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3569 | |
005 | 20230724155706 | |
007 | ta | |
008 | 230712s2022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61877589 ▼g 94910 | |
020 | 1 | ▼a 9788961876698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674310 | |
040 | ▼a 244008 ▼c 244008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 ▼2 23 |
085 | ▼a 953.06 ▼2 DDCK | |
090 | ▼a 953.06 ▼b 2021z18 ▼c 30 | |
100 | 1 | ▼a 김광열, ▼g 金廣烈, ▼d 1958- ▼0 AUTH(211009)44165 |
245 | 1 0 | ▼a 해방 전 일본도항 및 일본거주 한인에 대한 일제의 통제 / ▼d 김광열, ▼e 김인덕 지음 |
260 |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2 | |
300 | ▼a 363 p. ; ▼c 23 cm | |
490 | 1 0 |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30 - 사회 |
500 | ▼a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 |
504 | ▼a 참고문헌(p. 345-358)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인덕, ▼g 金仁德, ▼d 1962-, ▼e 저 ▼0 AUTH(211009)19063 |
710 | ▼a 동북아역사재단. ▼b 일제침탈사편찬위원회 | |
830 | 0 |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30 - 사회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2021z18 30 | 등록번호 1118825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제 강점기 식민지 본국의 식민지민에 대한 연구는 근대 제국주의의 식민통치를 큰 틀에서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주제다. 현재 일본의 자이니치 존재, 헤이트 스피치, 혐한론 등에 대한 이해는 식민정책과 제국의 구조로 거슬러 올라가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식민지기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이동했던 한인들의 도항 상황, 일제 치안당국이 한인의 일본 도항을 통제하기 위해 실시한 각종 정책, 일본거주 한인의 거주 및 생활 양태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특히 민족차별로 인한 조선인학살사건도 포함되어 있어서 한일 역사 현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인덕(지은이)
청암대학교 교수/재일코리안연구소 소장.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1920년대 재일조선인 민족해방운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청암대학교 교수, 재일코리안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주요 논저로 『한국현대사와 박물관』(2018, 국학자료원), 『오사카 재일조선인의 역사와 일상』(2020, 선인), 『갈등과 화합의 재일코리안 단체의 역사』(2021, 선인) 등이 있다.
김광열(지은이)
광운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일본의 도쿄(東京)외국어대학교 일본학과를 졸업하고, 히토츠바시(一橋)대학교 대학원 사회학연구과에서 ‘일본거주 조선인의 노동운동’, ‘일본거주 조선인의 형성과정’에 관한 논문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현재 광운대학교 국제학부의 교수로 재직. 저서로는 『한인의 일본이주사 연구 - 1910~1940년대』(논형, 2010), 『패전 전후 일본의 마이너리티와 냉전』(공저, 제이앤씨, 2006), 『재일조선인 그들은 누구인가』(공저, 삼인, 2003), 『근현대 한일관계와 재일동포』(공저,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여운형 평전』(역저, 역사비평사, 2007), 『여운형과 상해임시정부』(역저, 선인, 2017) 등이 있다.

목차
발간사 편찬사 총론 1. 집필 목적 2. 검토 주제별 기존 연구 상황 제1장 해방 전 한반도에서 발생한 대규모 도일 현상의 배경 1. 식민지기 한인의 도일 개황 2. 대규모 도일자가 발생한 내부 요인 3. 소결 제2장 식민지기 한인의 일본도항에 대한 일제 치안 당국의 통제 1. 1910년대의 도일 규제: 여행증명서 제도 2. 1920년대의 도일 규제 3. 일본의 중국 침략(1930~1937년)에 즈음한 도일 규제 강화 4. 1938년 이후 총동원체제하의 도일 규제 5. 개인적 수단의 ‘비정규’ 형태 도일 6. 소결 제3장 일본거주 한인의 지역별· 직업별 인구 분포와 변화 1. 1920년경: 일본 내에 한인 집중 거주지 출현 2. 1920년대 전반: 대도시 주변부에 거주자 증가 3. 1920년대 후반: 대도시에 집중된 한인 인구 4. 1930년대 전반: 정착화 현상의 시작 5. 1930년대 후반 이후: 확산된 정착 경향 6. 소결 제4장 일본거주 한인의 주거, 노동 및 생활 양상 1. 주거 환경 2. 노동 환경 및 생활 상황 3. 일본의 실업구제 토목사업과 한인 실업자 4. 도일 후 비정착 귀환자들의 상황 5. 소결 제5장 1923년 관동대지진과 한인 학살 1. 관동대지진 시 유언비어와 한인 학살 2. 한인 학살 사건의 실태 3. 한인 학살 사건에 대한 대응 4. 1923년 관동대지진 한인 학살 사건의 역사적 함의 5. 소결 제6장 일본거주 한인의 통제조직 협화회의 본질과 한계 1. 협화회 창설과 통제 2. 중앙협화회의 설립과 활동 3. 한인 동화를 위한 협화사업 4. 협화회에 의한 일제의 통제 5. 협화체제의 다양한 모습과 해체 6. 일본 경찰의 통제와 한계 7. 소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