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 : 서울·도쿄·베를린, 세 도시발 교차 일기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솔뫼, 1985- 안은별, 1986-, 저 이상우, 1988-, 저
서명 / 저자사항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 : 서울·도쿄·베를린, 세 도시발 교차 일기 / 박솔뫼, 안은별, 이상우
발행사항
서울 :   민음사,   2023  
형태사항
199 p. : 천연색삽화 ; 21 cm
ISBN
9788937417238
일반주기
부록: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 주고받은 메일들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1866
005 20230620114753
007 ta
008 230616s2023 ulka 000c kor
020 ▼a 9788937417238 ▼g 03810
035 ▼a (KERIS)BIB000016777393
040 ▼a 247009 ▼c 247009 ▼d 211009
082 0 4 ▼a 895.785008 ▼2 23
085 ▼a 897.87008 ▼2 DDCK
090 ▼a 897.87008 ▼b 2023z2
100 1 ▼a 박솔뫼, ▼d 1985- ▼0 AUTH(211009)91651
245 1 0 ▼a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 : ▼b 서울·도쿄·베를린, 세 도시발 교차 일기 / ▼d 박솔뫼, ▼e 안은별, ▼e 이상우
260 ▼a 서울 : ▼b 민음사, ▼c 2023
300 ▼a 199 p. : ▼b 천연색삽화 ; ▼c 21 cm
500 ▼a 부록: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 주고받은 메일들
700 1 ▼a 안은별, ▼d 1986-, ▼e▼0 AUTH(211009)56126
700 1 ▼a 이상우, ▼d 1988-, ▼e▼0 AUTH(211009)11047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97.87008 2023z2 등록번호 1118817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박솔뫼, 안은별, 이상우가 각각 서울, 도쿄, 베를린에 머물며 같은 기간 동안 각자 쓴 글로부터 시작된 책이다. 문예지 《릿터》에 「0시 0시+ 7시」라는 제목으로 2021~2022년에 걸쳐 1년 동안 연재되었던 글을 바탕으로, 드라마 작가 권도은, 음악가 케이타, 바리스타 김연재, 사진가 송곳 등 ‘친구의 일기’ 여덟 편을 더해 완성되었다.

도서 말미의 화보 지면에서는 세 작가가 작업을 위해 주고받았던 아이디어가 담긴 메일과 더불어 세 도시의 생생한 사진을 만나 볼 수 있다. 서로 다른 도시의 일상을 담은 일기이자, 사랑하는 친구를 떠올리며 쓴 편지이기도 하고, 고유하고 즐거운 공동 작업을 완성해 가는 작업 일지이기도 한 이 책은 깊은 대화에의 열망을 품고 있다.

질병의 확산, 전쟁 발발 등 나쁜 쪽으로 질주하는 세계에서 문학, 예술, 연구, 우정, 기억, 사랑 등은 점점 지키기 힘든 가치가 되어 간다. 이것들은 활발한 대화와 교류 속에서 피어나지만, 우리는 사람들과 직접 만나는 일에서부터 많은 제약을 감수해야 했다. 그때 우리에게 필요했던 것은 새로운 대화법일 것이다.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은 박솔뫼·안은별·이상우가 제시하는 새로운 소통 방식의 가능성이다. 이 대화법을 통해 우리는 그동안 잃어버리고 말았던 가치들을 향해 다시 서서히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박솔뫼, 안은별, 이상우의
서울·도쿄·베를린 세 도시발 교차 일기

