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Aptamer-organic phosphor hybrid assembly for target recognition [전자자료]

Aptamer-organic phosphor hybrid assembly for target recognition [전자자료]

자료유형
E-Book(학위논문)
개인저자
조선기
서명 / 저자사항
Aptamer-organic phosphor hybrid assembly for target recognition [전자자료] / Sunki Cho
발행사항
Seoul :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3  
형태사항
전자책 1책(vi, 48 p.) : 천연색삽화, 도표
학과코드
0510   6D5   1240  
일반주기
지도교수: 안동준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4-38
비통제주제어
앱타머, 이종 조립체, 인광 수명, 자가형광, 순수 유기 인광,,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50421
005 20230718150453
006 m d
007 cr
008 221219s2023 ulkad obmAC 000c eng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eng ▼b kor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D5 ▼c 1240
100 1 ▼a 조선기
245 1 0 ▼a Aptamer-organic phosphor hybrid assembly for target recognition ▼h [전자자료] / ▼d Sunki Cho
246 1 1 ▼a 타겟 인식을 위한 앱타머-유기 인광체 하이브리드 어셈블리
260 ▼a Seoul : ▼b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c 2023
300 ▼a 전자책 1책(vi, 48 p.) : ▼b 천연색삽화, 도표
500 ▼a 지도교수: 안동준
500 ▼a 본표제는 표제면 이미지의 표제임
502 0 ▼a 학위논문(석사)-- ▼b 고려대학교 대학원, ▼c 화공생명공학과, ▼d 2023. 2
504 ▼a 참고문헌: p. 34-38
653 ▼a 앱타머 ▼a 이종 조립체 ▼a 인광 수명 ▼a 자가형광 ▼a 순수 유기 인광
900 1 0 ▼a Cho, Sunki, ▼e
900 1 0 ▼a 안동준, ▼g 安東俊, ▼d 1963-, ▼e 지도교수 ▼0 AUTH(211009)153384
900 1 0 ▼a Ahn, Dong June, ▼e 지도교수
945 ▼a ITMT
991 ▼a E-Book(학위논문) ▼w (DCOLL211009)000000270388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Aptamer-organic phosphor hybrid assembly for target recognition [전자자료] (9회 열람)
PDF 초록 목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e-Book 컬렉션/ 청구기호 CT 0510 6D5 1240 등록번호 E13001008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상온 인광(room temperature phosphorescence; RTP)은 용액 상태에서 열 에너지에 의한 진동과 산소 소광에 의해 인광이 아닌 비방사 붕괴(nonradiative energy relaxation)로 소멸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온에서 수 초 동안 인광 방출이 지속되는 이소플탈산(iIsophthalic acid; IPA)과 뉴클레오린(nucleolin)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G-quadruplex 구조체를 형성하는 앱타머(aptamer)를 이용하여 유기 상온 인광 합성물을 제작하였다. 100 nM 농도의 뉴클레오린이 용액상에서 IPA-앱타머 어셈블리에 노출되었을 때 노출되기 전에 비해서 IPA의 인광 강도가 1.25배 증가하였다. 고체 IPA 앱타머 펠릿(pellet)은, 200nM 농도의 뉴클레오린 단백질이 IPA-앱타머 어셈블리에 노출되었을 때 평균 인광 수명이 798ms에서 923ms로 약 120 ms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인광체 IPA와 앱타머를 융합하여 용액 상태와 고체 상태 모두에서 RTP의 변화를 통해 단백질을 인식할 수 있음을 보였다. 더 나아가 우리는 초 단위의 상온 인광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해 세포 또는 조직에서 나오는 자가형광(autofluorescence)을 우회하여 높은 신호대잡음비 (signal to noise; S/N)를 가지는 이미지를 구현하였다.

목차

1. Introduction	1
1.1. Introduction 	1
1.2. Pure Organic Phosphorescent Material: IPA	2
1.3. DNA Aptamer & Nucleolin Protein	3
1.4. Autofluorescence	4
1.5. Objective	4

2. Experimental Section	6
2.1 Materials	6
2.2. Fabrication of Aptamer-IPA Hybrid Assembly	7
2.2.1. Formation of 3D G-quadruplex Aptamer Structure	·7
2.2.2. IPA-Aptamer Hybrid Assembly	9
2.3. Recognition of Proteins with IPA-Aptamer Hybrid Assembly 	11
2.4. Measurements	12
3. Results and Discussion 	    13
3.1. Analysis of IPA-Aptamer Hybrid Assembly	13
3.1.1. Morphological Analysis of IPA-Aptamer Microparticles 	13
3.1.2. Photoluminescence Analysis of IPA-Aptamer Microparticles 	16
3.1.3. X-ray Diffractometer Analysis of IPA Particles	18
3.2. Specific Recognition of Nucleolin Protein by IPA-Aptamer Particles 	20
3.2.1.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alysis of IPA-Aptamer Particles·	20
3.2.2. Phosphorescence Intensity Analysis of IPA-Aptamer with Proteins	22
3.3. Phosphorescence Lifetime Properties of IPA-Aptamer Pellets 	25
3.3.1. Electron Multiplying CCD Analysis of IPA-Aptamer Pellet 	25
3.3.2. Photoluminescence Lifetime Analysis of IPA-Aptamer Pellets 	28
3.4. Autofluorescence bypassing through IPA Powder 	30

4. Conclusions 	33
REFERENCES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