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구혜원, 저 문관규, 文寬奎, 1966-, 저 성진수, 成鎭壽, 1972-, 저 송아름, 1983-, 저 이수향, 李壽䅨, 1981-, 저 이용철, 저 이현경, 저 정민아, 鄭珉娥, 1970-, 저 조일동, 趙一東, 1975-, 저 채경훈, 蔡炅勳, 1976-, 저
서명 / 저자사항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 구혜원 [외]저
발행사항
서울 :   미다스북스,   2023  
형태사항
371 p. : 삽화 ; 23 cm
ISBN
9791169101325
일반주기
공저자: 문관규, 성진수, 송아름, 이수향, 이용철, 이현경, 정민아, 조일동, 채경훈  
서지주기
참고문헌(p. 346-359)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1629
005 20230901102720
007 ta
008 230615s2023 ulka b 001c kor
020 ▼a 9791169101325 ▼g 03680
035 ▼a (KERIS)BIB000016631373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91.43095195 ▼2 23
085 ▼a 791.490953 ▼2 DDCK
090 ▼a 791.430953 ▼b 2023z1
245 0 0 ▼a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 ▼b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 ▼d 구혜원 [외]저
260 ▼a 서울 : ▼b 미다스북스, ▼c 2023
300 ▼a 371 p. : ▼b 삽화 ; ▼c 23 cm
500 ▼a 공저자: 문관규, 성진수, 송아름, 이수향, 이용철, 이현경, 정민아, 조일동, 채경훈
504 ▼a 참고문헌(p. 346-359)과 색인수록
700 1 ▼a 구혜원, ▼e▼0 AUTH(211009)155576
700 1 ▼a 문관규, ▼g 文寬奎, ▼d 1966-, ▼e▼0 AUTH(211009)70005
700 1 ▼a 성진수, ▼g 成鎭壽, ▼d 1972-, ▼e▼0 AUTH(211009)155577
700 1 ▼a 송아름, ▼d 1983-, ▼e▼0 AUTH(211009)5255
700 1 ▼a 이수향, ▼g 李壽䅨, ▼d 1981-, ▼e▼0 AUTH(211009)109453
700 1 ▼a 이용철, ▼e▼0 AUTH(211009)27714
700 1 ▼a 이현경, ▼e
700 1 ▼a 정민아, ▼g 鄭珉娥, ▼d 1970-, ▼e▼0 AUTH(211009)74317
700 1 ▼a 조일동, ▼g 趙一東, ▼d 1975-, ▼e▼0 AUTH(211009)123661
700 1 ▼a 채경훈, ▼g 蔡炅勳, ▼d 1976-, ▼e▼0 AUTH(211009)155578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91.430953 2023z1 등록번호 1513641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장호라는 한국영화사를 관통하는 인물을 중심으로 그의 궤적과 함께한 영상시대와 코리안 뉴웨이브, 궁극적으로 동아시아 영화사의 네트워크까지 모두 담았다. 작가 최인호와 김승옥의 역할, 청년문화와 유신 시대의 검열 등 한국영화사의 저변에 흐르는 풍경을 포착하고 7~80년대의 한국영화는 어떻게 흘러갔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장호의 영상시대 그리고 코리안 뉴웨이브로 이어지는 한국영화의 거대한 네트워크를 통해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영화의 변화를 성찰할 수 있을 것이다.

“1970-80년대 영상시대부터
코리안 뉴웨이브의 흐름 속
한국영화의 변화지점을 파헤치다!”

“한국영화 위기의 시대,
거역할 수 없는 새로운 물결을 읽다!”

스크린 영상문화 속 청년문화부터
영화 음악, 각색, 동아시아의 물결까지!

이장호 감독을 중심으로 본 7080스크린 영상문화,
영상시대를 관통하는 화살을 따라가다!


1970년대 한국영화는 정치적 억압과 산업적 침체로 불황의 시기를 지나고 있었다. 하지만 위기의 시대는 늘 새로운 세력과 정신이 돌파구를 뚫어주기 마련이듯 1970년대 이장호, 하길종, 김호선의 등장은 청년문화와 영상시대라는 변화의 바람을 불어넣었다. 그리고 1980년대, 한국 리얼리즘 영화가 한 흐름을 형성해가며 코리안 뉴웨이브라는 거역할 수 없는 물결을 이끌고 1990년대로 넘어갔다. 그리고 이 흐름의 중심에는 이장호 감독이 자리했다. 이장호 감독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느낀 평론가들은 이장호 감독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영화의 변화지점들을 헤아려보는 작업을 시작한다.

