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9516 | |
005 | 20230519152505 | |
007 | ta | |
008 | 230518s2023 ulk b 001a kor | |
020 | ▼a 9788999728983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4 ▼2 23 |
085 | ▼a 616.8914 ▼2 DDCK | |
090 | ▼a 616.8914 ▼b 2023z3 | |
100 | 1 | ▼a Spinelli, Ernesto |
245 | 1 0 | ▼a 실존치료의 실제 / ▼d Ernesto Spinelli 저 ; ▼e 이상훈, ▼e 김예인, ▼e 신성만 공역 |
246 | 1 9 | ▼a Practising existential therapy : ▼b the relational world ▼g (2nd ed.)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23 | |
300 | ▼a 443 p. ; ▼c 24 cm | |
500 | ▼a 부록: 부부를 위한 실존치료, 실존집단치료, 시간제한 상황에서의 실존치료 외 | |
504 | ▼a 참고문헌(p. 417-433)과 색인수록 | |
650 | 0 | ▼a Existential psychotherapy |
700 | 1 | ▼a 이상훈, ▼e 역 |
700 | 1 | ▼a 김예인, ▼e 역 |
700 | 1 | ▼a 신성만, ▼g 申聖萬, ▼d 1972-, ▼e 역 ▼0 AUTH(211009)68681 |
900 | 1 0 | ▼a 스피넬리, 어네스토, ▼e 저 |
900 | 1 0 | ▼a Lee, Sanghoon, ▼e 역 |
900 | 1 0 | ▼a Kim, Yein, ▼e 역 |
900 | 1 0 | ▼a Shin, Sungman, ▼e 역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4 2023z3 | Accession No. 11188053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여타 다른 실존치료에 대한 책들이 세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실존치료의 갈래들을 각기 인물별로 혹은 특성별로 설명하고 그 실제를 소개한다거나 혹은 하나의 특정한 접근에 대해서 다루는 것과는 달리 다양한 형태의 실존치료를 실존치료라는 이름으로 묶을 수 있는 특성과 원리가 무엇인지를 탐구하고 정리하는 방식으로 실존치료를 설명하고 있다. 이는 확실히 실존치료라고 하는 치료 이론을 통합적으로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실존철학 혹은 실존치료의 용어가 다소 익숙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 접근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쓰였다.
이 책은 여타 다른 실존치료에 대한 책들이 세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실존치료의 갈래들을 각기 인물별로 혹은 특성별로 설명하고 그 실제를 소개한다거나 혹은 하나의 특정한 접근에 대해서 다루는 것과는 달리 다양한 형태의 실존치료를 실존치료라는 이름으로 묶을 수 있는 특성과 원리가 무엇인지를 탐구하고 정리하는 방식으로 실존치료를 설명하고 있다. 이는 확실히 실존치료라고 하는 치료 이론을 통합적으로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실존철학 혹은 실존치료의 용어가 다소 익숙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이 접근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쓰였다.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실존치료의 세 가지 핵심 특성을 설명하는 것을 시작으로 실존치료의 이론을 다루고 있고, 제2부에서는 3단계로 구성된 구조적 모형을 중심으로 실존치료의 실제를 다루고 있다. 각각의 주제에 따라서 이해를 돕기 위한 활동들도 함께 제시되어 있어 교육 및 임상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부록에서 특정 조건하에서 이루어지는 실존치료나 실존적 슈퍼비전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다루고 있어서 아마도 실존치료와 관련해서 독자들이 가지고 있는 의문을 해소하거나 또는 이를 위한 실마리를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Ernesto Spinelli(지은이)
심리학과 심리치료에 실존 분석을 접목한 현대의 주요 실존 분석 교육자이자 이론가로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으며, 최근에는 코칭 영역과 갈등 중재 영역에서도 명성을 얻고 있다. 그는 영국심리치료위원회(United Kingdom Council for Psychotherapy: UKCP)에 소속된 실존치료자이고, 영국심리학회(British Psychological S o c i e t y: B P S)와 영국심리치료상담협회(B r i t i s h A s s o c i a t i o n for Counselling Psychotherapy: BACP)의 회원이며, 공인된 경영 코칭과 코칭 슈퍼바이저이기도 하다. 1999년에는 Personal Chair as Professor of psychotherapy, counselling and counselling psychology를 수상하였으며, 2000년에는 BPS Division of Counselling Psychology Award for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the Advancement of the P r o f e s s i o n을 수상하였다. 그는 현재 전문가를 위한 세미나와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심리치료, 코칭, 슈퍼비전의 발전에 공헌하고 있는 기관인 ES Associates의 책임자로 있다.
신성만(옮긴이)
현재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학부 상담심리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고, 동 대학교 상담대학원장 및 생명윤리위원회 위원장이며, 한국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 한국중독심리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학위, 보스턴대학교에서 재활상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심리치료 전문가로 일했으며, 특히 하버드 의과대학 정신과 병원에서 교수요원으로 일했다. 실존치료, 동기와 정서, 중독상담, 정신재활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이상훈(옮긴이)
현재 강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에서 청소년의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문제 해소를 돕기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을 운영, 지도하고 있다. 한동대학교에서 중독 및 상담심리를 전공하였고, 동 대학교 상담센터에서 상담전문가로서의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헬스케어 기업에서 동기강화상담을 활용한 생활 습관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 기획 및 교육을 한 바 있다. 현상학적 실존치료에 관심을 갖고 이를 상담현장에 알리고 교육 및 적용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김예인(옮긴이)
현재 미시시피대학교 임상심리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며, 스테픈 슐렌버그(Stefan Schulenberg) 교수의 지도를 받고 있다. 한동대학교에서 상담심리학 및 영어 학사학위, 동 대학원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한동대학교 상담센터에서 전임연구원으로 일하며 심리치료사로서의 여정을 시작하였다. 삶의 의미, 실존치료, 로고테라피, 긍정심리 등의 영역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부 이론 제1장 실존치료의 세 가지 기본 원리 제2장 실존에 관한 문제와 주제 제3장 세계화와 세계관 제4장 치료에 대한 실존적 현상학의 비판 제5장 실존치료의 이해: 개관 제2부 실존치료의 실제: 구조적 모델 제6장 구조적 실존치료 모형의 적용: 개관 제7장 1단계: 치료 세계의 공동 창조 제8장 2단계: 치료 세계에 함께 거하기 제9장 3단계: 치료 세계 종결하기 맺음발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