마주 보고 말하는 대신
서로 다른 공간에서 각자의 시간을 쓰기
시차와 상상으로 완성되는 우리의 대화법


박솔뫼·안은별·이상우, 세 친구의 서울·도쿄·베를린 세 도시발 교차 산문집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소설가 박솔뫼는 시공간을 인식하는 독특한 문체와 시선으로 오래도록 독자와 평단 모두의 사랑을 받아 왔으며, 연구자 안은별은 『IMF 키즈의 생애』 등의 저작물을 통해 해당 세대 개인의 생애사를 들여다보면서도 그 삶에 사회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을 해 왔다. 소설가 이상우는 소설이라는 장르에 없었던 요소를 거듭 시도하며 그만의 문학적 자리를 점한 작가다.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은 고유한 창작물, 연구물을 통해 문학적·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흔적을 새겨 온 세 작가의 첫 번째 공동 산문집이다.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은 박솔뫼, 안은별, 이상우가 각각 서울, 도쿄, 베를린에 머물며 같은 기간 동안 각자 쓴 글로부터 시작된 책이다. 문예지 《릿터》에 「0시 0시+ 7시」라는 제목으로 2021~2022년에 걸쳐 1년 동안 연재되었던 글을 바탕으로, 드라마 작가 권도은, 음악가 케이타, 바리스타 김연재, 사진가 송곳 등 ‘친구의 일기’ 여덟 편을 더해 완성되었다. 도서 말미의 화보 지면에서는 세 작가가 작업을 위해 주고받았던 아이디어가 담긴 메일과 더불어 세 도시의 생생한 사진을 만나 볼 수 있다. 서로 다른 도시의 일상을 담은 일기이자, 사랑하는 친구를 떠올리며 쓴 편지이기도 하고, 고유하고 즐거운 공동 작업을 완성해 가는 작업 일지이기도 한 이 책은 깊은 대화에의 열망을 품고 있다.
질병의 확산, 전쟁 발발 등 나쁜 쪽으로 질주하는 세계에서 문학, 예술, 연구, 우정, 기억, 사랑 등은 점점 지키기 힘든 가치가 되어 간다. 이것들은 활발한 대화와 교류 속에서 피어나지만, 우리는 사람들과 직접 만나는 일에서부터 많은 제약을 감수해야 했다. 그때 우리에게 필요했던 것은 새로운 대화법일 것이다.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은 박솔뫼·안은별·이상우가 제시하는 새로운 소통 방식의 가능성이다. 이 대화법을 통해 우리는 그동안 잃어버리고 말았던 가치들을 향해 다시 서서히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시차와 상상으로 완성된 새로운 대화법의 제안
《릿터》에 세 작가의 글이 연재되었던 2021~2022년은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퍼지고, 전쟁이 발발한 때다. 삶과 신념이 통째로 흔들리고 일상의 많은 것이 변화를 겪어야 했다. 오랫동안 만나지 못한 채 주고받는 짧은 안부와 대화로는 담지 못하는 마음과 장면들이 해소되지 못하고 쌓여만 갔다. 그때 세 작가는 각자의 일상을 쓰고, 그것을 서로 공유하는 것만을 원칙으로 삼은 채 글을 쓰기 시작했다. 서로 다른 도시에서 마주한 수많은 기쁨과 슬픔에 대하여 바로 손을 흔들고 말을 건네는 대신 순간적으로 밀려드는 생각들을 모두 기록하고 서로 나누었다. 그렇게 1년 동안 모인 글들 사이에는 수많은 우연적 겹침이 발생하였다. 안은별이 일본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는 기쁨에 대해 기록하면, 이상우는 자전거나 마차를 타고 베를린 시내를 거니는 감각에 대해 쓴다. 박솔뫼는 꿈속에서 길을 헤매다 상냥한 이에게 약도를 건네받는다. 도시마다 삶마다 존재하는 시차로부터 벌어지는 수많은 우연은 커다란 상상을 위한 공간이 된다. 글을 통해 친구를 떠올리고 상상하다 마침내 서로 얼굴을 마주하는 날이 온다면, 우리는 서로를 더욱 다정한 눈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우연이 선사하는 기쁨을 무한히 확장시킨다면
새로운 대화법이 선사하는 우연한 마주침의 기쁨을 발견한 세 작가는 이 형식을 보다 확장해 보기로 했다. 각자의 삶 속에서 스쳐 지났던 이들을 책 속에 초대하여 그들의 이야기와 함께 엮여 보기를 택한 것이다. 그 결과 드라마 작가 권도은, 음악가 케이타, 바리스타 김연재, 사진가 송곳 등 친구들 8인의 글들이 박솔뫼, 안은별, 이상우 세 작가의 글들 사이를 거닐게 되었다. 이들이 글들 사이에서 발생시키는 더욱 많은 스침과 겹침 들은 곧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을 광장과 같은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우리가 실제 광장에서 누군가를 마주쳤을 때 바로 인사를 건네고 피상적인 대화를 나누다 각자 갈 길을 가는 것과 달리,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이라는 이상한 광장에서는 상대의 시선, 태도, 문체, 일상 등이 오롯이 담긴 이야기를 천천히 읽어 내게 된다. 세 작가가 개발해 낸 새로운 대화법은 이렇게 다른 친구들에게까지 확장되었다. 이러한 시도는 책 바깥의 우리에게도 새로운 대화 방식이 가능하리라는 희망과 여운을 준다. 만약 오랜 친구의 반짝이는 면에 대해 직접 대화해 본 적이 없다면, 또는 물리적으로는 멀리 있지만 늘 마음으로 응원하는 친구가 있다면, 책을 덮은 뒤 그들에게도 세 작가가 선보인 새로운 대화법을 제안해 볼 수 있겠다.

