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2375 | |
005 | 20230630105758 | |
007 | ta | |
008 | 230628s2022 ulka b 000a kor | |
020 | ▼a 9791137290150 ▼g 137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495.7/076 ▼a 495.77 ▼2 23 |
085 | ▼a 497.076 ▼2 DDCK | |
090 | ▼a 497.076 ▼b 2022z1 | |
100 | 1 | ▼a 지은이 |
245 | 1 0 | ▼a 전공 국어 톺아보기 : ▼b 중세국어 / ▼d 지은이 지음 |
260 | ▼a 서울 : ▼b 부크크, ▼c 2022 | |
300 | ▼a ix, 186 p. : ▼b 삽화 ; ▼c 30 cm | |
504 | ▼a 참고문헌: p. 186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대형 497.076 2022z1 | 등록번호 11188209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4-01-03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공 국어를 톺아보는
단 하나의 기출 문제집
2023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대비
전공 국어 톺아보기 중세국어
1. 고려대학교 석사 집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 학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가 집필하였습니다.
PART1.
2. 초수생도 알기 쉽게, N수생이 놓치지 않게
중등교사 임용시험, 시험 준비 방법,
나만의 시험장 노트 만들기, 교재 활용 방법, 답안 작성 요령을 제공합니다.
특히 답안 작성 요령은 최근 기출 문제에 실제 적용한 예시를 덧붙였습니다.
PART2.
3.전 문항을 샅샅이 톺아 나가면서 살피었습니다.
예시 답안, 문항 해설, 출제 예상 요소, 형태소 분석의 짜임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심화 내용을 함께 다루면서도 지나치게 난도 낮은 내용,
지엽적인 내용, 기계적으로 반복되는 내용을 최소화하였습니다.
4. 전년도 기출 문제, 평가원 예시 문제, 공청회 문제 총망라
1998~2022학년도 전 문항
2014학년도 평가원 예시 문항
2008년 공청회 예시 문항
5. 중세국어 모든 예문 형태소 분석 제공
모든 예문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제공하였습니다.
모든 형태소에 대해 기계적으로 설명하기보다
다수의 수험생이 생소할 만한 어휘나 꼭 알아두어야 할 만한 내용 위주로 정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적정량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6. 고득점을 가르는 킬러 문항 집중 해설
정확한 정답을 도출하기 위해 알아야 할 내용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더불어 수험생의 확산형 공부를 돕고자,
이 문항과 관련되거나, 이 문항을 빌려 공부하면 좋을 심화 내용을
함께 기술하였습니다.
(+) 예정 사항
박사 검수 예정
유튜브 강의 예정
시험장 노트 및 임용 필독 도서 목차 제공 예정
정보제공 :

목차
PART1. 중등교사 임용시험 1 시험 준비 방법 3 교재 활용 방법 5 답안 작성 요령 6 PART2. 【1】 문자의 역사와 표기법 17 [1] 한자 차용 표기 17 2009-24 17 2016A4 19 2005-21 20 [2] 훈민정음 22 2012-22 22 2009 모의-22 25 2010-22 28 1997-6 29 [3] 표기법 31 2019A12 31 2003-6-1 32 2007-10 34 2000-6-1 37 【2】 음운론 39 [2] 음운 체계 39 (1) 모음 체계 39 2011-22 39 2013-15 41 2014A서술3 42 1998-6 44 (2) 자음 체계 46 2017B6 46 [2] 음운변화 47 (1) 모음 변화 47 • ‘ㆍ’의 소실 47 2012-21 47 (2) 자음 변화 49 1) 중세국어의 자음 변화 49 • ㅸ>w 49 2006-13 49 • ㅇ[ɦ]의 소실 51 2005-12 51 2) 근대국어의 자음 변화 53 • 구개음화 53 2016A9 53 2004-4-2 55 2001-5-1 57 [3] 음운론적 제약 58 2007-11 58 【3】 형태론 60 [1] 곡용 60 (1) 명사 60 2006-15 60 (2) 대명사 64 2018B7 64 2007-12 66 (3) 조사 68 2008-11 68 2006-14 71 2015B서술2 73 [2] 활용 75 (1) 활용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75 2009 모의-17 75 2020A8 77 2011-23 78 2010-21 80 (2) 선어말 어미 82 2013-21 82 2016B5 84 2012-23 86 2010-24 88 (3) 어말 어미 90 2019A2 90 2021B1 92 2009 모의-23 93 [3] 품사의 통용 96 2018A4 96 2005-11 98 [4] 단어의 형성 100 (1) 단어 형성법 100 2013-23 100 (2) 파생법 102 • 파생 명사 102 2020B8 102 2019B7 104 2008-12 106 • 파생 부사 108 2013-22 108 • 파생 형용사 110 2015A서술3 110 【4】 통사론 112 2022B7 112 [1] 일과 관련된 문법 범주 114 1999 추가 -4 114 [2] 사람과 관련된 문법 범주 116 (1) 결어법 116 • 문체법 116 2021A7 116 2015A기입5 118 2000-6-2 120 2005-22 122 2008 공청회-문법3 123 • 존비법 125 2008-10 125 (2) 공대법 128 • 존경법 128 2005-13 128 • 겸손법 129 1999-5 129 [3] 화자 표시법과 대상 표시법 131 2022A9 131 2009 모의-24 132 2017A4 135 2004-4-1 136 【5】 종합 138 2013-24 138 2012-24 140 2011-24 143 2010-23 145 2009-21 147 2009-22 150 2009-23 152 2002-4 154 【6】 논술 156 2013 2차-3 156 2012 2차-3 162 2011 2차-3 167 2010 2차-3 172 2009 2차-3 177 2009 모의 2차-3 182 참고문헌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