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테스토스테론의 진실 : 우리를 지배하고 갈라놓는 테스토스테론 이야기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Hooven, Carole 배상규, 역
서명 / 저자사항
테스토스테론의 진실 : 우리를 지배하고 갈라놓는 테스토스테론 이야기 / 캐롤 후븐 지음 ; 배상규 옮김
발행사항
성남 :   상상스퀘어,   2023  
형태사항
478 p. : 삽화 ; 22 cm
원표제
T : the story of testosterone, the hormone that dominates and divides us
ISBN
9791192389189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Testosterone Testosterone --Physiology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1180
005 20230607145825
007 ta
008 230605s2023 ggka 001c kor
020 ▼a 9791192389189 ▼g 03510
035 ▼a (KERIS)BIB000016756853
040 ▼a 244009 ▼c 244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0 ▼a 612.6/14 ▼2 23
085 ▼a 612.614 ▼2 DDCK
090 ▼a 612.614 ▼b 2023
100 1 ▼a Hooven, Carole
245 1 0 ▼a 테스토스테론의 진실 : ▼b 우리를 지배하고 갈라놓는 테스토스테론 이야기 / ▼d 캐롤 후븐 지음 ; ▼e 배상규 옮김
246 1 9 ▼a T : ▼b the story of testosterone, the hormone that dominates and divides us
260 ▼a 성남 : ▼b 상상스퀘어, ▼c 2023
300 ▼a 478 p. : ▼b 삽화 ; ▼c 22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Testosterone
650 0 ▼a Testosterone ▼x Physiology
700 1 ▼a 배상규, ▼e
900 1 0 ▼a 후븐, 캐롤,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2.614 2023 등록번호 1118812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테스토스테론이란 무엇인가? 왜 테스토스테론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테스토스테론은 과학적으로 사회적으로 어떤 기능과 역할을 수행해왔을까? ‘테스토스테론의 진실’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발전시켜나갈 수 있을까? 하버드 대학교의 진화 생물학자인 캐롤 후븐(Carole Hooven)은 《테스토스테론의 진실》에서 진화 생물학과 내분비학에서의 관련 연구 그리고 스토리텔링을 곁들여 테스토스테론의 작용 원리와 그 결과를 설명한다. 또한 테스토스테론이 어떻게 성별 행동을 분리하고 역할을 강화했는지를 드러낸다.

저자는 흥미로운 개인사와 최신 연구를 통해, 이 문제적 남성호르몬 뒤에 숨겨진 과학을 이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하고 있다. 테스토스테론의 발견으로부터 시작하여 테스토스테론이 동물계에 미치는 영향과 인간의 몸과 마음, 행동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을, 방대한 과학적 연구와 사회적 통찰로 가득한 《테스토스테론의 진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타임스〉 최고의 책 선정!
〈월스트리트저널〉 필독서 10선 선정!

“테스토스테론을 성, 스포츠, 정치와 관련해 논하려면 이 남성호르몬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제대로 설명해야 한다. 우리는 바로 그 탁월한 책을 만났다.”
_스티븐 핑커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지금 다시 계몽》의 저자)

하버드 대학교 인간 진화 생물학자 캐롤 후븐이 밝혀낸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의 진실과 거짓!

테스토스테론은 우리 사회를 어떻게 지배해왔을까?
그리고 우리는 테스토스테론을 어떻게 잘못 이해해왔을까?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에 대한 신화와 잘못된 인식을 재고하는 가장 논쟁적인 책!