이 책은 이장호라는 한국영화사를 관통하는 인물을 중심으로 그의 궤적과 함께한 영상시대와 코리안 뉴웨이브, 궁극적으로 동아시아 영화사의 네트워크까지 모두 담았다. 작가 최인호와 김승옥의 역할, 청년문화와 유신 시대의 검열 등 한국영화사의 저변에 흐르는 풍경을 포착하고 7~80년대의 한국영화는 어떻게 흘러갔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이장호의 영상시대 그리고 코리안 뉴웨이브로 이어지는 한국영화의 거대한 네트워크를 통해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영화의 변화를 성찰할 수 있기를 바란다.

“80년대를 휩쓴 물결, ‘그때’로 ‘지금’을 그리다”

영화 평론가의 시선에서 바라본
7080 한국영화와 동아시아 뉴웨이브 네트워크!


문관규 평론가는 신필름에서 영상시대를 경유하여 코리안 뉴웨이브로 이어지는 이장호 감독의 활동과 그와 인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들이 한국영화사의 주역으로 활동한 풍경을 스케치하였다.

정민아 교수는 ‘소녀’라는 화두를 통해 영상시대의 여배우들을 폭넓게 조망한다. 영상시대의 여배우들은 ‘계급적으로 고정된 경향은 없지만 소녀성이라는 캐릭터성을 공유한다는 공통점을 지니며 이는 청년문화 세대의 자유를 향한 열망’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조일동 교수는 청년세대의 문화와 향유된 영화음악의 관련성을 흥미롭게 분석하고 있다. 청년 영화에 삽입된 음악의 흥미로운 변화 현상에 대해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본다.

이용철 평론가는 이장호의 작품 세계를 길 모티프로 꿰뚫고 있다. 결국 1980년대 이장호 영화의 독창적인 길 모티프의 전언은 ‘집을 떠난 자, 다시는 집으로 돌아가지 못할 것이다’라는 사실을 규명한다.

송아름 평론가의 글에서는 이장호 감독 연출부 출신의 두 감독의 시선을 통해 한국 리얼리즘의 확장을 살펴볼 수 있다.

이수향 평론가는 이장호 감독의 영화에 적극 참여하고 영향을 준 소설가 김승옥과 최인호의 작업에 대해 각색을 위주로 이야기한다.

성진수 평론가는 이장호 감독의 연출부 출신인 배창호와 신승수의 장르 영화를 통해 한국 영화의 감정구조를 보여준다.

채경훈 연구원은 이장호 감독의 영화가 일본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평가받고 있는가에 대해 실증적인 지표와 세밀한 분석을 통해 흥미롭게 파헤치고 있다.

구혜원 연구가는 동아시아로 영역을 확장하여 한국의 청년 문화와 유사한 격랑의 시대 속에 존재하는 홍콩과 대만의 새 물결과 동아시아 청년들의 정체성에 대해 질문하고 성찰한다.

이현경 평론가는 1970년대 한국 멜로 영화 속 여성과 남성 인물이 여성은 희생양, 남성은 상처받은 인물로 재현되고 있다는 사실을 날카로운 비판 의식으로 해석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문관규(지은이)

부산대 예술문화영상학과 교수. 부산대 영화연구소 소장. 한국영화사와 편집을 전공하였지만 영화평론가로 활동하였으며 작가와 불교 영화, 장소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저서는 『거장의 나무, 『한국독립영화감독연구』, 『10인의 한국영화 감독』 그리고 공저로 『부산영화촬영지답사기』 등이 있다.

정민아(지은이)

영화평론가, 성결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 한양대학교를 졸업한 후 NYU와 동국대에서 영화이론을 공부했다. 현 EBS국제다큐영화제·여성인권영화제 자문위원, 한국 영화학회 편집위원이며, 부산국제영화제, 부천국제판타 스틱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부일영화상, 전북독립영화제 등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했다. 『The Korean Cinema Book』,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봉준호 코드』, 『K컬처 트렌드 2023』,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 『보통사람 한석규, 추억을 선물하다』,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늘』 등의 공저와 『필름 크래프 트: 프로덕션디자이너』, 『시각문화의 매트릭스』 등의 역서 외에 다수의 논문이 있다.

조일동(지은이)

문화인류학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 미디어 기술 변화와 대중문화 실천, 정체성 정치에 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공저 『K컬처 트렌드 2023』, 『공감대화』, 『귀로 보고 눈으로 듣는 영화 이야기, 딴지영진공』 외 다수의 저역서와 논문이 있다.

