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3106 | |
005 | 20231004105648 | |
007 | ta | |
008 | 230707s2022 ulkaj b 001c kor | |
020 | ▼a 9788961877695 ▼g 94910 | |
020 | 1 | ▼a 9788961876698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763289 | |
040 | ▼a 211032 ▼c 211032 ▼d 211009 | |
082 | 0 4 | ▼a 951.903 ▼2 23 |
085 | ▼a 953.06 ▼2 DDCK | |
090 | ▼a 953.06 ▼b 2021z18 ▼c 25 | |
100 | 1 | ▼a 정재정, ▼g 鄭在貞, ▼d 1951- ▼0 AUTH(211009)130732 |
245 | 1 0 | ▼a 일제의 조선 교통망 지배 : ▼b 해운·철도·소운송·도로·항공 / ▼d 정재정 지음 |
260 |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2 | |
300 | ▼a 591 p. : ▼b 삽화, 연표 ; ▼c 23 cm | |
490 | 1 0 | ▼a 일제침탈사 연구총서 ; ▼v 25 - 경제 |
500 | ▼a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 |
500 | ▼a 부록: 대한시정방침(對韓施政方針) | |
504 | ▼a 참고문헌(p. 569-575)과 색인수록 | |
830 | 0 | ▼a 일제침탈사 연구총서 ; ▼v 25 - 경제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2021z18 25 | 등록번호 11188249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2-26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06 2021z18 25 | 등록번호 11188333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근대 제국주의 열강의 식민지 지배에서 교통망에 대한 연구는 ‘근대화’ 또는 ‘산업화’라는 측면과 다른 한편으로는 수탈의 수단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과제다. 이 책은 식민지 시기 한반도의 교통망 또는 해운·철도·소운송·도로·항공 등의 기반시설과 기선·열차· 통운·자동차·비행기 등의 운송기구 등을 다루고 있다.
이 분야에서 대표적인 필자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종합하면서 교통 관련 인프라 전반에 대해 시대순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이 일제의 식민지 침탈의 역사를 통사적으로 고찰하고, 수탈의 실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재정(지은이)
서울시립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와 도쿄대학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마쳤다. 문학박사. 한국근대사, 한일관계사, 역사교육의 전문가. 서울시립대학교 인문대학장 · 대학원장,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광주과학기술원 초빙석학교수 등을 역임했다. 한일 정부가 지원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간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위원, 서울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 서울특별시 역사자문관 등을 지냈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명예교수, 서울학연구소 평양학연구센터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요 단저로, 『일제침략과 한국철도 (1892∼1945)』(일본어 번역본, 『帝國日本の植民地支配と韓国鉄道 1892∼1945』), 『한국의 논리-전환기의 역사교육과 일본인식』, 『일본의 논리-전환기의 역사교육과 한국인식』, 『서울과 교토의 1만년』, 『한일교류의 역사』, 『서울 역사 2000년』, 『韓国と日本-歴史教育の思想』, 『新しい韓国近現代史』, 『주제와 쟁점으로 읽는 20세기 한일관계사』(일본어 번역본, 『主題と争点で読む20世紀 韓日関係史』), 『한일의 역사갈등과 역사대화』(일본어 번역본, 『韓日の歴史対立と歴史対話』), 『한일회담, 한일협정, 그 후의 한일관계』, 『철도와 근대 서울』, 주요 번역서로, 『식민지통치의 허상과 실상』, 『한국병합사의 연구』, 『러일전쟁의 세기』, 『일본의 문화내셔널리즘』, 『일본군위안부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등, 공저 · 논문 다수가 있다.

목차
발간사 편찬사 서론 제1장 침략과 식민 발판의 구축(1875~1910) 1. 해운 1) 조선의 개항과 해운 경영 2) 일본 해운의 득세와 통감부의 지원 2. 철도 1) 조선인의 철도 인식과 건설 시도 2) 일본의 철도부설과 조선인의 항일투쟁 3) 일본의 철도 국유화와 운영체제 정비 3. 소운송 1) 소운송의 개념과 역할 2) 소운송업의 등장과 승인운송점 제도의 도입 4. 도로 1) 도로 개황과 도로 조사 2) 통감부의 도로 개설 5. 소결 제2장 지배와 세력 확산 통로의 형성(1910~1920) 1. 해운 1) 조선총독부의 항만 수축과 명령항로 제도 운영 2) 조선우선주식회사의 설립과 연안항로 경영 2. 철도 1) 철도망과 수송 추이의 개관 2) 서울-대전 기축 형 간선철도망의 형성 3) 조선-만주 철도의 연결과 경영 통합 4) 사설철도의 장려와 1차 발흥 3. 소운송 1) 철도연선의 일본화와 유통 구조의 변화 2) 소운송업의 발흥과 일본 업자의 우대 4. 도로 1) 도로의 등급과 노선 2) 도로 개설의 추진과 실적 3) 자동차 교통의 태동과 감독 체계의 마련 5. 소결 제3장 지역 개발과 통합 간선의 정비(1920~1931) 1. 해운 1) 조선우선주식회사의 근해항로 확장과 수송 실태의 변화 2) 조선기선주식회사의 설립과 연안항로의 축소 운영 3) 해운 회사의 조선-일본 항로 경쟁과 경기 불황 2. 철도 1) 철도망의 확장 여론과 국유철도의 조선총독부 직영 2) ‘조선철도12년계획’의 입안과 개요 3) 사설철도의 침체와 통폐합 3. 소운송 1) 소운송업의 분포와 규모 2) 소운송업의 알력과 합동의 강박 4. 도로 1) 도로 개설의 부진과 국방도로의 건설 2) 자동차 교통의 보급과 관리 5. 소결 제4장 ‘북선개척’과 일본-조선-만주 연락 동맥의 확충(1931~1937) 1. 해운 1) 해운경기의 호전과 근해항로의 확장 2) 조선우선주식회사의 근해항로 운영 3) ‘북선루트’의 조성과 동해횡단항로의 보완 2. 철도 1) ‘조선철도12년계획’의 추진 2) ‘북선개척’과 철도망의 확장 3) 일본-조선-만주 첩경의 신설 4) 국제열차와 관부연락선의 운용 5) 사설철도 정책의 전환과 2차 발흥 3. 소운송 1) 운송합동의 추진과 조선운송주식회사의 활동 2) 비합동 소운송업의 반발과 재흥 4. 도로 1) 도로 골격의 형성과 보완 2) 자동차 교통의 확산과 관리 5. 항공 1) 항공교통의 출현과 항공노선의 개설 2) 조선인의 항공 진출과 항공 수송의 증가 6. 소결 제5장 전시 동원 경로의 강화 및 통제(1937~1945) 1. 해운 1) 항만시설의 증강과 근해항로의 확장 2) 일본의 해운 통제와 관리 3) 조선 해운의 결전 수송과 통제 2. 철도 1) 간선철도의 신설과 수송시설의 개량 2) 군사수송의 극대화와 결전 조직으로의 재편 3) 국제열차와 관부연락선, 번성에서 붕괴로 4) 사설철도의 신장과 국유화의 확대 3. 소운송 1) 통합 갈등의 재연과 집약 합동의 추진 2) 일원적 통합과 해륙일관수송의 실현 4. 도로 1) 도로체계의 조정과 군사도로의 확장 2) 자동차사업과 수송실적의 추이 3) 자동차 교통의 통제와 결전 수송의 단행 5. 항공 1) 정기항공로의 확장과 비행장의 증설 2) 군사항공으로의 전환과 궤멸 6. 소결 결론 부록 그림· 표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