테스토스테론이란 무엇인가? 왜 테스토스테론에 대해 알아야 하는가? 테스토스테론은 과학적으로 사회적으로 어떤 기능과 역할을 수행해왔을까? ‘테스토스테론의 진실’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발전시켜나갈 수 있을까? 하버드 대학교의 진화 생물학자인 캐롤 후븐(Carole Hooven)은 《테스토스테론의 진실》에서 진화 생물학과 내분비학에서의 관련 연구 그리고 스토리텔링을 곁들여 테스토스테론의 작용 원리와 그 결과를 설명한다. 또한 테스토스테론이 어떻게 성별 행동을 분리하고 역할을 강화했는지를 드러낸다. 저자는 흥미로운 개인사와 최신 연구를 통해, 이 문제적 남성호르몬 뒤에 숨겨진 과학을 이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하고 있다. 테스토스테론의 발견으로부터 시작하여 테스토스테론이 동물계에 미치는 영향과 인간의 몸과 마음, 행동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을, 방대한 과학적 연구와 사회적 통찰로 가득한 《테스토스테론의 진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에 대한 오해 그리고 이해!
테스토스테론을 이해함으로써 사회를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 남녀 성별 간 격차는 타고난 것인가 수정 가능한 것인가?
-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높으면 폭력성도 높아질까?
- 스포츠 선수뿐만 아니라 우리의 몸과 마음은 테스토스테론에 어떻게 반응할까?
- 모든 남자의 이상형은 ‘처음 보는 여자’라는 말은 과학적으로 사실일까?
- 호르몬에 불과한 테스토스테론이 우리의 사랑과 성, 가정과 사회에 어떻게 치명적으로 작용해왔을까?

과학과 진화론의 시선으로 바라본 테스토스테론
진화는 인간의 본성을 어떻게 형성해왔는가?


테스토스테론은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androgen’의 일종이며, 안드로겐은 그리스어로 남성을 뜻하는 ‘안드로andro’와 생성을 뜻하는 ‘겐gen’이 합쳐진 말이다. Y염색체가 남성이라는 성별을 결정짓는 요소라면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성을 결정짓는 요소다.
테스토스테론은 우리 혈액 속에 소량 들어 있는 호르몬이다. 남성과 여성은 모두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지만, 남성의 분비량이 여성보다 10배에서 20배 더 많다. 특히 사춘기에는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여성보다 약 30배 높다.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태아의 자그마한 고환이 몸속에 들어 있을 때부터 시작해서 일생에 걸쳐 변한다.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몸속에서 일어나는 내부 작용뿐 아니라 몸 밖에서 일어나는 외부 작용에도 영향을 받는다. 분비량이 적어도 테스토스테론은 우리 몸에서 분비되는 그 어떤 물질보다 유명세를 타고 있다.
일부 테스토스테론 회의론자는 여성의 몸에서도 테스토스테론이 분비된다는 점을 들어, 테스토스테론을 남성호르몬이라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몸을 만들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남성호르몬이라는 명칭은 테스토스테론의 역할을 정확히 담아내고 있다.

테스토스테론이 진화 과정에서 담당하는 주요 기능은 남성의 몸과 행동을 번식 행위에 적합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이 목표를 위해 인간을 비롯한 여러 수컷 포유류는 생애 초기에 테스토스테론에 노출되며, 이는 훗날 사춘기에 활성화되는 신경 회로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테스토스테론은 모든 것을 바꾼다. 모든 염색체의 유전자 발현 방식을 바꾼다. 여성과 비교했을 때 남성의 수천 가지 유전자에서 비롯되는 단백질은 생성 방식이나 수량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렇게 생성된 단백질은 뇌와 몸에 영향을 미친다. 처음에는 태아기에, 그다음에는 출생 직후에 영향을 미치다가 사춘기에 이르러 폭발적인 변화를 이끌어낸다.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을 받은 몸과 행동은 다시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은 우리가 죽을 때까지 이어지고 또 이어진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성과 여성을 갈라놓는다.

테스토스테론의 효과는 깊고도 넓다. 남자아이들이 본능적으로 거친 놀이를 좋아하는 성향, 경쟁하고자 하는 욕구, 높은 성욕과 새로운 성관계 상대를 선호하는 성향, 여성 대비 뛰어난 운동 능력은 모두 이 호르몬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직 그 전모가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테스토스테론은 성적 지향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다. 태아기에 테스토스테론에 많이 노출된 여성은 동성애 성향을 더 강하게 보인다. 또한 태아기의 테스토스테론 노출도는 직업 선호도와 같은 다른 종류의 성차와도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인간에게서 나타나는 성차는 침팬지를 비롯한 여러 종과 비교했을 때 적은 편이다. 가장 큰 이유를 꼽자면 어린아이는 부모가 모두 있을 때 잘 자라고, 남성 간 경쟁은 침팬지나 붉은사슴, 도마뱀 같은 종의 수컷 간 경쟁에 비해 격렬하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 우리 인간은 진화를 거치며 뇌가 크게 발달한 덕분에 자신이 내린 결정을 곱씹을 수 있는 능력을 얻었다. 더불어 매우 정교한 사회를 발달시켰다. 사회는 지식을 생성하고 보관하는 역할을 담당했으며, 지식은 후세에 전달되면서 더욱 확장되었다. 침팬지와 달리 인간은 자신의 진화적 기원과 진화에서 비롯된 신체의 생화학적 작용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 이렇게 배운 지식은 침팬지는 누릴 수 없는, 우리 스스로에 대한 통제력을 부여한다.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의 사회학

