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치과의사가 시작하는) 수면무호흡치료 : 기초 지식과 구강내장치 치료의 실천

(치과의사가 시작하는) 수면무호흡치료 : 기초 지식과 구강내장치 치료의 실천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宮地舞 신영민, 역
서명 / 저자사항
(치과의사가 시작하는) 수면무호흡치료 : 기초 지식과 구강내장치 치료의 실천 / Miyachi Mai 저 ; 신영민 역
발행사항
서울 :   대한나래출판사,   2023  
형태사항
xiv, 177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9 cm
원표제
歯科医師のための睡眠時無呼吸治療
기타표제
환자의 전신 건강과 QOL 향상에 공헌하자!
ISBN
9788957419533
서지주기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찾아보기(p. 175-177) 수록
비통제주제어
수면 무호흡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0973
005 20230602102403
007 ta
008 230531s2023 ulkad b 001c kor
020 ▼a 9788957419533 ▼g 9351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617.6 ▼2 23
085 ▼a 616.209 ▼2 DDCK
090 ▼a 616.209 ▼b 2023
100 1 ▼a 宮地舞
245 2 0 ▼a (치과의사가 시작하는) 수면무호흡치료 : ▼b 기초 지식과 구강내장치 치료의 실천 / ▼d Miyachi Mai 저 ; ▼e 신영민 역
246 1 9 ▼a 歯科医師のための睡眠時無呼吸治療
246 1 3 ▼a 환자의 전신 건강과 QOL 향상에 공헌하자!
260 ▼a 서울 : ▼b 대한나래출판사, ▼c 2023
300 ▼a xiv, 177 p. : ▼b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c 29 cm
504 ▼a 각 장마다 참고문헌과 찾아보기(p. 175-177) 수록
546 ▼a 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3 ▼a 수면 무호흡증
700 1 ▼a 신영민, ▼e
900 1 0 ▼a 미야지 마이, ▼e
900 1 0 ▼a Miyachi, Mai,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신착 청구기호 616.209 2023 등록번호 1310574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제1장 왜 수면무호흡은 치료가 필요한가

1-1. 수면치과란

1) 수면치과의 중요성

2) SRBD에 관한 ADA의 성명

1-2. 수면관련호흡장애와 폐쇄성수면무호흡

1) SRBD란

2) OSA란

3) 코골이란

4) OSA 합병증의 위험성

1-3. SRBD의 역학

1) SRBD의 역학

2) OSA의 역학

3) CSA의 역학

1-4. OSA의 병태

1) OSA의 병태

2) OSA의 위험요소

1-5. 잠재성 SRBD가 미치는 영향

1) 잠재성 SRBD가 미치는 경제적 손실

2) 음주운전과 같은 수준의 사고율

3) 치료의 유무에 따른 생명 예후

1-6. OSA의 진단과 중증도

1) 진단

2) 중증도



제2장 수면무호흡의 치료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2-1. 수면관련호흡장애 치료의 선택지

