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2420 | |
005 | 20230629102941 | |
007 | ta | |
008 | 230628s2023 ggka b 001c kor | |
020 | ▼a 9791158084479 ▼g 93310 | |
035 | ▼a (KERIS)BIB000016759800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519.5 ▼2 23 |
085 | ▼a 519.5 ▼2 DDCK | |
090 | ▼a 519.5 ▼b 2023z1 | |
100 | 1 | ▼a 김규성, ▼g 金奎聖, ▼d 1966- ▼0 AUTH(211009)148708 |
245 | 1 0 | ▼a 조사통계학 = ▼x Survey statistics / ▼d 김규성 지음 |
246 | 3 0 | ▼a 통계학 |
260 | ▼a 파주 : ▼b 자유아카데미, ▼c 2023 | |
300 | ▼a vii, 314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295-305)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2019년도 서울시립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519.5 2023z1 | Accession No. 11188214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사연구와 통계학의 접점에 위치하는 학문이 바로 조사통계학이다. 이 책은 이러한 조사통계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집필되었으며, 이 책을 통해 조사통계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학부생, 대학원생, 그리고 기관에서 직접 통계업무를 담당하는 연구자에게 조사의 전반적인 과정과 조사통계학의 원리를 단계별로 알기 쉽게 설명하고자 한다.
'조사는 조사연구를 학문적 도구로 사용하는 사회학, 경제학, 경영학, 정치학, 심리학, 환경공학 등의 분야에서 정보를 얻기 위한 매우 유용한 수단이며, 조사통계학은 유한모집단을 연구대상으 로 확률표집에 기초한 표본선정과 추론이 핵심인 통계학의 한 분야이다. 즉, 조사연구와 통계학의 접점에 위치하는 학문이 바로 조사통계학이다. 이 책은 이러한 조사통계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집필되었으며, 이 책을 통해 조사통계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학부생, 대학원생, 그리고 기관에서 직접 통계업무를 담당하는 연구자에게 조사의 전반적인 과정과 조사통계학의 원리를 단계별로 알기 쉽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책은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조사의 개념과 조사과정, 조사오차, 조사품질의 내용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19세기 후반부터 발전하기 시작한 현대적인 조사통계학 이론의 역사를 간단하게 소개한다. 제2장에서는 표본설계와 질문지 설계, 데이터 수집 방법을 다룬다. 제1절 표본설계에서는 조사프레임과 확률 및 비확률표집 방법을 소개하고, 제2절 질문지 설계에서는 질문지 설계 과정과 질문 유형, 질문 표현 등 질문지 작성에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하며, 제3절 데이터 수집에서는 면접조사, 전화조사, 컴퓨터지원 조사, 웹조사 등을 공부한다. 제3장에서는 확률표집의 개념과 추정의 기본 원리를 설명한다. 조사통계학에서 추론의 근거는 확률표집에 기초한 추정치의 표집분포이고, 추정 방법은 가중치를 이용한 ?추정법이다. 단순 확률표집, 계통표집의 표본선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한 뒤 선정된 표본에서 획득한 조사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총계, 모평균, 모비율, 분위수 등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4장에서는 복합설계로서 층화표집과 클러스터 표집 그리고 복합조사를 소개한다. 층화표집에서는 층을 나누는 방법, 각 층에 표본을 배정하는 방법 그리고 층화표본을 이용한 모수추정을 주요하게 다룬다. 클러스터 표집에서는 단계적으로 표본을 선정하고 단계별 표본선정 확률을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클러스터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제5장의 추정에서는 기본 원리인 ?추정법의 토대 위에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추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가중치 보정 방법을 설명하고, 비추정, 회귀추정, 일반회귀추정, 보정추정 방법을 소개한다. 유한모집단 분위수에 대한 논의는 제3절에서 다루고 분산추정은 제4절에서 다룬다. 분산추정법으로는 선형화 방법, 랜덤그룹 방법, 재표집 방법과 복제법을 설명한다. 신뢰구간 구축에서 분산추정치는 핵심적인 요소이므로 분산추정은 모수추정과 함께 조사통계학 이론의 핵심을 담당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획득된 정보가 데이터 편집과정과 무응답 처리를 거쳐 분석에 적절한 형태의 통계표 및 공용 마이크로데이터가 만들어지기까지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소개한다. 조사데이터는 응답자의 신원 및 기밀 정보를 포함하므로 통계표 및 공용 마이크로데이터 보급 전에 응답자의 노출 여부를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를 위한 통계적 노출조절의 몇 가지 기법을 소개한다. 조사데이터의 정보량을 줄이지 않으면서 노출 위험을 조절하는 것이 관건이다. 최근에 급증하는 비확률표본의 활용에 대한 논의와 행정데이터의 활용성에 대한 논의는 제3절에서 다룬다.
