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응급실 소생실 레벨 원입니다 : 사진 찍는 간호사가 포착한 병원 응급실의 낮과 밤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강용
Title Statement
응급실 소생실 레벨 원입니다 : 사진 찍는 간호사가 포착한 병원 응급실의 낮과 밤 / 이강용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클,   2023  
Physical Medium
165 p. : 천연색삽화 ; 21 cm
ISBN
9791192512211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1388
005 20230608154417
007 ta
008 230608s2023 ulka 000c kor
020 ▼a 9791192512211 ▼g 03660
035 ▼a (KERIS)BIB000016693347
040 ▼a 223009 ▼c 223009 ▼d 223009 ▼d 211009
082 0 4 ▼a 616.025 ▼2 23
085 ▼a 616.025 ▼2 DDCK
090 ▼a 616.025 ▼b 2023
100 1 ▼a 이강용
245 1 0 ▼a 응급실 소생실 레벨 원입니다 : ▼b 사진 찍는 간호사가 포착한 병원 응급실의 낮과 밤 / ▼d 이강용 지음
260 ▼a 서울 : ▼b 클, ▼c 2023
300 ▼a 165 p. : ▼b 천연색삽화 ; ▼c 21 cm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616.025 2023 Accession No. 11188144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레벨 원Level 1’은 응급 중증도 분류에서 가장 위급한 단계를 가리킨다. 이 책의 제목 “응급실 소생실 레벨 원입니다”는 심정지나 중증외상 환자 등 즉시 소생이 필요한 레벨 원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했을 때 간호사들이 하는 말이다.

저자 이강용은 실제로 응급실에서 7년간 “레벨 원”을 외치며 일한 간호사다. 코로나19 때 그가 찍은 의료진 사진들이 세간의 주목을 받고 상을 받으면서 ‘사진 찍는 간호사’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 후 전시회를 열고, 다수 언론과 인터뷰를 하며 병원과 의료진의 현실을 사람들에게 전하려고 힘썼다.

이강용의 노력이 <응급실 소생실 레벨 원입니다>라는 사진 에세이 한 권으로 또 하나의 결실을 맺었다. 이 책은 응급실과 병원 곳곳에서 위급한 환자들을 위해 사투를 벌이는 의료진의 하루하루를 생생한 현장 사진과 세심한 글로 기록했다.

생사의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하는 응급실 사람들의 긴박한 순간들
그 속에서 ‘사진 찍는 간호사’가 포착한 감동과 공감의 장면들


‘레벨 원Level 1’은 응급 중증도 분류에서 가장 위급한 단계를 가리킨다. 이 책의 제목 “응급실 소생실 레벨 원입니다”는 심정지나 중증외상 환자 등 즉시 소생이 필요한 레벨 원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했을 때 간호사들이 하는 말이다.
저자 이강용은 실제로 응급실에서 7년간 “레벨 원”을 외치며 일한 간호사다. 코로나19 때 그가 찍은 의료진 사진들이 세간의 주목을 받고 상을 받으면서 ‘사진 찍는 간호사’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 후 전시회를 열고, 다수 언론과 인터뷰를 하며 병원과 의료진의 현실을 사람들에게 전하려고 힘썼다.
이강용의 노력이 <응급실 소생실 레벨 원입니다>라는 사진 에세이 한 권으로 또 하나의 결실을 맺었다. 이 책은 응급실과 병원 곳곳에서 위급한 환자들을 위해 사투를 벌이는 의료진의 하루하루를 생생한 현장 사진과 세심한 글로 기록했다.
1, 2, 3부, 그리고 5부는 각각 ‘손’ ‘등’ ‘눈’ ‘얼굴’이라는 제목이 붙었다. 1부는 의료진의 ‘손’이 한시도 가만 있을 수 없는 응급실의 일상을 담았다. 간호사, 의사, 응급구조사 등 구성원 모두 각자 맡은 일을 찾아 동시에 바삐 움직이는 손이지만 가끔은 불안해하는 환자의 손을 꼭 잡아주며 안심을 시켜주는 손이기도 하다. 응급실, 특히 소생실의 응급 상황을 엮은 2부에서는 급히 뛰어다니는 의료진의 땀에 젖은 ‘등’이 계속 눈에 띈다. 일반인에게는 아수라장 같지만, “동선이 부딪히지 않게 호흡을 맞추고” “실수가 생기지 않게 복명복창을 하는” 소생실은 꼭 필요한 움직임과 소음으로만 꽉 차 있다. 3부는 불과 “얼마 전에는 상상도 못 한 모습”으로 변한 코로나19 시기의 병원 곳곳 사진들이다. 두 ‘눈’밖에 보이지 않는 보호장구를 입고 서로 헷갈릴까봐 “얼굴 아래 이름을 커다랗게 적어”둔 채로 환자를 살리고 돌보는 의료진의 모습을 가까이에서 지켜볼 수 있다.
이 사진집에서 가장 먹먹한 울림을 주는 곳은 사진 자리를 아예 비워둔 4부다. 소아암을 이겨낸 저자 자신의 경험담부터 환자들과의 가슴 찡한 에피소드, 그리고 현재 의료 현실의 단면까지, 차마 카메라를 들이댈 수 없는, 사진 몇 장으로 담아낼 수 없는 이야기들이어서다. 우리가 지나쳐온 의료진이 밝은 ‘얼굴’로 카메라를 바라본 5부는 이 책의 마지막 여운과 함께 진한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강용(지은이)

중앙대학교 간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성인응급실에 근무하면서 미국, 아랍에미리트, 호주 간호사 면허를 취득했다. 2020년 ‘코로나19 스토리’ 공모전에서 보건복지부장관상을 수상한 것을 계기로 그동안 찍었던 의료진 사진들이 널리 알려졌다. 같은 해 ‘코로나바이러스 최전방에 뛰어든 간호사가 본 시선’ 개인 사진전을 열었다. 2021년 대한간호협회 코로나19 공모전 대한간호협회장상을 받았다. 그 후 BBC코리아, KBS, MBC 등 다수 언론과 방송에서 인터뷰를 하며 병원과 의료진의 현실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힘썼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독자분들께

1부 손
2부 등
3부 눈
4부 사진 없음
5부 얼굴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대한폐고혈압학회 (2023)
혈관영상생리연구회 (2023)
정진호 (2023)
이순섭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