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3612 | |
005 | 20230712133649 | |
007 | ta | |
008 | 230712s2023 ulka b 000a kor | |
020 | ▼a 9791141020507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78.155 ▼2 23 |
085 | ▼a 378.155 ▼2 DDCK | |
090 | ▼a 378.155 ▼b 2023z1 | |
100 | 0 | ▼a 뤂 |
245 | 1 0 | ▼a 대학원, 그 세상 속으로 / ▼d 뤂 |
260 | ▼a 서울 : ▼b BOOKK, ▼c 2023 | |
300 | ▼a 111 p. : ▼b 천연색삽화 ; ▼c 22 cm | |
504 | ▼a 참고문헌: p. 110-111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78.155 2023z1 | Accession No. 12126356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서른을 맞이한 한 석사의 자전적 에세이.
지난 날을 돌이켜보면서 진로를 고민하는 한 청년의 이야기입니다.
작가 A
한 남자의 20대가 오롯이 담긴 비밀 일기장을 훔쳐보는 것만 같다. 어쩌면 거울에 비친 나를 보는 것 같기도 하다. SKY에 입학하면 ‘행복하게 잘 살았답니다.’로 끝날 줄 알았던 동화의 뒷 이야기. ‘대학원을 다니는 사람들은 대체 무얼하고 있을까?’라는 물음에 대답이 될 이야기. 운명론을 믿던 순수한 삶에서 운명을 스스로 개척해가는 변화는 사실 우리 모두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강냉이
국내외 대학원 진학에 관심있는 분들께 추천드려요. :) 국내에서 석사를 마치고 해외에서 박사를 시작하는 저자는 자신이 왜 학문의 길을 가게 됐고, 어떻게 그 길을 갔으며, 가는 동안 어땠는지를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습니다. 덕분에 이 책을 읽으면 연구자의 길을 가는 저자의 고민을 엿보며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간접경험을 해볼 수 있답니다.
변호사A
대학에 가면, 대학원에 가면 끝날줄 알았던 진로고민이 결코 끝나지 않는 현실. 좌절하기보다는 자신을 성찰하는 기회의 장으로 삼는 저자의 건강한 태도가 인상 깊다. 가보지 않고는 결코 알 수 없는 대학원생의 생활을 마치 인류학자처럼 꼼꼼하게 참여하고 관찰하며 써내려간 일종의 인류학적 민속지 같은 귀중한 자료. 비단 대학원생이 아니더라도 함께 공감하며 읽을 수 있는, 삶의 방향에 대한 고민을 하게 만드는 책. 후속작이 벌써 기다려지게 만드는 마력이 있다.
와촌 (A대학 교수)
하고 싶은 그리고 다른 것에 비해 더 잘 할 수 있는 일을 평생 할 수 있다면 그보다 더 행복할 수 있을까? 학문과 연구의 끝없는 긴 여정을 앞에 두고 깊이 고민하고 두루 탐색하며 철저하게 준비하는 저자의 노력이 돋보인다. 읽은 이로 하여금 책에서 눈을 떼지 못하게 한다. 이 책이 관심있는 독자들에게는 새로운 도전의 계기가 될 것으로 믿는다. 저자의 학업과 연구, 그리고 인생에 큰 발전이 있기를 기원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6 제1장 학사: 연구를 향한 열정 8 1화 연구의 시작: “형, 저도 논문 쓰고 싶어요.” 9 2화 논문 작성과정: 논문학개론101 12 3화 프로젝트 참여: 대학원 스펙 쌓기 26 4화 글쓰기 강의: 글쓰기 훈련과정 34 5화 삶의 방향 고민: 어떻게 살 것인가?52 6화 첫 학술논문 게재: 마침내 찍은 마침표55 7화 대학원을 앞두고: 나의 학문적 정체성62 제2장 석사: 짧은 일탈, 진로 고민 64 1화 추계학술대회 발표: ‘내가 교수님들 앞에서 발표를?’65 2화 휴학, 그리고 인턴생활: ‘회사에서 일을 해볼까?’70 3화 학위논문 작성: 또 하나의 마침표, 썩 만족스럽지 않은73 4화 진로 고민: 무엇을 하고 살 것인가?76 제3장 석사 졸업 후: 박사과정 준비, 그 결과81 1화 유학준비: 나는 이렇게 했다 82 2화 두 번째 학술논문 게재 : 학위논문에 다시 찍은 마침표 89 3화 끝나지 않은 고민: 다시 한 번, 어떻게 살 것인가 92 4화 나의 유학 재수생활: 냉탕과 온탕 사이 100 5화 Reject, 그 후: ‘이립(而立)’의 시간을 돌이켜보며 106 나가며 108 참고문헌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