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교육심리 11
0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개인적 구성주의 12
02. 비고츠키(Vygotsky) 인지발달이론 : 사회적 구성주의 14
03. 프로이드(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psycho-sexual development theory) 16
04. 프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psycho-social development theory) 18
05. 생물생태학적 접근 : 유리 브론펜브레너(U. Bronfenbrenner) 20
06. 도덕성 발달이론 : 피아제, 콜버그, 길리건 22
07. 행동주의학습이론 - 1 : 학습의 극대화는 최적의 환경을 개발하는 것 24
08. 행동주의학습이론 - 2 : 학습의 극대화는 최적의 환경을 개발하는 것 26
09. 사회인지 학습이론 : 반두라(Bandura) 28
10. 인지주의 학습이론 (잠재학습, 통찰학습, 정보처리이론) 30
11. 정보처리이론(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앳킨슨과 쉬프린 32
12. 동기(귀인이론, 자기결정성이론, 목표지향) 34
13. 학습양식 및 학습의 이해 36
14. 지능(고전지능, 대안지능 : 가드너, 스턴버그) 38
15. 창의성과 영재성 40
제2장 교수학습 43
01. 브루너(J. Bruner)의 교수이론 : 발견학습(discovery learning) 44
02. 오수벨(D.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 이론, 개념 46
03. Gagne의 처방적 교수 이론 : 목표별 수업 이론 48
04. 교수설계이론 : ADDIE모형 50
05. 켈러(J. Keller)의 ARCS 모형 : 주의,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52
06. 라이겔루스(C. Reigeluth), 메릴(M. D. Merrill) 54
07. 협동학습과 개별학습 56
08. 구성주의 학습 58
09. 구성주의 학습이론 60
10. 공 학 62
11. 원격교육과 블렌디드 교육 64
제3장 교육과정 67
01. 교육과정의 역사 : 교과 경험 학문 인간 68
02. 이해 : 공식 잠재 영 교육과정 70
03. 교육과정 개발과정 : 개발, 실제, 이해 72
04. 교육과정 개발과정 : 개발, 실제, 이해 74
05. 교육과정 개발과정 : 개발, 실제, 이해 76
06. 교육과정의 이해 : 재개념화 78
제4장 교육평가 81
01. 참조준거 평가 : 규준, 준거, 자기 82
02. 수업진행에 따른 평가 : 진단, 형성, 총괄 84
03. 수행 평가 : 특징, 평정오류 86
04. 정의적 행동 특성의 측정방법 88
05. 문항분석 및 점수해석 90
06. 평가의 양호도 : 타당도(충실히, 적절히) 92
07. 평가의 양호도 : 신뢰도(정확, 일관성) 94
08. 평가의 양호도 : 타당도와 신뢰도, 객관도, 실용도 96
제5장 교육행정 99
01. 교육행정의 개념과 기능 및 특성 100
02. 행정원리 102
03.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순서 1 : 과학적 관리, 관료제, 인간관계론, 행동과학이론 104
04.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순서 2 106
05.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순서 2 : 과학적 관리, 관료제, 인간관계론, 행동과학이론 108
06. 학교조직 : 조직화된 무정부, 이완결합체제, 이중조직 110
07. 학교조직 유형 2 : 이완결합체제, 이중조직 111
08. 동기-내용 : 동기 유발 ‘무엇’ 113
09. 동기 - 과정 : 동기 유발 ‘어떻게’ 115
10. 리더십(지도성 상황이론)과 의사결정 모형 118
11. 변혁적 지도성(transforming leadership) 120
12. 의사결정의 주요 모형 122
13. 갈등론 124
14. 장학의 개념 126
15. 장학의 유형(약식, 임상, 동료, 자기, 학교 컨설팅) 128
16. 학교운영위원회 130
제6장 교육철학 133
01. 교육의 정의 및 개념 134
02. 교육철학 136
03. 루소(J. J. Rousseau, 1712 ~ 1778) 138
04. 존 듀이(John Dewey : 1859~1952) : 아동, 흥미, 반성적 사고 140
05. 실존주의 142
06. 분석철학과 프래그머티즘 144
07. 20세기 전기의 교육철학 : 진보주의, 항존, 본질주의 146
08. 비판이론(Critical theory) : 호르크하이머(M, Horkheimer), 하버마스(J. Habermas) 148
09.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 리오타르, 푸코, 데리다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