이현경(지은이)

영화평론가. 고려대학교에서 심리학, 현대소설, 영상문화를 공부하였고 「한국 근대 영화잡지 형성 연구」로 박사학 위를 받았다. 2006년 ‘씨네21 영화평론상’을 수상하면서 영화평론을 시작하여 씨네21, 넥스트 플러스 등의 잡지와 신문에 글을 기고해왔다.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 『봉준호 코드』, 『K컬처 트렌드 2023』, 『대중서사의 모든 것』, 『영화의 장르 장르의 영화』, 『순결과 음란』, 『미국영화감독1』, 『한국영화감독1』 등 공저가 있으며, 『영화, 내 맘대로 봐도 괜찮을까?』라는 평론집을 출간했다. 평론을 먼저 시작하고, 단편영화를 연출하 였으며, 영화를 다양하고 즐겁게 볼 수 있는 방법을 탐구 하면서 영화 만드는 길을 모색한다.

이수향(지은이)

영화평론가. 문학과 영화의 연대를 연구하는 중이다. 영평상 신인평론상을 수상했고, 홍익대, 서울대, 강원대에서 강의했으며, 한예종에서 문학과 극예술을 가르치고 있다. 공저로 『1990년대 문화 키워드 20』, 『영화광의 탄생』,『2019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영화』, 『영화와 관계』등이 있다.

성진수(지은이)

영화평론가. 영화 연구자. 1980년대 배창호 감독 영화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에서 한국영화사와 동아시아 영화를 연구하고 있다. 공저 『영화광의 탄생』이 있다.

이용철(지은이)

영화평론가.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했으며, LG그룹 재무부서에서 10년간 재직했다. 퇴사 후 영화 수입 및배급 등의 직무를 거쳤고, 이후 영화평론가로 활동 중이 다. 서울영상위원회 독립영화 배급위원, 씨네21 섹션편집 위원, 여러 영화제 심사위원으로 일했다. 서울신문, 조선 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대한항공 기내지, 아시아나 항공 기내지 등 다양한 매체에 글을 연재했으며, 현재 씨네21, 한국영상자료원, 서울아트시네마 등에 기고 및 강연한다. 공저로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 브와 이장호』, 『봉준호 코드』, 『K컬처 트렌드 2023』, 『호러 영화』, 『SF영화』, 『영화인이 말하는 영화인』, 『보통사람 한석규, 추억을 선물하다』, 『폭력의 엘레지, 스즈키 세이준』, 『루벤 웨스틀룬드』, 『미아 한센-러브』 등이 있다.

송아름(지은이)

영화평론가. 영화사 연구자. 한국 현대문학의 극을 전공하며, 1970년대 한국 영화 검열의 역학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 취득 후 연극·영화·TV 드라마에 대한 논문과 관련 글을 쓰고 있다.

채경훈(지은이)

영상미디어학 박사. 도쿄예술대학에서 일본 영화와 실험 영화를 연구했고, 1950, 60년대 일본 영화의 재일조선인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전임연구원으로 동아시아 영화를 연구하고 있다.

구혜원(지은이)

영화 연구자. 도쿄대학에서 일본 영화 및 영화사를 연구하고, 오즈 야스지로의 일본성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서대학교 BK21 미래영상콘텐츠 혁신융합 교육연구단에서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1970년대 청년문화에서 코리안 뉴웨이브 그리고 동아시아 뉴웨이브의 풍경

Chapter 1. 1970 한국영화와 청년문화
1. 이장호, 한국영화사를 관통하는 화살: 영상시대에서 코리안 뉴웨이브까지 - 문관규
2. 소녀, 영상시대의 얼굴이 된 여배우들 - 정민아
3. 1970 청년문화와 영화음악 - 조일동
4. 시대의 감각에 접속하다: 김승옥과 최인호의 1960-1980년대 각색 작업에 대하여 - 이수향
5. 더렵혀진 처녀에서 성불구 가장까지 : 1970년대 한국 멜로영화 속 여성과 남성 - 이현경

Chapter 2. 1980 이장호 영화와 코리안 뉴웨이브
6. 집을 떠난 자, 길의 기억으로 남다 : 이장호의 1980년대 영화 - 이용철
7. 사랑과 영화 : 배창호의 멜로드라마와 신승수의 로맨틱코미디 - 성진수
8. 1980년대를 관통한 이들이 ‘그때’로 ‘지금’을 그리는 방법 : 1990년대에 들어선 박광수와 장선우의 시선 - 송아름

Chapter 3. 동아시아 뉴웨이브 네트워크
9. 이장호 영화가 열도를 횡단할 때 - 채경훈
10. 격랑의 시대 속 홍콩, 타이완 청년들의 정체성 찾기 - 구혜원

Chapter 4. 이장호 감독과의 대담


찾아보기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

책마을해리 (2022)
Page, Elliot (2023)
Page, Elliot (2023)
James, Chiabella (2023)
노만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