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김영팔 작품집 : 곱장칼(외)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영팔, 金永八, 1902-1950 박명진, 朴明鎭, 1959-, 편
Title Statement
김영팔 작품집 : 곱장칼(외) / 김영팔 지음 ; 박명진 책임편집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범우,   2023  
Physical Medium
482 p. ; 23 cm
ISBN
9788963655079
General Note
"작가 연보", "작품 연보" 수록  
Content Notes
(희곡) 미쳐가는 처녀 -- 싸움 -- 불이야 -- 술 파는 시악시 -- 여성 -- 부음 -- 곱장칼 -- 대학생 -- 세 식구 -- 우는 아내와 웃는 남편 -- 그 후의 대학생 -- 마작 -- 우수한 작란 -- (방송극) 어떤 무대감독의 이야기 -- (시나리오) 싸구료 박사 -- (소설) 해고 사령장 -- 불쌍한 사람들 -- 어떤 광경 -- 일인일현 -- 사직단 -- 어여쁜 노동자 -- 적심 -- 쓸 수 없는 소설 -- 어머니 편지(장편소설) -- 송별회 -- 모던 껄의 최후 -- 모던 부부 -- (수필) 직공생활 10년의 감상 일부분 -- 통쾌할는지도 모르는 이야기 -- 명사왈, 대가왈 -- 신춘잡필 -- JODK 방송실의 풍경 -- 신춘만필 -- 문예광 시대 -- 무제수필 -- 노상 스케취-하나·둘 -- (평론) 동지 중서씨를 영하야 -- 문단 침체의 원인과 그 대책 -- 나의 일과 창작 두 편(1) -- 나의 일과 창작 두 편(2) -- 소설 비소설 1 -- 소설 비소설 2 -- 민족문학과 무산문학의 합치점과 차이점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1381
005 20230613091948
007 ta
008 230608s2023 ggk 000av kor
020 ▼a 9788963655079 ▼g 038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895.723 ▼2 23
085 ▼a 897.25 ▼2 DDCK
090 ▼a 897.25 ▼b 김영팔 김
100 1 ▼a 김영팔, ▼g 金永八, ▼d 1902-1950 ▼0 AUTH(211009)54526
245 1 0 ▼a 김영팔 작품집 : ▼b 곱장칼(외) / ▼d 김영팔 지음 ; ▼e 박명진 책임편집
260 ▼a 파주 : ▼b 범우, ▼c 2023
300 ▼a 482 p. ; ▼c 23 cm
500 ▼a "작가 연보", "작품 연보" 수록
505 0 0 ▼g (희곡) ▼t 미쳐가는 처녀 -- ▼t 싸움 -- ▼t 불이야 -- ▼t 술 파는 시악시 -- ▼t 여성 -- ▼t 부음 -- ▼t 곱장칼 -- ▼t 대학생 -- ▼t 세 식구 -- ▼t 우는 아내와 웃는 남편 -- ▼t 그 후의 대학생 -- ▼t 마작 -- ▼t 우수한 작란 -- ▼g (방송극) ▼t 어떤 무대감독의 이야기 -- ▼g (시나리오) ▼t 싸구료 박사 -- ▼g (소설) ▼t 해고 사령장 -- ▼t 불쌍한 사람들 -- ▼t 어떤 광경 -- ▼t 일인일현 -- ▼t 사직단 -- ▼t 어여쁜 노동자 -- ▼t 적심 -- ▼t 쓸 수 없는 소설 -- ▼t 어머니 편지(장편소설) -- ▼t 송별회 -- ▼t 모던 껄의 최후 -- ▼t 모던 부부 -- ▼g (수필) ▼t 직공생활 10년의 감상 일부분 -- ▼t 통쾌할는지도 모르는 이야기 -- ▼t 명사왈, 대가왈 -- ▼t 신춘잡필 -- ▼t JODK 방송실의 풍경 -- ▼t 신춘만필 -- ▼t 문예광 시대 -- ▼t 무제수필 -- ▼t 노상 스케취-하나·둘 -- ▼g (평론) ▼t 동지 중서씨를 영하야 -- ▼t 문단 침체의 원인과 그 대책 -- ▼t 나의 일과 창작 두 편(1) -- ▼t 나의 일과 창작 두 편(2) -- ▼t 소설 비소설 1 -- ▼t 소설 비소설 2 -- ▼t 민족문학과 무산문학의 합치점과 차이점
700 1 ▼a 박명진, ▼g 朴明鎭, ▼d 1959-, ▼e▼0 AUTH(211009)94753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97.25 김영팔 김 Accession No. 1118814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920년대 근대극 초기를 정열적으로 관통해오며 그 시대의 지배 담론인 사회주의 사상을 작품으로 재현해내려고 노력한 작가 겸 극작가이자 한국 신극 초기 연극 방송인 김영팔, 그 문학 세계의 변천 그 자체가 1920~30년대 지형도를 선명히 하는 책이다.

