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2080 | |
005 | 20230622172135 | |
007 | ta | |
008 | 230621s2023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92365305 ▼g 03800 | |
035 | ▼a (KERIS)BIB000016763813 | |
040 | ▼a 223009 ▼c 223009 ▼d 211009 | |
082 | 0 4 | ▼a 801.95 ▼2 23 |
085 | ▼a 801.95 ▼2 DDCK | |
090 | ▼a 801.95 ▼b 2023 | |
100 | 1 | ▼a 임용택, ▼g 林容澤, ▼d 1958- ▼0 AUTH(211009)138878 |
245 | 1 0 | ▼a 문학의 이해와 감상 / ▼d 임용택 |
260 | ▼a 서울 : ▼b 박문사, ▼c 2023 | |
300 | ▼a 261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61 | |
536 | ▼a 이 저서는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 2023 | Accession No. 11188188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29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문학이 오늘 현대사회에서 지니는 실용적 가치와 기여도를 비롯해, 최근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대중)문화 분야나 문학 이외의 장르와의 유기적 조화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언급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은 문학을 여전히 실생활과는 동떨어진 보수적이고 딱딱한 비평영역으로 남겨둘 우려가 있다. 이에 이 책은 문학의 효용적 가치를 최우선으로 삼아 현대사회의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사항과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문학을 현대사회 및 문화의 특징과 구조를 이해하는 자료로 삼고자 한다.
이 책은 크게 6부로 구성된다.
제1부 <문학일반>에서는 문학의 기본적 정의와 기능을 비롯해, 주된 감상법인 모방론·표현론·효용론(수용론)·객관적 존재론(구조론)을 조명해 작품 감상의 틀을 제시한다. 이어서 문학이론과 분석에 필요한 제반 용어 및 기초적인 개념을 설명함으로써, 문학이라는 학문 분야의 전체적 성격을 개관하고 이해를 도모한다.
제2부 <문학과 언어>에서는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수단인 언어와 관련된 주요 사항을 종합적으로 점검한다. 특히 소쉬르로 대표되는 언어학·기호학 이론을 문학과 접목시켜 문학작품에서 언어가 수행하는 기능과 역할을 면밀히 검토한다. 나아가 문학 언어와 일상 언어와의 차이 및 문학작품을 하나의 거대한 담론(談論)으로 간주하는 구조주의 관점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현대문학에서 언어가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제3부 <문학과 예술>에서는 문학작품을 일정한 기호적 의미를 지닌 텍스트로 간주해 미술이나 음악과 같은 다른 예술 장르와의 유기적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문학 텍스트들은 독자들의 열린 해석에 개방돼 있다는 텍스트성 이론, 모든 예술 텍스트들이 내부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상호텍스트성 이론 등을 바탕으로 문학과 미술, 문학과 음악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점검한다.
제4부 <문학과 문화비평>에서는 기호학적 언어이론에 바탕을 둔 구조주의 문화비평을 문학 텍스트 분석에 접목시켜 조명한다. 구체적으로 소설과 같은 문학작품은 물론 드라마, 영화의 미디어 콘텐츠의 서술구조 분석을 우리 사회에 통용되는 허구적 관념인 ‘신화’의 관점에서 논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효용성을 발휘할 수 있는 문학연구 방법론 제시에 주력한다. 그 밖에도 1960년대의 새로운 문학연구를 모색한 컬추럴스터디스와 영화소설, 영화시의 설명도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제5부 <현대사회와 문학>에서는 1960년대 이후 오늘날까지 화두가 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의 특징과 성격의 고찰이 주된 관심사이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의 삶의 기록으로서의 문학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외연을 확대하기 위함으로, 포스트모더니즘 문학과 페미니즘 문학은 현대사회의 흐름과 양상을 이해하는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다.
제6부 <현대문학과 성>에서는 현대문학을 논할 때 불가분의 관계를 갖는 성(性)과 신체를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을 비롯한 근대학문의 성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작품과 함께 분석한다. 특히 신체와 성을 에워싼 고전적 인식과 근대적 시각의 차이는 포르노그래피나 성도착과 같은 첨예한 사회문제와 문학적 형상화의 측면에서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 예술적 인간학으로서의 문학의 중요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또 다른 예가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제1부 문학일반 문학의 정의 문학읽기의 목적 문학의 본질과 감상법 소설의 감상법 문학의 기능 문학성의 기본 요소 제2부 문학과 언어 언어학적으로 본 문학의 구조 구조주의 언어이론과 문학 담론과 문학 담론과 이데올로기 언어의 수사적 기교와 문학 제3부 문학과 예술 텍스트의 개념과 성격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론 패러디와 상호텍스트성 문학과 미술 문학과 음악 제4부 문학과 문화비평 컬추럴스터디스와 문화비평 신화와 서술구조 문학과 영화 제5부 현대사회와 문학 물질적 삶의 단편화와 문학 포스트모더니즘의 성립과 전개 모더니즘 문학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페미니즘의 성립과 전개 페미니즘 문학과 여성적 글쓰기 페미니즘 문학작품 감상 제6부 현대문학과 성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이론 문학의 주제로서의 신체 문학 속의 성 문학과 성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