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50709 | |
005 | 20230531104049 | |
007 | ta | |
008 | 230525s2022 ggka b 000c kor | |
020 | ▼a 9791168014510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6214641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895.7099282 ▼2 23 |
085 | ▼a 897.099282 ▼2 DDCK | |
090 | ▼a 897.099282 ▼b 2022z1 | |
110 | ▼a 방정환연구소 | |
245 | 1 0 | ▼a 어린이를 기다리는 동무에게 : ▼b 잡지 『어린이』(1923-1949) 완독 기념 / ▼d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지음 |
260 | ▼a 파주 : ▼b 이담북스 : ▼b 한국학술정보, ▼c 2022 | |
300 | ▼a 344 p. : ▼b 삽화(일부천연색) ; ▼c 22 cm | |
500 | ▼a 저자: 권애영, 김경희, 김영재, 김창희, 김흥제, 박민주, 박종진, 박형주, 서희경, 손증상, 송영숙, 유애순, 이정아, 장정희, 정선혜, 최미선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0 | 0 | ▼a Children's literature, Korean ▼x History and criticism |
650 | 0 | ▼a Korean literature ▼x Periodicals ▼x History ▼y 20th century |
700 | 1 | ▼a 권애영, ▼e 저 |
700 | 1 | ▼a 김경희, ▼e 저 |
700 | 1 | ▼a 김영재, ▼e 저 |
700 | 1 | ▼a 김창희, ▼e 저 |
700 | 1 | ▼a 김흥제, ▼e 저 |
700 | 1 | ▼a 박민주, ▼e 저 |
700 | 1 | ▼a 박종진, ▼e 저 |
700 | 1 | ▼a 박형주, ▼e 저 |
700 | 1 | ▼a 서희경, ▼e 저 |
700 | 1 | ▼a 손증상, ▼e 저 |
700 | 1 | ▼a 송영숙, ▼e 저 |
700 | 1 | ▼a 유애순, ▼e 저 |
700 | 1 | ▼a 이정아, ▼e 저 |
700 | 1 | ▼a 장정희, ▼e 저 |
700 | 1 | ▼a 정선혜, ▼e 저 |
700 | 1 | ▼a 최미선,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7.099282 2022z1 | 등록번호 11188091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22년 5월 1일은 어린이날이 제정된 지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다.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원문 읽기 팀은 2014년 10월 16일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독서토론실에서 시작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는 온라인으로 2021년 8월 19일까지 8년 동안 잡지 『어린이』(1923-1949)를 완독했다. 그리고, 이 책은 원문을 읽으면서 느꼈던 감동, 즐거움, 슬픔 그리고 고민을 여러 사람들과 나누고자 기획되었다.
5월 1일이 옵니다. 어린이의 날입니다.
이 기쁘고 즐거운 날,
이 세상 몇백만 어린이들의 복을 빌며
우리는 축복을 내밉니다
2022년 5월 1일은 어린이날이 제정된 지 10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입니다.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원문 읽기 팀은 2014년 10월 16일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독서토론실에서 시작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는 온라인으로 2021년 8월 19일까지 8년 동안 잡지 『어린이』(1923-1949)를 완독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은 원문을 읽으면서 느꼈던 감동, 즐거움, 슬픔 그리고 고민을 여러 사람들과 나누고자 기획되었습니다.
우리는 『어린이』를 읽으면서 울고 웃었고, ‘식민지’라는 암울한 시대와 조우하면서 그 때의 ‘어린이’를 통해서 지금의 ‘어린이’에게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할 수 있는가 탐색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원문을 읽고 원문에 나오는 현장을 답사하고 그것을 어린이와 소통하는 무대를 만들고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논문으로 써 왔습니다. 아동문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어린이의 삶과 현실을 떠나서 있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도 이 책을 통해서 잡지 『어린이』의 다양한 세계를 만나고, 원문 읽기의 즐거움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지은이들
권애영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특임연구원, 중국아동문학연구자
김경희 옛이야기연구자, 가천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학술연구교수
김영재 동화구연가, 아동문학가
김창희 시인, 문학치유전문가, 동화구연가
김흥제 책고리 이야기꾼, 동시인
박민주 동화구연가, 그림책 활동가, 책놀이 연구가
박종진 한일아동문학연구자, 연세대학교 젠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박형주 호주아동문학문화연구자, 번역가, 공주교육대학교 강사
서희경 동시인, 아동문학연구자
손증상 아동극 연구자
송영숙 동시인, 스토리텔러,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유애순 아동문학가, 동화구연가, 한국동화스피치협회 회장
이정아 방정환 연구자,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 및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장정희 동화작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정선혜 아동문학평론가, 동시인, 동심치유연구소 소장
최미선 동화작가, 아동문학평론가, 경상국립대학교 강사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토끼의 귀 첫째 마당, 놀음놀이 김경희_ 조선 13도의 고적 명승을 찾아라! 김영재_ 알록달록 꽃과 함께 사계절 꽃 이야기 박민주_ 『어린이』는 놀이교육의 보물상자 박종진_ 메타버스 세상에서 다시 읽는 『어린이』 속 그림동화 둘째 마당, 머나먼 길을 떠나서 김창희_ 독자문예, 어린이의 속마음을 보여줘! 유애순_ ‘나’로부터 ‘세계’로, 방정환의 『어린이독본』 권애영_ 만주로 간 아이들, 『어린이』에서 만나다 최미선_ 문화의 날개를 꺾은 검열 섯째 마당, 서로서로 존경하는 마음으로 서희경_ 공장으로 간 어린이 정선혜_ 방정환 창작동화의 비밀코드 박형주_ 해방공간에서 만난 톰 아저씨 이야기 이정아_ 지상토론회 〈봄이 좋은가 가을이 좋은가〉 넷째 마당, 함께 해 보자 장정희_ 『어린이』에 실린 ‘최초’의 창작동요를 찾아서 김흥제_ 『어린이』에서 고른 24가지 이야기 손증상_ 아동극 「효창공원」, 우리도 해 볼까? 송영숙_ ‘이야기마당극’ 「토끼의 재판」과 「노래주머니」 남은 잉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