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1210 | |
005 | 20230607114025 | |
007 | ta | |
008 | 230605s2023 ggka 001c kor | |
020 | ▼a 9791158394240 ▼g 93000 | |
035 | ▼a (KERIS)BIB000016760965 | |
040 | ▼a 211015 ▼c 211015 ▼d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82 | 0 4 | ▼a 004.36 ▼2 23 |
085 | ▼a 004.36 ▼2 DDCK | |
090 | ▼a 004.36 ▼b 2023 | |
100 | 1 | ▼a きはしまさひろ ▼0 AUTH(211009)113046 |
245 | 2 0 | ▼a (그림과 작동 원리로 쉽게 이해하는) 서버의 기초 : ▼b 서버의 전체 구조와 기술이 한눈에 들어오는 핵심 입문서 / ▼d 키하시 마사히로 지음 ; ▼e 김모세 옮김 |
246 | 1 9 | ▼a この一冊で全部わかるサーバーの基本 : ▼b 実務で生かせる知識が、確実に身につく ▼g (第2版) |
246 | 3 | ▼a Kono issatsu de zenbu wakaru saba no kihon : ▼b Jitsumu de ikaseru chishiki ga kakujitsu ni mi ni tsuku |
260 | ▼a 파주 : ▼b 위키북스, ▼c 2023 | |
300 | ▼a 192 p. : ▼b 천연색삽화 ; ▼c 24 cm | |
490 | 1 0 | ▼a 오픈소스 & 웹 시리즈 ; ▼v 107 |
500 | ▼a 키하시 마사히로의 일본어표기는 'きはしまさひろ' 임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김모세, ▼e 역 ▼0 AUTH(211009)147567 |
830 | 0 | ▼a 오픈소스 and 웹 시리즈 ; ▼v 107 |
900 | 1 0 | ▼a 키하시 마사히로, ▼e 저 |
900 | 1 0 | ▼a Kihashi, Masahiro,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36 2023 | Accession No. 1212632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빠르게 변화하는 서버 업계에는 최근 십수 년 동안 '클라우드 컴퓨팅'이나 '가상화 기술' 등 이제까지의 상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서비스와 기술들이 차례로 등장했고, 지금 이 순간에도 그 변화는 계속해서 진행 중이다. 이 책은 이러한 눈부신 변화의 한가운데에 있는 서버를 갑자기 다루게 된 '신입 IT 엔지니어' 또는 '비IT 엔지니어' 독자를 대상으로 설명한다.
인프라 관련 업무에서 기본적으로 꼭 알아둬야 할 중요한 용어를 잘 정리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이름을 설명과 그림으로 충분히 담았다. 또 서버가 가진 기능과 역할을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컬러 일러스트도 제공한다.
서버의 종류, 역할, 운용까지 꼭 필요한 내용을 그림과 함께 쉽게 배운다!
빠르게 변화하는 서버 업계에는 최근 십수 년 동안 '클라우드 컴퓨팅'이나 '가상화 기술' 등 이제까지의 상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서비스와 기술들이 차례로 등장했고, 지금 이 순간에도 그 변화는 계속해서 진행 중입니다. 이 책은 이러한 눈부신 변화의 한가운데에 있는 서버를 갑자기 다루게 된 '신입 IT 엔지니어' 또는 '비IT 엔지니어' 독자를 대상으로 설명합니다.
인프라 관련 업무에서 기본적으로 꼭 알아둬야 할 중요한 용어를 잘 정리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이름을 설명과 그림으로 충분히 담았습니다. 또 서버가 가진 기능과 역할을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컬러 일러스트도 제공합니다.
서버에 관해 모르는 부분이나 용어가 있다면 우선 이 책을 보십시오. 분명 든든한 동료가 되어줄 것입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키하시 마사히로(지은이)
외자계 벤더의 현장 실무를 담당한 IT 컨설턴트. 제조업에서 금융업, 통신업에 이르기까지 업종에 관계없이 다양한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경험을 가지고 있다.
