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한국의 전쟁과 과학기술문명

한국의 전쟁과 과학기술문명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노영구, 盧永九, 1967-
Title Statement
한국의 전쟁과 과학기술문명 / 노영구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들녘,   2022  
Physical Medium
372 p. : 삽화 ; 24 cm
Series Statement
한국의 과학과 문명 ;026
ISBN
9791159252143 9791159251139 (세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39-349)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1192
005 20230607142415
007 ta
008 230605s2022 ggka b 001c kor
020 ▼a 9791159252143 ▼g 94910
020 1 ▼a 9791159251139 (세트)
035 ▼a (KERIS)BIB000016374593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82 0 4 ▼a 355.0709519 ▼2 23
085 ▼a 355.070953 ▼2 DDCK
090 ▼a 355.070953 ▼b 2022
100 1 ▼a 노영구, ▼g 盧永九, ▼d 1967- ▼0 AUTH(211009)31708
245 1 0 ▼a 한국의 전쟁과 과학기술문명 / ▼d 노영구 지음
246 1 1 ▼a The civ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s wars
246 3 1 ▼a Civ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s wars
260 ▼a 파주 : ▼b 들녘, ▼c 2022
300 ▼a 372 p. : ▼b 삽화 ; ▼c 24 cm
490 1 0 ▼a 한국의 과학과 문명 ; ▼v 026
504 ▼a 참고문헌(p. 339-349)과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0년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진흥사업단)을 통해 한국학 특정분야 기획연구(한국과학문명사)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AKS-2010-AMZ-2101)
830 0 ▼a 한국의 과학과 문명 ; ▼v 026
900 1 0 ▼a Roh, Young Koo,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5.070953 2022 Accession No. 11188128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2022년 6월 21일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의 정상궤도 진입은 한국인들에게 크나큰 자부심을 안겨주었다. 일각에서는 우리의 로켓 개발 능력이 독자적으로 확보된 것이냐에 대해 회의를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분명한 것은 누리호를 최종적으로 만든 것도, 이를 발사한 것도 우리의 과학기술자라는 사실이다.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는 과연 갑작스럽게 출현한 과학적 성과일까?

무기기술 발달사를 중심으로
문화, 전략전술 등 다양한 측면을 아울러 살펴본
한국 군사과학기술 문명사


2022년 6월 21일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의 정상궤도 진입은 한국인들에게 크나큰 자부심을 안겨주었다. 일각에서는 우리의 로켓 개발 능력이 독자적으로 확보된 것이냐에 대해 회의를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분명한 것은 누리호를 최종적으로 만든 것도, 이를 발사한 것도 우리의 과학기술자라는 사실이다.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는 과연 갑작스럽게 출현한 과학적 성과일까?

수천 년의 역사에서, 특히 동아시아 국제정세가 변동기를 맞았을 때, 한반도 세력은 과학기술에 기반한 군사기술을 적시에 확보하지 못했을 경우 불행한 위기 상황에 내몰렸다. 반대로 15세기 중반 세종대의 경우처럼 우수한 무기체계를 갖추었을 때는 지역 안정 중심자로서의 역할을 넘어 세력 확대의 기회로 삼기도 했다. 결국, 유동적인 국제 상황에서 그 위기를 극복하고 번영을 누릴 수 있었던 원동력은 민족의 단합과 같은 모호한 해석이나 동맹과 같은 수동적 선택이 아니라, 과학기술 개발과 사회체제의 합리적 개혁 등에 있었음이 드러난다.

근대 이후 과학기술의 격차는 곧바로 전쟁의 승패를 가름해왔고, 현대의 기술 수준은 날이 갈수록 인간의 상상을 앞서가고 있다. 군사과학기술은 극한의 조건과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요구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외의 제반 조건들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는 등 어떤 과학기술 분야보다 첨단의 영역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군사과학기술이 다른 분야를 선도하여 조선, 항공기, 차량, 금속, 화학, 컴퓨터공학 등 다른 분야의 급격한 기술적 발달을 추동했음은 자명하다. 우주발사체 개발과 발사의 성공은 한국의 국방과학기술이 이룬 성과의 결정체인 동시에 이에 파급된 다양한 분야의 발전을 추동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대단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현대 한국 무기 개발의 역사는 생존과 자주를 담보하기 위한 절박감의 발현이자, 나아가 평화와 공동 번영이라는 인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큰 발걸음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이러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한국의 군사과학기술 발전에 대해 기술 발달사적인 시각에서 확장하여 문화, 군사, 전략전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서술하고자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노영구(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동 대학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조선후기 병서와 전법의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국방대학교 교수부장 등을 거쳐 현재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한국 전근대 전쟁 및 군사사 등 분야에서 『한국군사사』7(경인문화사, 2012), 『영조 대의 한양 도성 수비 정비』(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3), 『조선중기 무예서 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조선후기의 전술』(그물, 2016), 『연병지남ㅡ북방의 기병을 막을 조선의 비책』(아카넷, 2017), 『조선후기 도성방어체계와 경기도』(경기문화재단, 2018), 『한양의 삼군영』(서울역사박물관, 2019) 등 다수의 저서와 역서, 연구 논문 및 정책보고서 등을 발표하였다. 한국역사연구회, 문헌과 해석, 한국군사사학회 등의 학회 활동과 함께 일본 防衛硏究所 戰史硏究센터 객원연구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군사문제연구센터장 등을 역임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1절 군사기술 이해의 중요성과 무기의 분류
2절 한국 무기 및 군사기술 관련 연구 경향

