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중 문말서법 대조 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吳玉嬌
서명 / 저자사항
한·중 문말서법 대조 연구 / 오옥교
발행사항
서울 :   역락,   2023  
형태사항
257 p. : 삽화 ; 23 cm
ISBN
9791167425461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48-257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3726
005 20230720110252
007 ta
008 230712s2023 ulka b 000a kor
020 ▼a 9791167425461 ▼g 937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a chi
082 0 4 ▼a 495.75 ▼a 495.15 ▼2 23
085 ▼a 497.5 ▼2 DDCK
090 ▼a 497.5 ▼b 2023z2
100 1 ▼a 吳玉嬌 ▼0 AUTH(211009)153443
245 1 0 ▼a 한·중 문말서법 대조 연구 / ▼d 오옥교
260 ▼a 서울 : ▼b 역락, ▼c 2023
300 ▼a 257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248-257
546 ▼a 본문은 한국어, 중국어가 혼합수록됨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 2023z2 등록번호 1118825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말서법을 대조 연구하는 교재다. 한.중 문말서법의 대응 체계를 규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중 문말서법과 화용양태가 상호작용하면서 실현요소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가 가지는 개별적인 화용양태를 검토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문말서법을 대조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문말서법은 한국어에서 문장종결법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중국어에서 구말어기라고 부른다. 한국어의 습관에 따라 이 책에서 중국어 구말어기를 문말어기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모두 문말서법을 수행하는 체계화된 문법 형식이 존재한다. 한국어의 경우 문장종결형이 그것이고 중국어의 경우 문말 어기조사가 그것이다.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이 책은 한·중 문법서법을 한·중 문말서법(1)과 한·중 문말서법(2)로 나누어 서로의 대응 체계를 규정하기로 한다. 한·중 문말서법(1)은 화자가 명제 내용을 [+상태]의 정보로 인식하는 경우를 말하고 한·중 문말서법(2)는 화자가 명제 내용을 [+행동]의 정보로 인식하는 경우를 말한다.
그다음으로 한·중 문말서법의 형태·통사적 대조를 진행한다. 형태적 대조에서 한·중 문말서법의 실현요소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의 형태적 특성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문말서법을 수행할 때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가 받게 되는 형태적 제약,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의 형태적 분류와 형태적 교체를 대조한다. 통사적 대조에서 한·중 문말서법의 통사적 대조 특성을 살펴본다. 즉,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는 문말서법을 수행할 때 통사적으로 받게 되는 제약을 서술하고 그들의 통사적 기능과 통사 구조상의 위상을 밝혀낸다.
그리고 한·중 문말서법은 화용양태와 상호작용하는 관계를 규정하고 한·중 문말서법(1)과 한·중 문말서법(2) 각각의 화용양태와 실현요소의 특성을 대조해 본다. 한·중 문말서법(1)에는 설명법·진술어기, 감탄법·감탄어기, 의문법·의문어기가 있고 한·중 문말서법(2)에는 약속법·진술어기, 허락법·진술어기, 경계법·진술어기, 명령법·기사어기 그리고 공동법·기사어기가 있다. 이 부분에서 한·중 문말서법이 실현하는 화용양태를 설명하고 실현요소인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의 대응 양상을 대조해 본다.
한마디로, 이 책은 한·중 문말서법의 대응 체계를 규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중 문말서법과 화용양태가 상호작용하면서 실현요소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의 대응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문장종결형과 중국어 문말 어기조사가 가지는 개별적인 화용양태를 검토해 본다. 이러한 대조 연구가 한국어를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오옥교(지은이)