친구를 지키는 방법
좋지 않은 방향으로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우리는 모두 너무 바쁘다. 바쁜 삶 속에서 잃어 가는 많은 것들 중에는 ‘친구’가 있을 것이다. 소설가 이상우는 자신의 소설이 해외에 번역 출간이 된다면, 그 책에 늘 자신을 반가이 맞아 주던 단골 식당 주인 ‘나가유미 씨’에 대한 감사를 적고 싶었다고 하나, 그사이 코로나19로 인한 불황을 버티지 못한 것인지 식당이 사라져 버리고 만다. 이상우는 이 책에 “너무 늦기 전에, 적어도 내가 지금보다 더 많이 잊어버리기 전에 짧게나마 써 둔다.”는 결심으로, “나가유미 씨와 그의 가족이 행복했으면 또 그들이 건강했으면 좋겠다.”고 쓴다. 그가 나가유미 씨에 대해 기록하는 마음은,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을 통해 가깝거나 먼 친구들에게 낯선 방식의 대화를 걸어 보는 마음과 다르지 않다. 세상의 속도를 좇아가기 힘들어 정작 소중한 것들을 모두 뒤에 둔 채 앞으로 걸어가고 있는 이가 있다면, 박솔뫼·안은별·이상우가 마음과 삶을 나누는 방식을 시도해 보자. 어쩌면 우리는 잃어버린 친구를 홀로 추억하는 하루를 보내는 대신, 소중한 친구들과 느리지만 영원한 대화를 나누는 든든한 하루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솔뫼(지은이)

2009년 자음과모음 신인문학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그럼 무얼 부르지》 《겨울의 눈빛》 《사랑하는 개》 《우리의 사람들》 《믿음의 개는 시간을 저버리지 않으며》, 장편소설 《을》 《백 행을 쓰고 싶다》 《도시의 시간》 《머리부터 천천히》 《인터내셔널의 밤》 《고요함 동물》 《미래 산책 연습》이 있다. 문지문학상, 김승옥문학상, 김현문학패, 동리목월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안은별(지은이)

대학에서 언론정보학을 전공했고, 인터넷신문 『프레시안』에서 국제팀·서평팀 기자로 일했다. 현재 일본에 거주하며 도쿄대학교 학제정보학부 박사과정에서 일본 전후의 철도 관광 모빌리티를 상상과 상연이라는 모델로 분석하는 박사논문을 쓰고 있다. 한국에서는 다양한 지면에 일본사회에 대한 글을 쓰고, 일본에서는 관광학 저널에 논문을 쓰며 고등학교에서 사회학을 가르친다. 현대 사회의 다양한 이동 경험에 관여하는 지리적·사회적 상상력과 사물의 매개, 그것이 다시 어떤 사회상을 창출하게 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쓴 책으로 『IMF 키즈의 생애』, 『확장도시 인천』(공저) 등이 있다.

이상우(지은이)

소설가. 지은 책으로 『두 사람이 걸어가』 『warp』 『프리즘』 『모닝빵』(공저)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공저)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읽기 전에 7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 생각하는 친구들
서울의 박솔뫼 11, 23, 31, 49, 56, 62, 84, 125, 147, 192
도쿄의 안은별 14, 27, 44, 77, 109, 121, 149, 181
베를린의 이상우 19, 34, 53, 71, 105, 138, 162

친구의 일기
권도은 39│김준언 66│로빈 91│케이타 115
김연재 133│송 곳 142│이한울 158│황지연 177

부록: 바로 손을 흔드는 대신, 주고받은 메일들 201

관련분야 신착자료

연여름 (2023)
가람기념사업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