1924년 등단작인 단막극 〈미쳐가는 처녀〉를 비롯해 〈부음〉 〈곱장칼〉 〈우는 아내와 웃는 남편〉 〈우수한 작란〉 등 희곡 작품 13편, 방송극 〈어떤 무대감독의 이야기〉, 시나리오 〈싸구료 박사〉, 소설 〈어떤 광경〉 〈쓸 수 없는 소설〉 〈사직단〉 등 12편, 수필 〈직공 생활 10년의 감상 일부분〉 〈신춘만필〉 〈문예광 시대〉 등 9편, 평론 〈문단 침체의 원인과 그 대책〉 〈소설 비소설〉 등 7편을 수록했다.

김영팔은 식민지인 조선 반도에 근대극을 소개하는 데 동참했으며, 그의 희곡은 1920년대 근대극의 지형도에 중요한 지점을 가로지르며 반봉건·반계급을 향한 치열한 투쟁 의지를 개진했다. 그의 희곡은 카프(KAPF) 성향의 작품 세계와 경성방송극협회 고문 취임으로 카프에서 제명된 이후의 작품 세계를 비교하는 경향이 있다. 김영팔 희곡 논의 키워드는 ‘계급 투쟁’ ‘사회 풍자’ ‘봉건 타파’ ‘일상적 현실’ ‘지식인의 냉소주의’ ‘관념적 계급의식’ 등이다.

1920년대 근대극 초기를 정열적으로 관통해오며
그 시대의 지배 담론인 사회주의 사상을 작품으로 재현해내려고 노력한
작가 겸 극작가이자 한국 신극 초기 연극 방송인 김영팔,
그 문학 세계의 변천 그 자체가 1920~30년대 지형도를 선명히 하는