김모세(옮긴이)
대학 졸업 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품질 엔지니어, 애자일 코치 등 다양한 부문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참여했다. 재미있는 일, 나와 조직이 성장하고 성과를 내도록 돕는 일에 보람을 느껴 2019년부터 번역을 시작했다. 저서로 《코드 품질 시각화의 정석》(지앤선)이 있고, 옮긴 책은 《아트 오브 셸 원라이너 160제》(제이펍), 《추천 시스템 입문》(한빛미디어), 《타입스크립트, 리액트, Next.js로 배우는 실전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위키북스), 《애자일 개발의 기술(2/e)》(에이콘출판사) 등 다수다.

Table of Contents
▣ 1장: 서버란 1-01 서버란 - 이름의 의미에서 역할을 알 수 있다 1-02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 서비스를 요청하는 측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 1-03 다양한 서버 - 네트워크로 전달되는 서비스의 수만큼 존재한다 1-04 서버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기능이 서버 그 자체 1-05 구축할 서버의 종류와 서버 소프트웨어 선정 - 사용자나 시스템의 요구를 명확하게 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1-06 서버 운용 기간 - 시스템의 수명 중 가장 긴 단계 1-07 서버와 네트워크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전달하는 대전제 ▣ 2장: 네트워크 기초 지식 2-01 네트워크 기술을 이해하자 - 먼저 데이터를 전달하는 근간 기술부터 이해하자 2-02 프로토콜이란 - 정해진 규칙을 지킴으로써 통신이 가능해진다 2-03 OSI 참조 모델 - 컴퓨터의 통신 기능을 7개의 층으로 나눈 것 2-04 이더넷과 MAC 주소 - 레이어 1과 레이어 2의 프로토콜에 관해서는 이것만 기억하자 2-05 스위칭 - 이더넷에서의 데이터 전달 2-06 IP와 IP 주소 - 현재의 네트워크를 지탱하는 핵심 프로토콜 2-07 다양한 IP 주소 - 어디부터 어디까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는 정해져 있다 2-08 라우팅 - IP 주소에 기반해 목적지로 패킷을 전송한다 2-09 ARP - 수신지의 MAC 주소를 알기 위한 구조 2-10 TCP와 UDP - 트랜스포트층의 프로토콜에는 이 두 가지 중 하나를 사용한다 2-11 포트 번호 사용 방법 - 컴퓨터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구조 2-12 NAT와 NAPT - LAN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기기에서 IP 주소를 변환한다 ▣ 3장: 서버를 준비한다 3-01 어떤 서버를 사용할지 선택한다 - ‘어디에’, ‘어떤’이라는 관점부터 생각한다 3-02 온프레미스 타입과 클라우드 타입 - 자사에서 설비를 보유하는가, 외부에 맡기는가? 3-03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 용도와 목적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3-04 자사인가 데이터 센터인가 - 자사 운용 시 서버의 설치 장소 3-05 서버를 가상화할 것인가 - 가상화의 장점과 단점을 알자 3-06 가상화 소프트웨어의 종류 - 하드웨어 위에서 작동하는 것과 OS 위에서 작동하는 것 3-07 서버 컨테이너화 - 컨테이너 타입의 가상화로 서버의 처리를 격리한다 3-08 서버의 함체 형태를 선택한다 - 타워형, 랙마운트형, 블레이드형? 3-09 서버를 구성하는 컴포넌트 - 가격, 처리 능력, 신뢰성을 고려한다 3-10 리눅스 계열 서버 OS와 윈도우 계열 서버 OS - 리눅스 서버인가, 윈도우 서버인가 3-11 어플라이언스 서버 - 특정 서비스만 제공하는 가벼운 선택지 3-12 가상 어플라이언스 서버 - 가상화의 장점을 활용할 것인가, 성능을 우선할 것인가 ▣ 4장: 사내 서버 기본 4-01 사내 서버 배치 - 사내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4-02 DHCP 서버의 역할 - LAN 안의 PC의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화한다 4-03 DNS 서버의 역할 - IP 주소와 도메인명을 상호 변환하는 구조 4-04 DNS 서버 다중화 - 웹서버로의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4-05 작업 그룹과 액티브 디렉터리 도메인 - 윈도우의 네트워크에서는 