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9521 | |
005 | 20230519152841 | |
007 | ta | |
008 | 230518s2023 ulkad b 001c kor | |
020 | ▼a 9791169190831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6669463 | |
040 | ▼a 224010 ▼c 224010 ▼d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495.7071 ▼2 23 |
085 | ▼a 497.071 ▼2 DDCK | |
090 | ▼a 497.071 ▼b 2023z2 | |
245 | 0 0 | ▼a 한국어 평가론 / ▼d 강현화 [외]지음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23 | |
300 | ▼a 354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490 | 1 0 | ▼a 한국문화사 한국어교육학 시리즈 |
500 | ▼a 공저자: 홍혜란, 박지순, 박수연, 윤경원, 남신혜, 장채린 | |
504 | ▼a 참고문헌(p. 345-349)과 색인수록 | |
700 | 1 | ▼a 홍혜란, ▼e 저 |
700 | 1 | ▼a 박지순, ▼e 저 |
700 | 1 | ▼a 박수연, ▼e 저 |
700 | 1 | ▼a 윤경원, ▼e 저 |
700 | 1 | ▼a 남신혜, ▼g 南信惠, ▼d 1983-, ▼e 저 ▼0 AUTH(211009)150867 |
700 | 1 | ▼a 장채린, ▼e 저 |
830 | 0 | ▼a 한국문화사 한국어교육학 시리즈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71 2023z2 | 등록번호 11188053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11 |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평가는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면서 겪는 필연적인 일이다. 사람들은 끊임없이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기 위하여 또는 자격을 얻기 위하여 평가를 받아 왔다.운전면허 시험에서부터 교육을 위한 평가, 취업을 위한 평가들의 예처럼 사회생활에서 평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중요하다. 언어 평가 역시 기본적으로 사회적 제도와 필연적으로 연계되는 일이다. 언어 평가는 언어 능력의 어떤 수행 기준점에 준거하여 어떤 사람이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평가하는 일인데, 이러한 평가의 결과는 언어 능력과 연계된 특정한 사회적 역할의 진입 문턱이 된다.
머리말
한국어교육에서의 평가 영역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평가의 환류를 통한 교육과정의 완성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한국어 학습자가 증가하면서 한국 사회의 진입에 있어 중요한 문턱이 되는 도구적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평가가 주목받는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한국어 평가를 논의하려면, 필연적으로 의사소통 능력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측정해야 실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평가의 과정에서 관계자들은 어떤 태도와 윤리성을 가져야 하는지 등에 대한 많은 고민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깊은 성찰과 연구가 기반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한국어교육 연구에서 평가의 학술적 논의가 급증하고 있으며, 관련 단행본도 늘고 있다. 본서는 이렇듯 증가하는 한국어 평가론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평가의 주된 이론과 내용, 그리고 평가 과정의 실제 등을 다루고자 하였다.
전반부에서는 언어 평가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내용을 다루었다. 1장에서는 평가의 개념, 의사소통 능력과 평가의 관계, 언어 평가의 역사, 평가의 원리 등을 중심으로 평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해 나가기 위해 기본 전제가 되는 내용을 개관하였다. 2장에서는 언어 평가의 기능, 언어 평가의 관계자, 언어 평가의 요건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평가의 목적, 언어 교실에서의 역할, 평가 방식에 따른 평가의 종류 및 유형과 함께 전통적인 평가 방식에서 탈피한 대안적 평가에 대해서 다루었다. 4장에서는 영역별 평가에 대한 논의에 앞서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 기술별·수준별 평가 내용과 범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반부에서는 영역별 평가에 관한 이론과 평가의 실제에 대해서 다루었다. 5장과 6장, 7장, 8장에서는 각각 말하기 평가, 듣기 평가, 읽기 평가, 쓰기 평가의 목표와 구인, 평가의 방식과 문항 유형, 문항 개발의 실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9장과 10장, 11장은 각각 어휘 평가와 문법 평가, 문화 평가에 대한 논의로, 언어 평가에서 어휘와 문법, 문화의 지위, 언어 능력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평가의 내용과 실제적인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후반부는 평가 도구 개발과 시행, 국내외 평가 도구에 대해 다루었다. 12장에서는 평가 도구의 설계와 평가 도구 개발, 평가 시행으로 구분하여 평가 도구의 개발 절차와 방법, 각 단계별 고려 사항에 대해 살펴보았다. 13장에서는 공인 한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와 영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의 대표적인 숙달도 평가 도구를 소개하였다.