2장 한국 고대~중세의 전쟁과 과학기술

1절 한국사에서 전쟁의 기원과 국가 형성
2절 1~3세기의 고구려의 팽창과 전쟁 양상
3절 4세기 이후 전쟁 양상과 무기체계 변화
1. 4세기 이후 전쟁 규모의 확대
2. 병종과 무기체계의 분화
3. 활과 화살의 기술 발전
4. 대(對)기병 무기의 발전
4절 삼국시대 후반(6~7세기)의 전쟁과 무기체계의 변화
1. 6세기 이후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화와 전쟁
2. 6~7세기 삼국의 무기체계 변화
5절 고려시대의 무기와 군사체제
1. 고려시대의 군사기술 발전의 배경
2. 고려시대의 군사기술과 무기체계

3장 화약무기 시대(고려 말~조선 전기)의 무기

1절 고려 후기의 화약과 화약무기 개발
2절 조선 전기의 군사적 전통과 전술적 특징
3절 조선 전기의 재래식 무기
4절 조선 전기 화약무기 개발의 추이

4장 동아시아 화기 혁명과 조선(16세기말~18세기)

1절 임진왜란 중 절강병법(浙江兵法)의 도입과 신형 단병기
2절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조총 도입과 군사적 변화
1. 동아시아 지역의 조총 전래와 조선의 도입
2. 17세기 초 조선의 조총병 확대
3. 병자호란 이후 조총 중심 전술체계의 완성
3절 17세기 조선의 화포 발달
1. 임진왜란과 중국 화포의 도입
2. 병자호란 시기 청의 홍이포 운용과 조선의 대형 화포 제작
3. 17세기 후반 화포 중심의 전쟁 양상과 조선 화포 증강
4절 화약 수요의 급증과 화약 제조법의 발전
1. 임진왜란과 화약 수요의 급증
2. 17세기 화약 제조법의 발달과 관련 서적의 간행
5절 전쟁의 양상 변화와 신호체계의 정교화
6절 대형 화포의 등장과 조선 후기 성곽 구조 변화
1. 임진왜란의 전투 경험과 새로운 성곽 기술의 도입
2. 17세기 전반 조선의 성곽 구조 변화
3. 17세기 후반 이후 조선의 성곽 구조 변화
4. 18세기 후반 수원 화성에 보이는 새로운 축성법
7절 18세기 군사기술의 발달과 화포의 제작
1. 화기의 성능 향상과 조총 보급의 확대
2. 17세기 말~18세기 대형 화포의 발전
3. 전차, 화차의 제작과 운용

5장 19세기 서구 근대 무기의 수용과 무기 개발

1절 19세기 전반기 화약무기의 활용과 개량
1. 홍경래의 난 시기 화약무기의 운용1
2. 『융원필비』의 화기 개량
2절 고종 초반 군비 증강과 무기 개발
3절 신미양요(1871) 이후 조선의 무기 개발
4절 19세기 후반 서양 무기의 제조 시도와 무기 수입


6장 대량 파괴, 첨단 전쟁의 시대와 한국의 국방과학기술

1절 한국 방위산업 전사(前史)ㅡ일제강점기 말 조선의 군수공업
2절 해방~1960년대 한국의 무기 제조 및 개발
1. 해방 직후 국방사상과 무기 제조 착수
2. 1950년대 군사전략과 무기 개발
3. 1960년대 각 군의 무기 개발과 제조
3절 1970년대(1968∼1979) 자주국방의 모색과 방위산업의 태동
1. 수도 사수론의 대두와 적극방어전략의 채택
2. 국방과학연구소의 창설과 국방기술 개발 착수
3. 율곡사업의 개시와 국방기술의 본격 개발
4. 1970년대 후반 억제전략의 수립과 전략무기 개발론
5. 1970년대 군사기술 개발 사례: 한국형 장갑차와 야포 개발을 중심으로
6. 1970년대 한국의 미사일 개발과 한국의 기술 도약
4절 1980년대(1980∼1993) 공세적 방어사상의 대두와 국방기술의 양상
1. 1980년대 자주국방의 좌절과 공세적 방어전략 채택
2. 1980년대 후반 기동전 사상의 대두
3. 걸프전 이후 한국의 군사전략과 무기 개발

맺음말 1990년대 후반 이후 한국 방위산업의 딜레마와 극복 방향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Grossman, Dave (2023)
井上孝司 (2023)
日本経済新聞社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