유력한 남성들이 지나친 남성성이라는 저주에 걸려 전쟁과 강간으로 치닫는 사태는 테스토스테론의 책임이며, 여성은 그런 상황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만 할까? 속설에 따르면 테스토스테론은 과다하면 위험하고, 부족하면 무기력해지며, 적절하면 활기차고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다고 한다. 모두 사실일까? 아니면 성차별주의자가 퍼뜨린 미신에 불과할까? 이러한 질문에 제대로, 상세히, 진지하고 진솔하게 답하는 책이 바로 《테스토스테론의 진실》이다.
하버드 대학교의 진화 생물학자인 캐롤 후븐(Carole Hooven)은 《테스토스테론의 진실》에서 진화 생물학과 내분비학에서의 상세한 관련 연구와 취재 그리고 스토리텔링을 곁들여 테스토스테론의 작용 원리와 그 결과를 설명한다. 또한 테스토스테론이 어떻게 성별 행동을 분리하고 역할을 강화했는지를 드러낸다. 흥미로운 개인사와 최신 연구를 통해, 이 호르몬 뒤에 숨겨진 과학을 이해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한다. 테스토스테론의 발견으로부터 시작하여 테스토스테론이 동물계에 미치는 영향과 인간의 몸과 마음, 행동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이 책을 통해 상세하고 깊이 있게 확인할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짧은 시간 안에 변할 수 있다. 적절한 체격과 환경이 갖춰진 상태라면, 싸움의 승패에 따라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오르내리는 것은 수컷이 주어진 상황에 적응하도록 도움을 준다. 승자는 자신이 거둔 성공을 십분 활용하는 동시에 도전자가 싸움을 걸어올지도 모르는 상황에 대비해야 하고, 패자는 더욱 몸을 사리고 다음번에는 자신과 체구가 비슷한 상대를 택하거나 물러서야 한다. 이처럼 단기간에 일어나는 변화가 미치는 효과는 테스토스테론뿐만 아니라 각 개체의 기질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또 안드로겐 수용체의 밀도와 활성도의 영향도 받으며, 이는 다시 유전자의 영향을 받는다. 테스토스테론이 미치는 효과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유전자, 지위, 기질, 건강, 현재의 사회적 상황이 모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테스토스테론은 우리 뇌와 행동에 직접적으로 작용해서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간접적으로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낮은 목소리, 커다란 체구, 우람한 근육과 같은 신체적 특성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버지가 되어 육아에 참여하면 테스토스테론 수치에 장기적으로 변화가 나타난다.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높게 유지하려면 그만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 이 때문에 수컷이 자신의 에너지를 짝짓기 경쟁이 아니라 가족의 건강 증진에 사용해야 하는 시기가 되면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인간, 참새, 사슴, 가시도마뱀 할 것 없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남성도 여성과 마찬가지로 훌륭한 배우자감을 두고 경쟁을 펼치는 행위로부터 이득을 얻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남성은 지위를 높여야 번식에 유리하다. 신체적 공격성과 같이 직접적인 형태의 경쟁은 남성의 지위를 높이는 과정에 도움이 된다. 또한 남성은 여성에 비해 성욕이 훨씬 높고 새로운 성관계 상대를 선호한다. 이러한 특성은 모두 테스토스테론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환경을 바꾸면 우리 몸속의 작용, 다시 말해 유전자의 발현방식이나 호르몬 수치 및 활성도는 달라질 수 있다. 유전자와 환경의 힘이 어떤 식으로 엮여서 상호작용하는지를 배우면 특정 행동이 나타나는 이유를 이해할 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유익한 심리적·사회적 변화를 더 수월하게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테스토스테론이 던지는, 더 나은 사회에 대한 쟁점과 과제

