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3370 | |
005 | 20230712103809 | |
007 | ta | |
008 | 230711s2023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62388039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671029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0.95193 ▼2 23 |
085 | ▼a 330.9539 ▼2 DDCK | |
090 | ▼a 330.9539 ▼b 2023 | |
100 | 1 | ▼a 홍제환 |
245 | 1 0 | ▼a 북한경제 / ▼d 홍제환 지음 |
260 | ▼a 서울 : ▼b 해남, ▼c 2023 | |
300 | ▼a iv, 119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한국경제 시민강좌 ; ▼v 3 |
504 | ▼a 참고문헌(p. 109-110)과 색인수록 | |
830 | 0 | ▼a 한국경제 시민강좌 ; ▼v 3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Newly arrived Books Corner/ | Call Number 330.9539 2023 | Accession No. 15136448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통일연구원에서 북한경제를 연구하고 있는 홍제환 연구위원이 쓴 『북한경제』는 해방 직후부터 최근까지 북한경제의 흐름을 개관하고 있다. 책은 총 5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장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북한에서 사회주의 계획경제 체제가 구축되는 과정에 대해 살피고 있다. 이어 제2장에서는 북한경제가 1950년대 후반 잠시 빠르게 성장한 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장기 침체에 빠지게 되는 과정과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있으며, 제3장 「고난의 행군, 1990~1999」에서는 1990년대 북한이 겪은 극심한 경제위기의 발생 요인, 대규모 아사자 발생 요인, 위기 극복 과정에서 나타난 북한경제의 변화상 등에 대해 논하고 있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2000년대 이후 북한경제에서 나타난 변화를 시장화, 경제개혁, 대외경제 관계로 나누어 살펴본 뒤, 주민들의 생활 수준에 대해서도 논하고 있으며, 제5장에서는 2010년대 후반 들어 한층 강화된 대북제재의 내용은 무엇이며, 그것이 북한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통일연구원에서 북한경제를 연구하고 있는 홍제환 연구위원이 쓴 『북한경제』는 해방 직후부터 최근까지 북한경제의 흐름을 개관하고 있다. 책은 총 5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장 「사회주의 계획경제 체제의 형성, 1945~1965」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북한에서 사회주의 계획경제 체제가 구축되는 과정에 대해 살피고 있다. 이어 제2장 「‘반짝 성장’과 장기 침체, 1956~1990」에서는 북한경제가 1950년대 후반 잠시 빠르게 성장한 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장기 침체에 빠지게 되는 과정과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있으며, 제3장 「고난의 행군, 1990~1999」에서는 1990년대 북한이 겪은 극심한 경제위기의 발생 요인, 대규모 아사자 발생 요인, 위기 극복 과정에서 나타난 북한경제의 변화상 등에 대해 논하고 있다.
그리고 제4장 「계획과 시장의 공존, 2000~2015」에서는 2000년대 이후 북한경제에서 나타난 변화를 시장화, 경제개혁, 대외경제 관계로 나누어 살펴본 뒤, 주민들의 생활 수준에 대해서도 논하고 있으며, 제5장 「제재의 충격, 2016~2021」에서는 2010년대 후반 들어 한층 강화된 대북제재의 내용은 무엇이며, 그것이 북한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은 연구자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을 대상으로 삼아 비교적 쉽고 간결하게 북한경제의 어제와 오늘에 대해 소개하고 만큼, 북한경제에 대한 입문서로 삼기 좋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제1장 사회주의 계획경제 체제의 형성, 1945~1965
초기 조건: 남북한의 비교
사회주의적 소유로의 전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의 구축
제2장 ‘반짝 성장’과 장기 침체, 1956~1990
경제 실적
‘반짝 성장’ 요인
장기 침체 요인
변화의 모색
제3장 고난의 행군, 1990~1999
경제위기와 그 원인
아사(餓死)
아래로부터의 시장화
제4장 계획과 시장의 공존, 2000~2015
완만한 회복세
경제개혁
시장화와 사경제 활동의 확산
대외경제 관계의 확대
생활 수준
제5장 제재의 충격, 2016~2021
대북제재
영향
나가며
Information Provided B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