언어 평가의 방식은 고정적인 것이 아니며 다른 영역에 비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목표와 대상에 따라 평가의 내용과 방법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육의 목표와 밀접하게 연계된다. 분명한 것은 개인의 근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끊임없이 진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서는 평가에 관한 이론과 함께 교수 현장에서 활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실제 적용 방법과 예시들을 최대한 담아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서가 평가론을 처음 접하거나 평가의 내용 설계, 그리고 평가 과정의 실제를 알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작은 도움을 주기를 희망한다. 어려운 환경에서도 적극적으로 출판을 권유해 준 한국문화사에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23.3 저자(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강현화(지은이)
.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 전 한국문법교육학회장 . 세종학당 이사장 역임
남신혜(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박수연(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세종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박지순(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홍혜란(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BK21 Four 연구교수
윤경원(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세종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초빙교수
장채린(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명지대학교 글로벌한국어학과 교수

목차
1장 한국어 평가론 개관 1. 평가란 무엇인가 2. 의사소통 능력과 평가 3. 언어 평가의 역사 4. 평가의 원리 5. 평가의 평가 2장 언어 평가의 기능과 요건 1. 언어 평가의 기능 2. 언어 평가의 관계자 2.1 응시자 또는 학습자 2.2 평가자 또는 교사 2.3 교육 행정 담당자 2.4 교육과정 운영자 2.5 교육 관련 연구자 3. 언어 평가의 요건 3.1 타당도 3.2 신뢰도 3.3 실용도 3장 평가의 종류 및 유형 1. 목적에 따른 평가의 종류 1.1. 숙달도 평가 1.2. 성취도 평가 1.3. 선발 평가 1.4. 배치 평가 1.5. 적성 평가 2. 언어 교실에서의 역할에 따른 평가의 종류 2.1. 진단 평가 2.2. 형성 평가 2.3. 총괄 평가 3. 평가 방식에 따른 평가의 유형 3.1. 규준 지향 평가, 준거 지향 평가 3.2. 객관식 평가, 주관식 평가 3.3. 직접 평가, 간접 평가 3.4. 분리 평가, 통합 평가 3.5. 속도 평가, 능력 평가 3.6. 분석적 평가, 총체적 평가 4. 대안적 평가 4.1. 프로젝트 평가 4.2. 포트폴리오 평가 4장 평가의 내용 및 범주 1. 의사소통 능력 2. 기술별 평가 내용 2.1. 말하기 2.2. 듣기 2.3. 읽기 2.4. 쓰기 3. 수준별 평가 내용 5장 말하기 평가 1. 말하기 평가의 목표 2. 말하기 평가의 구인 3. 말하기 평가의 문항 유형 3.1. 말하기 평가의 방식 3.2. 말하기 평가의 유형 4. 말하기 평가 문항 개발과 채점 4.1. 말하기 평가 문항 개발 4.2. 말하기 채점 6장 듣기 평가 1. 듣기 평가의 목표 2. 듣기 평가의 구인 3. 듣기 평가의 문항 유형 3.1. 숙달도별 문항 유형 3.2. 응답 유형별 문항 유형 3.3. 평가 범주별 문항 유형 4. 듣기 평가 문항 개발 4,1. 듣기 평가의 담화 종류 4,2. 듣기 평가 문항 작성 시 유의사항 4.3. 듣기 평가 출제 7장 읽기 평가 1. 읽기 평가의 목표 2. 읽기 평가의 구인 3. 읽기 평가의 문항 유형 3.1. 숙달도별 문항 유형 3.2. 응답 형식별 문항 유형 3.3. 평가 범주별 문항 유형 4. 읽기 평가 문항 개발 4,1. 읽기 평가의 텍스트 종류 4,2. 읽기 평가 문항 작성 시 유의사항 4.3. 읽기 평가 출제 8장 쓰기 평가 1. 쓰기 평가의 목표 2. 쓰기 평가의 구인 3. 쓰기 평가의 방식과 문항 유형 3.1. 쓰기 평가의 방식 3.2. 쓰기 평가의 문항 유형 4. 쓰기 평가의 개발과 채점 4.1. 쓰기 평가 문항 개발 4.2. 쓰기 채점 9장 어휘 평가 1. 언어 평가에서 어휘의 위치 2. 어휘와 어휘 능력 3. 어휘 평가의 방법 3.1. 분리적 평가와 내포적 평가 3.2. 선택적 평가와 포괄적 평가 3.3. 맥락 독립적 평가와 맥락 의존적 평가 3.4. 어휘의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10장 문법 평가 1. 언어 평가에서 문법의 위치 2. 문법의 본질과 내용 3. 문법 분리 평가 3.1 숙달도 평가 3.2 성취도 평가 4. 문법 통합 평가 4.1 말하기 영역 4.2 쓰기 영역 4.3 듣기 영역 4.4 읽기 영역 11장 문화 평가 1. 언어 평가에서 문화의 위치 2. 문화와 문화 능력 2.1. 한국문화 평가에서 문화 2.2. 한국문화 평가에서 문화 능력 3. 분리 평가 4. 통합 평가 12장 평가 도구의 개발과 시행 1. 평가 도구 설계 1.1. 평가 목표 설정 1.2. 평가 체계 설계 1.3. 평가 세부계획서 작성 2. 평가 도구 개발 2.1. 문항 개발 2.2. 채점 기준 및 절차 개발 2.3. 결과 통보 형식 결정 3. 평가 시행 3.1. 시행 준비 3.2. 시행 3.3. 시행 후 13장 한국어 및 외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 1. 한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 1.1. 한국어능력시험 1.2.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 1.3. 세종한국어평가 2. 외국어 숙달도 평가 도구 2.1. 영어 2.2. 중국어 2.3. 일본어 2.4. 독일어 2.5. 프랑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