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3570 | |
005 | 20230724160447 | |
007 | ta | |
008 | 230712s2022 ulkj b 001c kor | |
020 | ▼a 9788961877718 ▼g 94910 | |
020 | 1 | ▼a 9788961876698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760937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 ▼2 23 |
085 | ▼a 953.06 ▼2 DDCK | |
090 | ▼a 953.06 ▼b 2021z18 ▼c 4 | |
100 | 1 | ▼a 김현숙, ▼d 1962- ▼0 AUTH(211009)44597 |
245 | 1 0 | ▼a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와 강제 병합 / ▼d 김현숙, ▼e 한성민 지음 |
260 |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2 | |
300 | ▼a 478 p. : ▼b 연표 ; ▼c 23 cm | |
490 | 1 0 |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04 - 정치 |
500 | ▼a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 |
500 | ▼a 부록: 한국의 보호국화와 병합 연표(1989.10-1910.8), '한국병합' 관련 주요 조약 및 문서 | |
504 | ▼a 참고문헌(p. 459-469)과 색인수록 | |
700 | 1 | ▼a 한성민, ▼g 韓成敏, ▼d 1972-, ▼e 저 ▼0 AUTH(211009)144567 |
830 | 0 |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04 - 정치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2021z18 4 | 등록번호 11188255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제침탈사 연구총서 4권. 러일전쟁부터 한국병합에 이르는 시기는 제국주의 국가 간의 식민지 쟁탈전이 최고조에 다다른 시기였다. 한국의 보호국화와 ‘병합’도 세계사적인 흐름 속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러일전쟁과 1905년 포츠머스 조약을 전후로 일본은 열강의 반응과 국제 관계를 주시하고 신중한 태도를 취하였고, 한국 보호국화에 대해 세계 열강의 동의를 이끌어 냈다. 이 책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동 속에서 일본의 한국 침탈 과정을 심도 있게 규명한다.
러일전쟁부터 한국병합에 이르는 시기는 제국주의 국가 간의 식민지 쟁탈전이 최고조에 다다른 시기였다. 한국의 보호국화와 ‘병합’도 세계사적인 흐름 속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러일전쟁과 1905년 포츠머스 조약을 전후로 일본은 열강의 반응과 국제 관계를 주시하고 신중한 태도를 취하였고, 한국 보호국화에 대해 세계 열강의 동의를 이끌어 냈다. 이 책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동 속에서 일본의 한국 침탈 과정을 심도 있게 규명하여 20세기 초 보호국화와 강제 병합으로 나아가는 원인과 과정 그리고 결과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현숙(지은이)
건양대학교 인문융합학부 강의전문부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 서양인고문관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양대학교 인문융학학부 강의전문부교수로 있다. 주요 논저로 『조선의 여성, 가계부를 쓰다』(경인문화사, 2018), 『사진으로 읽는 한국 근현대사』(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근대 한국의 서양인 고문관들』(한국연구원, 2008), 「미국공사 알렌의 사회적 관계와 협력망」(『이화사학연구』 60, 이화사학연구소, 2020), 「아관파천기 영국과 미국의 한반도 팽창의 양상과 특징」(『한국사연구』 187, 한국사연구회, 2019) 등 다수가 있다.
한성민(지은이)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일본의 망명자 김옥균 처우책과 그 성격”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일본의 ‘한국병합’ 과정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로 있다. 주요 논저로 『일본의 ‘韓國倂合’ 과정 연구』(경인문화사, 2021), 「‘韓國倂合’에 대한 일본의 정책적 일관성 검토-「大韓施設綱領」과 「大韓施設大綱」의 비교를 중심으로」(『한일관계사연구』 72, 한일관계사학회, 2021), 「망명자 김옥균(金玉均)에 대한 일본의 처우와 조선정책(1884~1890)」(『역사와현실』 109, 한국역사연구회, 2018) 등이 있다.

목차
발간사 편찬사 서론 프롤로그 제1장 점증하는 한반도 위기와 러일의 갈등 1. 러일의 팽창정책과 한반도 2. 고조되는 극동 위기와 러일의 각축 제2장 동맹체제와 러일전쟁의 발발 1. 심화하는 러일 갈등과 한국의 대응 2. 러일전쟁의 발발과 전후처리 제3장 통감부의 설치와 보호국체제의 성립 1. 을사조약의 체결과 보호권 강제 2. 통감부의 설치와 보호국체제 제4장 열강의 세력 재편과 일본의 국권 침탈 강화 1. 제2회 헤이그만국평화회의와 열강의 세력 재편 2. 제3차 한일협약 체결과 일본의 국권 침탈 확대 제5장 일본의 한국 강제 병합 1. 일본정부의 ‘한국병합’ 방침 확정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2. ‘한국병합’ 실행 결론 보론: ‘한국병합’의 불법 무효성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