만약 테스토스테론이 남성의 높은 호전성을 설명해주는 요인이 아니라면, 이를 대체하는 다른 가설로는 사회화를 생각해볼 수 있다. 미국 심리학회가 지적했듯이, “성 역할 사회화 과정에서 남성은 지배적이고 공격적으로 행동하도록 요구받고 이를 통해 가부장적 질서를 유지한다.” 만약 문제 행동이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면, 그 요인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없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 행동이 테스토스테론에 의한 것이라면, 그래서 ‘타고나는 것’이라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문제적인 남성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떨어뜨릴 필요는 없다. 태도와 문화를 바꾸는 것으로도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사회의 보상과 처벌, 그리고 칭찬과 비난은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테스토스테론을 이해해나가는 것은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사회구조 개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우리 대부분은 인간 행동에 존재하는 성별 차이에 동의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관점을 달리한다. 그러나 과학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분명하다. 테스토스테론은 인간 사회에서 강력한 힘이며, 성별의 신체와 행동을 분리한다. 테스토스테론은 유전자, 문화와 함께 남성과 여성의 다양한 행동을 규정한다. 결정적으로, 많은 성별 차이가 생물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사실로 인해 성별 규범을 제한하거나 가부장적인 가치를 지지한다는 것은 비과학적이다. 우리는 논쟁적인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을 이해함으로써 우리 자신과 타인을 더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더 공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다.

결국 다시, 우리는 왜 테스토스테론에 대해 알아야 할까? 테스토스테론은 인간 사회에서 강력한 힘이며, 성별의 신체와 행동을 분리한다. 테스토스테론은 유전자, 문화와 함께 남성과 여성의 다양한 행동을 규정한다. 저자 캐롤 후븐은 우리 사회의 진보는 과학의 진보에 달려 있다고 강조한다. 인간의 우선순위와 행동을 이끄는 힘을 이해하고, 또 유전자와 호르몬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하면, 우리 본성의 어두운 면이 표출되는 상황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테스토스테론의 진실》은 우리가 과학을 통해 우리 자신뿐 아니라 인간 행동의 경이롭고도 우려스러운 다양한 측면을 이해할 수 있음을, 또다시 역설하는 역작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캐롤 후븐(지은이)

미국의 생물학자이자 작가로 현재 하버드 대학교 인간 진화 생물학과에서 학부 연구 지도를 맡고 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성차와 테스토스테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이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강의를 계속하고 있다. 캐롤 후븐의 연구 관심사는 진화 생물학과 동물 행동 및 신경내분비학이다. 이러한 주제에 관한 많은 과학 논문을 발표했으며, 그의 연구는 〈뉴욕 타임스〉,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같은 대중 매체에도 소개되었다. 호르몬이 인간의 몸과 정신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연구 결과가 누적되는 가운데, 캐롤 후븐은 그에 더해 호르몬의 사회적 영향력에까지 시선을 확장했다. 《테스토스테론의 진실》은 과학적, 인문학적 고찰을 통해 더 나은 사회상과 발전까지 돌아보는, 방대하면서도 참신하고 과감한 역작이다. 캐롤 후븐은 트위터(@hoovlet)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으며, 다양한 글과 통찰을 꾸준히 나누고 있다.

배상규(옮긴이)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했다. 건축과 스포츠, 소설을 비롯한 각종 이야기책에 관심이 높다. 옮긴 책으로 《문명의 물질》, 《모래가 만든 세계》, 《세계 초고층 빌딩》 《그 남자의 시계계》 등이 있다. 현재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1. 들어가며
2. 내분비
3. 남자아이와 테스토스테론
4. 테스토스테론이 뇌에 미치는 영향
5. 테스토스테론이 가져다주는 이점
6. 뿔과 공격성
7. 폭력적인 남성
8. 짝짓기
9. 성전환과 테스토스테론
10. 테스토스테론에 주목해야 할 시간

감사의 글
색인
주석

관련분야 신착자료

Adee, Sally (2023)
McConell, Glenn (2022)
Hansen, Anders (2022)
Siddhartha, Bikram Panday (2022)
Talus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