《김영팔 작품집》

이 책은 확보하지 못한 몇 작품을 제외하고 발표 당시 잡지나 신문에 실린 원전을 원본으로 삼아, 1924년 등단작인 단막극 〈미쳐가는 처녀〉를 비롯해 〈부음〉 〈곱장칼〉 〈우는 아내와 웃는 남편〉 〈우수한 작란〉 등 희곡 작품 13편, 방송극 〈어떤 무대감독의 이야기〉, 시나리오 〈싸구료 박사〉, 소설 〈어떤 광경〉 〈쓸 수 없는 소설〉 〈사직단〉 등 12편, 수필 〈직공 생활 10년의 감상 일부분〉 〈신춘만필〉 〈문예광 시대〉 등 9편, 평론 〈문단 침체의 원인과 그 대책〉 〈소설 비소설〉 등 7편을 수록했다.
김영팔은 식민지인 조선 반도에 근대극을 소개하는 데 동참했으며, 그의 희곡은 1920년대 근대극의 지형도에 중요한 지점을 가로지르며 반봉건·반계급을 향한 치열한 투쟁 의지를 개진했다. 그의 희곡은 카프(KAPF) 성향의 작품 세계와 경성방송극협회 고문 취임으로 카프에서 제명된 이후의 작품 세계를 비교하는 경향이 있다. 김영팔 희곡 논의 키워드는 ‘계급 투쟁’ ‘사회 풍자’ ‘봉건 타파’ ‘일상적 현실’ ‘지식인의 냉소주의’ ‘관념적 계급의식’ 등이다.
김영팔의 작품 세계를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눠보면 근대 희곡의 보편적인 주제를 담고 있는 〈미쳐가는 처녀〉(원제 ‘밋처가는 처녀’) 〈여성〉 〈술 파는 시악시〉 같은 희곡은 전근대적 질서와 편견에 의해 외곡되는 여성의 처지를 비판하고 있으며, 근대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그 매개체로 여성을 대입하고 있다. 또 카프의 세계관에 부합하는 사회주의 사상을 형상화한 〈싸움〉 〈불이야〉 〈부음〉 〈곱장칼〉 등은 식민지 현실의 모순과 노동 계급의 피착취 문제를 비판하는데, 특히 〈곱장칼〉은 선동적 프로 의식이 투철하며 카프가 방향 전환을 선언한 뒤 정치 투쟁적이고 목적 의식적인 작품을 요구했던 상황에 부응한 작품이다. 또한 〈사직단〉은 사직단에 모여 있는 걸인들의 처참한 상황을 비교적 냉정한 시선으로 관찰한 소설이다. 서울 걸인들에 대한 묘사는 〈적심〉에서도 유감 없이 행해지고 있다. 희곡 〈해고 사령장〉 〈불쌍한 사람들〉 〈송별회〉 〈어떤 광경〉도 같은 부류에 속한다. 〈대학생〉 〈세 식구〉 〈우는 아내와 웃는 남편〉 〈우스운 작란〉 등과 시나리오 〈싸구료 박사〉 등은 일상 생활 속의 애환이나 지식인의 자기 모멸, 또는 세태 풍자 경향의 작품이다. 〈우스운 작란〉은 절제된 작가의 호흡을 통해 적지 않은 여운을 남기는 작품으로, 인물을 과장 없이 담담하게 묘사하면서 당대 현실의 냉혹함과 비인간성을 우회적으로 재현해내며, 섣부르게 격앙된 설교조 대사를 남발하거나 비약적으로 사회주의 사상을 주장하거나 근거 없이 조직적 투쟁 단체를 도모하는 등 과잉 표현이 눈에 띄지 않는다. 소설 〈어여쁜 노동자〉〈모던 부부〉 〈쓸 수 없는 소설〉 등이 이에 속한다.
김영팔은 1920년대 근대극 초기를 정열적으로 관통해오며, 그 시대의 지배 담론인 사회주의 사상을 작품으로 재현해내려고 노력한 작가였다. 김영팔의 문학 세계 변천 그 자체가 1920~30년대의 지형도를 선명하게 그려주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영팔(지은이)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작가 겸 극작가·한국 신극 초기 연극인·방송인. 서울 출생. 1920년 일본 니혼대학 미학과에 입학했으나 곧 퇴학, 동경 유학생 연극 모임 극예술협회 창립 동인 참여. 1923년 형설회 순회극단의 학생 배우로 활약. 1924년 단막극 〈미쳐가는 처녀〉로 등단, 〈부음〉 〈곱장칼〉 〈그 후의 대학생〉 등 발표. 1925년 극문회 조직, 프로문학 단체 염군사 창립 동인, 카프 창립 회원으로 활동. 1931년 경성방송극협회 고문 취임 후 카프에서 제명, 전향. 활발히 활동한 1930년 초까지 희곡 10여 편과 소설 10편 등을 남김.전통적 인습과 식민지 압제에 대한 저항·해방을 다루며 1920년대에 가장 많은 희곡 작품을 발표했으나, 1932년 절필하고 방송인 활동. 광복 후 월북, 한국전쟁 시기 사망한 것으로 추정.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일러두기 · 7

희곡 - 11
미쳐가는 처녀 · 13
싸움 · 37
불이야 · 57
술 파는 시악시 · 70
여성 · 86
부음 · 103
곱장칼 · 123
대학생 · 138
세 식구 · 146
우는 아내와 웃는 남편 · 159
그 후의 대학생 · 170
마작 · 180
우수한 작란 · 188

방송극 - 201
어떤 무대감독의 이야기 · 203

시나리오 - 217
싸구료 박사 · 219

소설 - 311
해고 사령장 · 313
불쌍한 사람들 · 317
어떤 광경 · 321
일인일현 · 332
사직단 · 335
어여쁜 노동자 · 345
적심 · 369
쓸 수 없는 소설 · 377
어머니 편지(장편소설) · 380
송별회 · 383
모던 껄의 최후 · 392
모던 부부 · 400

수필 - 409
직공생활 10년의 감상 일부분 · 411
통쾌할는지도 모르는 이야기 · 415
명사왈, 대가왈 · 417
신춘잡필 · 419
JODK 방송실의 풍경 · 424
신춘만필 · 426
문예광 시대 · 430
무제수필 · 432
노상 스케취-하나·둘 · 437

평론 - 441
동지 중서씨를 영하야 · 443
문단 침체의 원인과 그 대책 · 444
나의 일과 창작 두 편(1) · 445
나의 일과 창작 두 편(2) · 448
소설 비소설 1 · 449
소설 비소설 2 · 452
민족문학과 무산문학의 합치점과 차이점 · 455

해설 | 초기 근대극을 관통해온 김영팔의 작품 세계 - 456
작가 연보 · 477
작품 연보 · 478
연구 논문 · 48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