중국 산동사범대학교(山东师范大学, Shandong Normal University) 한국어학과 학부를 졸업하고 한국 전북대학교(全北大学校, Jeonbuk National University)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대학원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중국 북경외국어대학교 아시아대학 한국어학과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한국어 문장종결형 ‘-지’와 중국어 어기조사 ‘吧(ba)’에 대한 의미화용적 기능 비교 연구」, 「한·중 인칭접미사 소고: ‘-가(家)와 ‘-家(jiā/jia)’를 중심으로」,「中韩人称后缀对比研究:以词根的形态学特征为中心」,「日本操弄下的朝鲜半岛近代中、日形象建构: 以朝鲜半岛首份近代报纸󰡔汉城旬报󰡕为中心」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제1장 들어가기
1.1. 한·중 문말서법 연구의 목적
1.2. 대상 및 방법
1.3. 선행 연구
1.4. 논의 구성

제2장 이론적 배경
2.1. 한·중 문말서법의 개념과 체계
2.1.1. 한·중 문말서법의 개념
2.1.2. 한·중 문말서법의 체계
2.2. 문말서법과 양태 및 화용양태
2.2.1. 문말서법과 양태
2.2.2. 문말서법과 화용양태
2.3. 한·중 문말서법의 활용 조건
2.3.1. 형태·통사적 조건
2.3.2. 담화적 조건
2.3.3. 억양 조건


제3장 한·중 문말서법의 형태·통사적 대조
3.1. 한·중 문말서법의 형태적 대조
3.1.1. 형태적 제약
3.1.2. 형태적 분류
3.1.3. 형태적 교체
3.2. 한·중 문말서법의 통사적 대조
3.2.1. 통사적 제약
3.2.2. 통사적 기능
3.2.3. 통사 구조상의 위상


제4장 한·중 문말서법(1)의 의미·화용적 대조
4.1. 한·중 문말서법(1)의 의미 및 특성
4.2. 설명법과 진술어기
4.2.1. 설명법·진술어기의 의미
4.2.2. 설명법·진술어기와 화용양태의 상호작용
4.2.3. 설명법·진술어기의 화용양태
4.2.4. 소결
4.3. 감탄법과 감탄어기
4.3.1. 감탄법·감탄어기의 의미
4.3.2. 감탄법·감탄어기와 화용양태의 상호작용
4.3.3. 감탄법·감탄어기의 화용양태
4.3.4. 소결

4.4. 의문법과 의문어기
  4.4.1. 의문법·의문어기의 의미
  4.4.2. 의문법·의문어기와 화용양태의 상호작용
  4.4.3. 의문법·의문어기의 화용양태
  4.4.4. 소결


제5장 한·중 문말서법(2)의 의미·화용적 대조
5.1. 한·중 문말서법(2)의 의미 및 특성
5.2. 약속법과 진술어기
5.2.1. 약속법·진술어기의 의미
5.2.2. 약속법·진술어기와 화용양태의 상호작용
5.2.3. 약속법·진술어기의 화용양태
5.2.4. 소결
5.3. 허락법과 진술어기
5.3.1. 허락법·진술어기의 의미
5.3.2. 허락법·진술어기와 화용양태의 상호작용
5.3.3. 허락법·진술어기의 화용양태: [허락]
5.3.4. 소결
5.4. 경계법과 진술어기
5.4.1. 경계법·진술어기의 의미
5.4.2. 경계법·진술어기와 화용양태의 상호작용
5.4.3. 경계법·진술어기의 화용양태
5.4.4. 소결
5.5. 명령법과 기사어기
5.5.1. 명령법·기사어기의 의미
5.5.2. 명령법·기사어기와 화용양태의 상호작용
5.5.3. 명령법·기사어기의 화용양태
5.5.4. 소결
5.6. 공동법과 기사어기
5.6.1. 공동법·기사어기의 의미
5.6.2. 공동법·기사어기와 화용양태의 상호작용
5.6.3. 공동법·기사어기의 화용양태
5.6.4. 소결


제6장 나오기
6.1. 한·중 문말서법의 형태·통사적 대조 특성
6.2. 한·중 문말서법의 화용양태와 실현요소 대조 특성
6.3. 남은 문제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