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1024 | |
005 | 20230601170618 | |
007 | ta | |
008 | 230601s2022 jbkad b 000c kor | |
020 | ▼a 9791163453444 ▼g 93560 | |
035 | ▼a (KERIS)BIB000016361907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82 | 0 4 | ▼a 338.470068 ▼2 23 |
085 | ▼a 338.470068 ▼2 DDCK | |
090 | ▼a 338.470068 ▼b 2022z2 | |
110 | ▼a 비피기술거래 ▼0 AUTH(211009)50697 | |
245 | 1 0 | ▼a 국내외 실감콘텐츠 관련산업분석보고서 = ▼x Immersive content / ▼d 비피기술거래, ▼e 비피제이기술거래 편저 |
250 | ▼a 개정2판(2022개정판) | |
260 | ▼a 전주 : ▼b 비티타임즈, ▼c 2022 | |
300 | ▼a 3, 103 p. : ▼b 삽화, 도표 ; ▼c 30 cm | |
490 | 1 0 | ▼a BT report |
504 | ▼a 참고문헌: p. 103 | |
710 | ▼a 비피제이기술거래, ▼e 저 | |
830 | 0 | ▼a BT report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서고2층(단행본)/대형 | 청구기호 대형 338.470068 2022z2 | 등록번호 1118811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실감형 방송콘텐츠 제작 기술에 많은 기업과 주요 선진 국가가 눈여겨보는 이유는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가상화된 몰입형 기반의 실감형 콘텐츠가 국내외 산업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과 활용 범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의 혁신적인 기술이 이끌고 있는 미래 콘텐츠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대비하기 위해, 실감콘텐츠의 개요와 사례 시장 현황 및 전망 등 실감콘텐츠에 대해서 알아보고 결론 및 향후 전망을 제시하려 한다.
방송이란 콘텐츠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산업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봐왔던 전통적인 형태의 콘텐츠의 제작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빠르게 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맞춰 이동통신 서비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실감형 방송 영상 콘텐츠의 증가와 사용자의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현존감(presence)을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서 극대화할 수 있게 됐으며 현실과의 경계도 인지하기 어려운 수준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과 현존감에 대한 그리고 사용자 중심의 능동적인 콘텐츠 소비를 가능하게 한 핵심 기술은 5G 이동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그리고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등 시각적인 가상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에게 시각, 청각 형태로 제공되는 미디어의 실감성을 높이기 위해 촉각, 후각 등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는 형태의 콘텐츠 제공기술을 활용하는 광학 및 소프트웨어 기술과 오감미디어 기술을 기반으로 소비자에게 모든 시점에서 관찰을 가능하게 한 3차원 콘텐츠를 제공하는 홀로그램 기술도 실감성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 활용된다. 또한, 떨어져 있는 다수의 미디어 사물들을 연결하여 오디오 및 영상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지능적으로 처리하여 실감미디어로 구현함으로써 부가가치가 높아진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중심 사물인터넷 기술 및 웹 브라우저 내에서 여러 형태의 실감형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한 기술도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콘텐츠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연동 및 인터랙션데이터를 웹 기반으로 제공하는 웹 기반 콘텐츠 플랫폼 기술과 여러 개의 센서, 구동 기들을 이용하여 현실세계를 비추고 동기화되는 가상세계의 구축과 운용의 기반을 제공하는 기술도 현재의 실감형 콘텐츠 제작 환경을 보다 빠르게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실감형 방송콘텐츠 제작 기술에 많은 기업과 주요 선진 국가가 눈여겨보는 이유는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가상화된 몰입형 기반의 실감형 콘텐츠가 국내외 산업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과 활용 범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현재의 혁신적인 기술이 이끌고 있는 미래 콘텐츠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대비하기 위해, 실감콘텐츠의 개요와 사례 시장 현황 및 전망 등 실감콘텐츠에 대해서 알아보고 결론 및 향후 전망을 제시하려 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비피기술거래(지은이)
시장조사전문기관으로 다음과 같은 보고서 등을 저술하였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끌 미래인쇄전자 산업분석 보고서 국내외 게임시장 산업분석 보고서 사물인터넷 산업분석보고서 조명시장과 OLED 시장보고서 MEMS 기술산업전략보고서 반려동물 산업과 첨단 기술의 만남 방열소재 시장과 기술동향 모바일화에 따른 온라인 문화콘텐츠산업 동향 미세먼지에 관련된 국내시장에 대한 전망분석 보고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정책 및 시장과 개발 업체 동향, 기술현황과 사업아이템 듀얼 카메라 시장조사 보고서 전통문화의 시장 및 기술동향 전통식품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용 화학 등등 저술
비피제이기술거래(지은이)
시장조사전문기관으로 국내외 시장동향 산업동향을 조사하는 기관이다 블록체인 가상화폐 산업분석보고서 조선산업시장동향 분석보고서 국내외 자율주행산업분석보고서 2020년대를 이끌 차세대 기술혁명의 선두주자 무인이동체 분야별 시장전망과 산업분석보고서 국내외 인공지능산업분석보고서 성장하는 채식주의관련 산업분석보고서

목차
1. 서론 3 2. 실감콘텐츠의 개요 4 가. 실감콘텐츠의 의의 4 나. 실감콘텐츠의 영역 5 1) 가상현실 5 2) 증강현실 6 3) 혼합현실 7 4) 확장현실 8 5) 홀로그램 9 6) 오감 미디어 11 다. 실감경제의 출범 12 1) 실감경제란? 12 3. 실감콘텐츠 기술 동향 14 가. 가상현실 18 1) 원리 18 2) 주요 기술 23 나. 증강현실 26 1) 핵심 기술 26 다. 확장현실 29 1) 핵심 기술 29 4. 실감콘텐츠 관련 정책 33 가. 국내 33 1) K-ICT 디지털 콘텐츠 산업 육성계획 33 2) 5G+ 전략산업 33 3) 콘텐츠 산업 3대 혁신전략 33 4) 5G 실감콘텐츠 신시장 창출 프로젝트 35 나. 해외동향 37 1) 미국 37 2) 영국 41 3) EU 43 4) 독일 44 5) 중국 45 6) 일본 47 5. 실감콘텐츠 사례 47 가. 국내 47 1) SKT 47 2) KT 47 3) LG U+ 48 나. 해외 49 1) GE 49 2) BMW 50 3) 룩히드마틴(Lockheed Martin) 51 4) 포르쉐 51 5) 보더폰 52 6. 실감콘텐츠 산업 동향 54 가. 산업 유형 발전순 54 7. 실감콘텐츠 시장 현황 및 전망 57 가. 국외동향 57 1) 디지털콘텐츠 57 2) 실감콘텐츠 시장 65 나. 국내동향 88 8. 실감콘텐츠 기업 운영 분석 65 가. 국내 기업 65 나. 국외 기업 79 9. 결론 90 10. 참고문헌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