1) 지속기도양압 치료

2) 구강내장치 치료

3) CPAP와 MAD의 혼합 치료

4) 외과수술

5) 수면위생지도

6) 기타 치료법과 지도

2-2. 수면치과치료의 지표와 그 효과

1) AASM 및 AADSM에 의한 가이드라인

2) SRBD에 대한 ADA의 성명

3) SRBD 치료의 효과

4) 수면치과치료의 효과

5) CPAP와 MAD의 비교



제3장 수면무호흡검사의 종류와 그 해석

3-1. 수면무호흡검사의 종류

1) PSG와 검사 과정

2) OCST와 검사 과정

3) PSG와 OCST의 차이

4) PSG와 OCST의 선택 방법

3-2. 수면무호흡검사 결과의 해석

1) 검사 결과에서 해석해야 할 포인트

2) 수면무호흡검사를 해석할 때의 주의점

3) MAD 장착 전후의 검사 결과 비교

3-3. 수면무호흡검사를 시행하는 시기

1) 수면치과치료 전

2) MAD 장착 후

3-4. 검사와 관련된 진료정보제공서 작성과 해석 방법

1) ?수면치과치료 전 의과에 검사를 의뢰할 경우 진료정보제공서 작성 방법

2) ?수면치과치료 전에 의과에서 회송된 진료정보제공서의 해석 방법

3) ?MAD 장착 후 의과에 검사를 의뢰할 경우 진료정보제공서 작성 방법

4) ?MAD 장착 후에 의과에서 회송된 진료정보제공서의 해석 방법

3-5. 수면무호흡검사 이외에 알아 두어야 할 수면검사

1) MSLT

2) CPAP압 설정 검사



제4장 수면치과치료의 진행 방법

4-1. 수면치과치료의 과정

4-2. 하악전방견인장치 제작에서 장착까지의 과정

4-3. 의과와 치과의 연계

4-4. 공적 의료보험 제도에서의 과정과 보험 점수



제5장 ?수면치과치료를 시행하기 위해 치과의원 내에서 필요한 준비

5-1. 원내 도입에 필요한 사항

5-2. 진료 체제 구축

5-3. 원내 설비 정비

5-4. 진료 시간과 간격, 예약 방법 설정

5-5. 진료 요금 설정

5-6. 원내 스태프와의 연계체제 구축

5-7. 정보 제공과 홍보

5-8. 의과 의료기관과의 관계 구축

5-9. 학회 등에서의 정보 수집



제6장 치과의원에서 수면관련호흡장애를 발견하는 방법

6-1. 스크리닝의 목적

6-2. 스크리닝 시행 시기

6-3. 스크리닝 과정

1) 문진

2) 외견적 특징 확인

3) 질문표 기입 의뢰

4) 구강내검사

6-4. 스크리닝 후의 과정



제7장 수면치과치료를 위한 술전 검사

7-1. 술전 검사의 목적

7-2. 술전 검사를 시행하는 시기

7-3. 문진에서 듣고 이해해야 할 것

1) 주소의 확인

2) ?수면무호흡검사 결과와 의과에서의 진료정보제공서 확인

3) 수면습관과 수면체위 확인

4) SRBD 이외의 수면장애 유무 확인

5) 수면과 관련된 약의 복용 유무 확인

6) CPAP 사용력 유무 확인

7-4. 하악전방견인장치의 제작 전 체어사이드에서의 검사

7-5. 기도의 확인

7-6. 술전 검사의 기록



제8장 수면치과치료 계획의 수립과 결정

8-1. 치료 계획의 수립

1) ?MAD 이외의 치료법을 치료 계획에 포함할 것인가

2) 일반적인 치과치료의 필요성

3) 구강내장치의 선택

4) 재평가

5) 유지관리

8-2. 치료 계획의 결정



제9장 구강내장치의 인상채득과 교합채득

9-1. 구강내장치의 인상채득

1) 인상채득의 종류

2) 아날로그 인상채득

3) 디지털 인상채득

9-2. 구강내장치의 교합채득

1) 교합채득의 중요성

2) 교합채득 장치의 명칭과 종류

3) 교합채득 전 준비

4) 교합채득 시 악간 위치의 결정 방법의 기본

5) 교합채득 과정



제10장 구강내장치 제작과 장착 시 시행하는 환자 지도

10-1. 구강내장치의 설계

1) 구강내장치 설계 과정

2) MAD 기공지시서 기입 예

10-2. 상하일체형 구강내장치의 제작, 조정, 가고정, 장착

10-3. 상하분리형 구강내장치의 제작, 조정, 장착

10-4. 구강내장치 장착 시 환자 지도

1) ?구강내장치의 주의 사항, 취급 방법, 탈착 방법의 설명

2) 스트레칭 운동의 지도



제11장 수면치과치료의 평가와 구강내장치의 조정

11-1. 구강내장치 장착 후의 평가 방법

11-2. 주관적 평가 방법

1) 문진에서 청취할 점

2) 체어사이드에서의 검사

11-3. 부작용 대응 방법

11-4. 하악전방견인장치의 조정

1) MAD의 교합조정과 내면 조정 방법

2) ?MAD의 상하 위치관계의

연속적·단계적 조정 방법

11-5. 객관적 평가

1) 객관적 평가 방법

2) 기도의 분석

11-6. 객관적 평가 후의 과정

1) 수면치과치료의 효과가 보이는 경우

2) 상하일체형의 고정

3) 수면치과치료의 효과가 보이지 않는 경우



제12장 환자의 호응을 끌어내는 대화 기술

12-1. 대화 기술의 필요성

12-2. 정보 제공을 포함한 수면치과 카운슬링

1) 수면치과 카운슬링

2) 정보 제공

12-3. 수면치과 컨설트

12-4. 4가지 맵스타일

12-5. 지도와 코칭

1) MAD 장착의 습관을 지속시키기 위한 지도와 코칭

2) 지도

3) 코칭



제13장 좀 더 알아 두고 싶은 수면과 수면장애 관련 지식

13-1. 수면이란 어떠한 것인가

1) ‘렘수면’과 ‘비렘수면’

2) 정상적인 수면 사이클

3) 수면의 역할과 의의

4) 수면과 ‘체온, 빛, 호르몬 분비’의 관계

5) 적절한 수면시간

13-2. 수면장애의 정의

13-3. OSA의 감별 진단


정보제공 : Aladin

관련분야 신착자료

Willey, Joanne M (2023)
대한폐고혈압학회 (2023)
혈관영상생리연구회 (2023)
정진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