이중 어딘가에 소속된다 4-06 액티브 디렉터리 도메인을 구성하는 장점 - 윈도우 네트워크 환경을 가진 많은 기업들이 도입하는 이유 4-07 파일 서버의 역할 - 다양한 파일을 모아서, 효율적으로 공유한다 4-08 SSO 서버의 역할 - 비밀번호 관리의 고민을 시스템으로 해결한다 4-09 SIP 서버의 역할 - IP 전화 시스템에서 통신 상대를 특정하거나 호출한다 4-10 프락시 서버의 역할 - 클라이언트의 대리로서 웹사이트와 통신한다 4-11 송신 메일 서버의 역할 - 전자 메일을 수신지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버까지 보낸다 4-12 수신 메일 서버의 역할 - 서버에 보관하고 있는 메일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4-13 Microsoft Exchange Server의 역할 - 메일 서비스, 그룹웨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 5장: 공개 서버 기본 5-01 공개 서버 배치 - 인터넷상의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5-02 온프레미스 환경의 서버를 공개한다 - 공개까지의 6단계 5-03 클라우드 환경의 서버를 공개한다 - 공개까지의 7단계 5-04 웹의 3계층 모델 - 웹사이트는 3가지 서버로 구성된다 5-05 HTTP 서버의 역할 - 인터넷에서 다양한 정보를 전송한다 5-06 HTTPS 서버의 역할 - 정보의 ‘도청’, ‘변조’, ‘위장’을 방지한다 5-07 두 가지 암호화 기술 - SSL/TLS에서는 두 가지를 조합해 사용한다 5-08 SSL/TLS로 연결이 되기까지 - 디지털 인증서, 인증국, 암호화 기술의 관계 5-09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역할 - 동적 페이지를 생성하는 웹서비스 시스템의 중심에서 작동한다 5-10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역할 - 동적인 웹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한다 5-11 CDN의 역할 - 안정적이고 빠르게 웹서비스를 제공한다 5-12 FTP 서버의 역할 - 파일 배포나 업로드 구조를 제공한다 5-13 VPN 서버의 역할 - 인터넷을 통한 안전한 통신을 실현한다 ▣ 6장: 서버를 장애로부터 지킨다 6-01 서버와 장애는 소꿉친구 - 장애 대응을 위한 다양한 기술 6-02 RAID - 스토리지 드라이브의 고속화와 데이터 보호를 실현한다 6-03 티밍 - 서버의 통신 내장애성 향상과 대역 확장을 실현한다 6-04 UPS - 전원 장애로부터 서버를 보호한다 6-05 클러스터 - 여러 대의 서버로 장애에 대비한다 6-06 서버 부하 분산 기술 - 여러 서버에 통신을 분배하는 방법들 6-07 광역 부하 분산 기술 -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 서버를 분산해 재해에 대비한다 ▣ 7장: 서버 보안 7-01 인터넷에 숨은 위협과 취약성 - 보안 리스크를 올바르게 인식하자 7-02 방화벽으로 서버를 보호한다 - 인터넷으로부터의 위협에 대항한다 7-03 방화벽 선정 방법 - 필요한 기능, 비용, 운용 관리 능력을 고려한다 7-04 보안 영역과 서버 배치 - 외부 공개 여부에 따라 배치 위치가 달라진다 7-05 IDS와 IPS - 서버로의 부정 침입을 감지하거나 방어한다 7-06 차세대 방화벽 - 보안 기능을 높여 관리자에게 도움되는 기능도 제공한다 7-07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 웹서비스를 노리는 다양한 공격을 물리친다 7-08 메일 보안 대책 - 메일 내용까지 포함해 제어할 수 있다 ▣ 8장: 서버 운용 관리 8-01 서버 운용 관리에서 수행하는 작업 - 관리자는 어떤 일들을 해야 하는가 8-02 서버 원격 관리 -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대부분 동일하다 8-03 업데이트 프로그램 설치 - 서버 OS 업데이트는 신중하게 수행한다 8-04 업데이트 프로그램 전송 관리 - Windows Update 대체 서버를 사내에 준비한다 8-05 백업과 복원 - 서버의 데이터 소실에 대비한다 8-06 명령어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한다 - 관리에 사용하는 단골 명령어를 기억하자 8-07 명령어로 장애를 확인한다 - 네트워크의 어느 부분에 장애가 발생했는지 밝힌다 8-08 NTP 서버의 역할 - 서버와 네트워크 기기의 시계를 맞춘다 8-09 Syslog 서버의 역할 - 서버나 네트워크 기기의 로그를 수집한다 8-10 SNMP 서버의 역할 - 서버와 네트워크 기기의 정보를 얻고 설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