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일제강점기 고등교육 정책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태웅, 金泰雄, 1961- 장세윤, 張世胤, 1959-, 저
서명 / 저자사항
일제강점기 고등교육 정책 / 김태웅, 장세윤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22  
형태사항
667 p. : 삽화, 연표 ; 23 cm
총서사항
일제침탈사연구총서 ;40 - 문화
ISBN
9788961877794 9788961876698 (세트)
일반주기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부록: 1. 주요 자료, 2. 연표  
서지주기
참고문헌(p. 635-656)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1380
005 20230608143041
007 ta
008 230608s2022 ulkaj b 001c kor
020 ▼a 9788961877794 ▼g 94910
020 1 ▼a 9788961876698 (세트)
035 ▼a (KERIS)BIB000016769571
040 ▼a 241050 ▼c 241050 ▼d 241050 ▼d 211009
082 0 4 ▼a 951.903 ▼2 23
085 ▼a 953.06 ▼2 DDCK
090 ▼a 953.06 ▼b 2021z18 ▼c 40
100 1 ▼a 김태웅, ▼g 金泰雄, ▼d 1961- ▼0 AUTH(211009)102320
245 1 0 ▼a 일제강점기 고등교육 정책 / ▼d 김태웅, ▼e 장세윤 지음
260 ▼a 서울 : ▼b 동북아역사재단, ▼c 2022
300 ▼a 667 p. : ▼b 삽화, 연표 ; ▼c 23 cm
490 1 0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40 - 문화
500 ▼a 기획: 동북아역사재단 일제침탈사 편찬위원회
500 ▼a 부록: 1. 주요 자료, 2. 연표
504 ▼a 참고문헌(p. 635-656)과 색인수록
700 1 ▼a 장세윤, ▼g 張世胤, ▼d 1959-, ▼e▼0 AUTH(211009)102619
830 0 ▼a 일제침탈사연구총서 ; ▼v 40 - 문화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전집 청구기호 953.06 2021z18 40 등록번호 111881441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제강점기 고등교육 분야에 대한 정책을 종합하여 정리하고 연구하였다. 식민 지 교육 정책은 식민통치의 중첩적인 성격과 양면성을 보여주는 분야로서 이에 대한 종합적이고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 정책은 문명화, 우민화, 자주성 등과 연계되어 있고, 통치와 정책을 평가하는 척도가 될 수 있어서 식민 당국이 신중하게 추진한 분야였다. 이 책에서는 19세기부터 해방 이후까지의 고등교육 정책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초·중등교육 정책 연구서와 함께 근대 한국의 민족교육의 전체상을 이해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장세윤(지은이)

성균관대학교에서 만주(중국동북)지역 독립운동사 연구로 문학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독립기념관 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연구교수,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한일관계연구소장 등을 지냈으며, 동북아역 사재단 명예연구위원이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중국 동북지역 민족운동과 한국현대사』(명지사, 2005), 『일제강점기』(공저, 눈빛, 2010), 『개화기와 대한제국』(공저, 눈빛, 2012), 『3·1운동과 대한민국임정부의 재조명』 2(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일제강점기 학살당한 한국인들』(동북아역사재단, 2021),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사』(선인, 2021), One Hundred Years after Japan’s Forced Annexation of Korea : History and Tasks(공저, PeterLang, 2015), 『關東大震災と朝鮮人虐殺』(공저, 論創社, 2016)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일제의 경성제국대학 설립과 운영」(『한국독립운동사연구』 6, 1992), 「경성제국대학의 한국 인 졸업생과 고등문관시험」(『향토서울』 69, 2007) 등이 있다.

김태웅(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부기록보존소 학예연구관과 군산대학교 조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대한제국과 3·1운동』(휴머니스트, 2022), 『어윤중과 그의 시 대』(아카넷, 2018), 『신식 소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삶』(서해문집, 2017), 『이주노동자, 그들은 우리에게 어떻게 다가왔나』(아카넷, 2016), 『국사교육의 편제와 한국근대사 탐구』(선인, 2014),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6: 근대』(가람기획, 2013), 『한국근대 지방재정 연구』(아카넷, 2012), 『한국사의 이해』(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등이 있으며, 박은식의 『한국통사』를 우리말로 풀었다. 논문으로는 「일제강점기 김옥균 추앙과 위인교육」(『역사교육』 74, 2000), 「1910년대 전반 조선총독부의 취조국·참사관실과 ‘구관제도조사사업’」(『규장각』 16, 1994),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의 규장각 관리와 소장 자료의 활용」(『규장각』 33, 2008), 「일제하 관립전문학교의 운영 기조와 위상 변화」 (『연희전문학교의 학문과 동아시아 대학』, 혜안, 2016)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발간사
편찬사
서론

제1장 근대 고등교육의 연원과 전문학교의 부침
1. 19세기 말·20세기 초 근대 고등교육 시도와 전문학교의 등장
2. 자주적 고등교육의 좌절과 전문학교의 부침

제2장 일제의 고등교육 정책 전환과 전문학교의 재등장
1. 「조선교육령」(1911)의 공포와 고등교육 정책의 이중성
2. 고등교육 수요의 증가와 관립 전문학교의 재등장
3. 사립 전문교육기관의 전문학교 전환과 학교 운영
4. 3·1운동 전야 조선인 전문학생의 정체성 동요와 식민지 고등교육 인식

제3장 일제의 ‘내선공학’ 방침과 식민지 고등교육체제 구축
1. 「제2차 조선교육령」(1922) 실시와 ‘내선공학(內鮮共學)’ 방침
2. 조선인의 민립대학 설립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3. 전문학교의 대학승격 운동과 조선인 본위의 운영 개선 시도
4. 사립 전문학교의 고등교육체제 편입과 신설 전문학교의 증가

제4장 경성제국대학ㆍ전문학교 학사 운영의 난맥과 조선인 학생들의 동향
1. 경성제국대학의 학사 운영과 ‘대학 자치’의 난맥
2. 전문학교의 학사 운영과 학생들의 동향
3. 조선인 학생의 입학난과 졸업생의 진로

제5장 전시하 고등교육기관 개편과 학생 동원
1. 전시 동원체제 구축과 고등교육 정책 변경
2. 고등교육기관 개편과 전시체제 학사 운영
3. 고등교육기관의 위상 하락과 학생 동원ㆍ징병

제6장 식민지 고등교육의 유산과 현대 한국 사회
1. 식민지 고등교육의 청산 문제와 대학 설립운동
2. 식민지 고등교육의 단절과 연속

보론 조선총독부의 일본 유학제도 운영과 조선인 유학생 통제
1. 도일(渡日) 유학생의 추이와 동향
2. 조선총독부ㆍ일본 당국의 감시와 통제

결론 일제 고등교육 정책의 성격과 그 영향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