좋은 책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 점은 양해를 바라며, 출간 후에 나올 수 있는 수정 사항 등은 자유아카데미 홈페이지(www.freeaca.com) 자료실에 제공할 예정이니 참고 바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1 조사 소개 1.1.1 조사의 개념 1.1.2 조사의 유형 및 특성 1.1.3 모집단 1.1.4 표본설계 1.1.5 조사데이터 분석 1.2 조사과정 1.2.1 조사설계 1.2.2 데이터 수집 1.2.3 데이터 편집 1.2.4 무응답 처리 1.2.5 데이터 분석 1.2.6 데이터 보급 1.3 조사오차 1.3.1 소개 1.3.2 조사편향 1.3.3 포함범위 오차 1.3.4 무응답 오차 1.3.5 측정오차 1.3.6 데이터 처리오차 1.3.7 총조사 오차 1.4 조사품질 1.4.1 소개 1.4.2 조사품질 1.4.3 품질관리 1.5 조사통계 이론의 발전 1.5.1 조사의 시작 1.5.2 그란트와 라플라스의 인구추정 1.5.3 키애르의 대표 표본 1.5.4 유의선정과 확률표집 1.5.5 균형표집 1.5.6 네이만의 확률표집 1.5.7 설계기반 추론의 발전 1.5.8 모형기반과 모형지원 추론 1.5.9 분산추정과 무응답 처리 1.5.10 데이터 수집 모드 1.5.11 조사의 미래 연습문제 제2장 표본설계와 데이터 수집 2.1 표본설계 2.1.1 서론 2.1.2 조사프레임 2.1.3 표집 2.1.4 비확률표집 2.1.5 확률표집 2.1.6 반복조사 설계 2.2 질문지 설계 2.2.1 개요 2.2.2 질문지 설계 2.2.3 질문 유형 2.2.4 질문 표현 2.2.5 응답오차 2.3 데이터 수집 2.3.1 소개 2.3.2 기본적 데이터 수집 방법 2.3.3 컴퓨터지원 데이터 수집 2.3.4 기타 수집 방법 2.3.5 혼합 모드 2.3.6 웹조사 2.3.7 데이터 처리 연습문제 제3장 확률표집 및 추정 3.1 확률표집의 기본 개념 3.1.1 모집단 3.1.2 표본선정 3.1.3 추정 3.1.4 호르비쯔-톰슨 추정량 3.1.5 복원표집 3.1.6 기술적 추론과 해석적 추론 3.2 단순확률표집 3.2.1 서론 3.2.2 모평균 추정 3.2.3 모비율 추정 3.2.4 신뢰구간 3.2.5 표본크기 결정 3.2.6 복원 단순확률표집 3.3 계통표집 3.3.1 소개 3.3.2 계통표본 선정 3.3.3 추정 연습문제 제4장 복합표집 4.1 층화확률표집 4.1.1 서론 4.1.2 층화확률표집 4.1.3 모비율 추정 4.1.4 층경계 설정 4.1.5 사후층화 4.1.6 표본크기 결정 4.1.7 표본배정 4.2 클러스터 표집 4.2.1 소개 4.2.2 단순확률 클러스터 표집 4.2.3 동질성 측도 4.2.4 클러스터 크기비례 확률표집 4.2.5 2단계 표집 4.3 복합조사 4.3.1 복합조사 소개 4.3.2 설계가중치 4.3.3 복합표본 설계효과 연습문제 제5장 추정 5.1 기본 추정 5.1.1 소개 5.1.2 가중법 5.1.3 단순 추정 5.2 회귀추정 5.2.1 비추정 5.2.2 회귀추정 5.2.3 일반회귀추정 5.2.4 보정추정량 5.3 분위수 추정 5.3.1 소개 5.3.2 분포함수 및 분위수 5.3.3 분포함수 및 분위수 추정 5.3.4 분위수 신뢰구간 5.4 분산추정 5.4.1 개요 5.4.2 선형화 방법 5.4.3 랜덤그룹 방법 5.4.4 재표집과 복제법 연습문제 제6장 데이터 처리 6.1 데이터 편집 6.1.1 데이터 편집 6.1.2 대체 방법 6.1.3 이상치 처리 6.2 무응답 처리 6.2.1 소개 6.2.2 무응답 원인과 응답률 6.2.3 무응답 편향과 원인 6.2.4 무응답 메커니즘 6.2.5 무응답 가중치 보정 6.3 비확률표본 활용 6.3.1 배경 6.3.2 비확률표본에 기초한 통계적 추론 6.3.3 행정데이터 6.4 통계적 노출조절 6.4.1 배경 6.4.2 유일성의 개념 6.4.3 기밀 유지 및 노출조절 6.4.4 데이터 보급 연습문제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