 배경 그리고 경북 안동 지역에서 훈민정음 보급에 대한 내용을, 제2편은 훈민정음 내용 분석으로 7장에 걸친 글들을 모았다. 특히 지금까지 훈민정음 해례의 텍스트를 완결된 글로 이해해왔으나 여러 명이 분담하여 쓴 글이었기 때문에 상당한 오류와 내용의 불일치가 있음을 처음으로 발견하여 그 문제점을 밝힌 글을 실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쓴 훈민정음에 대한 성운학적 연구로 윤순기의 「조선문자해설」을 학계에 처음으로 공개한 논문을 실었으며 훈민정음 해례를 간행하여 반사했다는 기록이 없음에도 이를 반포한 것으로 공인하고 있는 학계의 논의를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하였다. 제3편은 훈민정음 보급과 활용이라는 내용으로 6편의 글을 싣고 AI시대 한글의 과학적 응용 기반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이미 NIA에 한글 필사 자료의 기계 인식 학습 기반 마련을 위한 빅데이터 구축사업을 시도해 온 경험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 어휘신경망 구축, 다양한 카테고리 테킹을 활용한 성층적 텍스트 지식 정보를 음성자료와 결속, 고어의 현대 번역을 위한 병렬망뭉치 구축 등 연구 확장을 위한 내용을 실었다.

머리말
한글은 세계 최강의 우리 글자인 한글의 자소의 변별력으로 딥러닝 머신 라벨링 언어로 도약할 수 있는 시대에 도달하였다. 세종께서 창제하신 훈민정음을 최만리는 直書其言이라 하였다. 곧 한글은 학의 울음소리나 바람소리도 적을 수 있는 탁월한 문자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한글을 글로 적으면 곧 언어, 말이 된다는 뜻은 이 세상의 모든 소리를 글자로 쓸 수 있다는 말이다. 지식정보 전달의 수단인 세상의 모든 텍스트로 전환할 수 있는 문자가 바로 한글이다. 이미 현대언어학자들도 한글이 자음과 모음 모두 최소변별적 자질로 구성된 세계 최고의 변별적 문자로 규정하고 있다.
2021년 10월 9일 제8회 인문가치포럼에서 필자는 「AI환경에서 한글의 활용 방안」에 대한 발표문에서 10,172자의 조합글자가 가로획, 세로획, 빗금획, 동그라미 4개의 획으로 겹침이 없는 세계 최대 최적의 과학적이고 우수한 변별적 문자로 항후 디지털시대에 지식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매우 적합한 문자임을 밝혔다. 한글의 세계화가 꿈이 아닌 현실로 AI과학자들과 협력하여 알고리즘 테킹이나 라벨링 부호로서 전 세계과학자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날이 올 것이다.
이 책은 대학생들과 대학원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전문 서적이지만 일반 대중들이 읽어도 될 내용들이다. 내용상에 드러나는 오류가 있다면 앞으로 더 보완해 나갈 것을 약속드리며 문맥상 선행 연구 성과를 일일이 각주를 달지 못한 일반적으로 축적된 선행연구자들의 성과에 대하여 깊이 감사를 드린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상규(지은이)

경북 영천 태생으로 울산대학교와 경북대학교 교수 역임, 제7대 국립국어원장, 교육부 인문학육성위원, 통일부 겨레말큰사전 편찬위원 이사와 국회 입법교시 출제위원 역임. 현재 경북대학교 명예교수. 경상북도 한글콘텐츠산업 민간 육성위원장. 세종학당 재단 감사. 『경북방언사전』(2002 학술원 우수도서), 『언어지도의 미래』(2006 문체부 우수도서), 『훈민정음통사』(2014 한국연구재단 우수도서), 『한글고문서 연구』(2012 학술원 우수도서), 『사라진 여진문자』(2014 문체부 우수도서), 『한글공동체』(2015 세종도서 학술부분 우수도서), 『민족의 말은 정신, 글은 생명-조선어학회 33인 열전』(2013), 『국민혁명군 이상정의 북만주기행』(2020), 『이상정과 이여성-달구벌이 낳은 예술가이자 독립운동가』(2021) 등 저서와 논문 다수.

천명희(지은이)

안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경상북도 한글문화·콘텐츠 산업육성 민간위원회 위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의 <옛한글 OCR 데이터>사업단장. 「고성이씨 소장 해도교거사의 국어학적 가치」(2016), 「훈민정음 해례본 텍스트의 오류」(2019), 『증보 정음발달사』(2016), 『경북북부지역 방언사전』(2019), 『광흥사 초간본 월인석보21』(2019, 세종학술우수도서), 『광흥사 월인석보 권7 권8』(2019, 세종학술우수도서) 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제1편 훈민정음에 대한 사유
제1장 훈민정음 창제 이전, 언어와 문자
제2장 이 땅을 밝힌 훈민정음
제3장 훈민정음, 성운학적 기초
제4장 ‘훈민정음’은 누가 만들었나?
제5장 경북안동지역 훈민정음의 보급

제2편 훈민정음 내용 분석
제1장 종성 규정과 ‘범자필합이성음凡字必合而成音’
제2장 「세종실록」 분석을 통한 훈민정음 창제 과정
제3장 ‘훈민정음’ 연구의 미래
제4장 훈민정음 연구사
제5장 「훈민정음 해례」 텍스트의 오류 분석
제6장 「훈민정음」 영인 이본의 권점 분석
제7장 「훈민정음」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접근
제8장 일제강점기의 훈민정음 연구

제3편 훈민정음 보급과 활용
제1장 우리 말과 글의 변천
제2장 한글 어떻게 보급 확산되었나
제3장 화원승 신민의 한글 편지 분석
제4장 한문에서 한글로, 글말과 입말의 분리와 통합
제5장 AI 기반 한글 지식 정보 확장 전략
제6장 한글 분석 기반에서 ISLA데이터 멀티모달 구축 방안

참고논저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