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9507 | |
005 | 20230519151552 | |
007 | ta | |
008 | 230518s2023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46074385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6741278 | |
040 | ▼a 241050 ▼c 241050 ▼d 241050 ▼d 211009 | |
082 | 0 4 | ▼a 324.73 ▼2 23 |
085 | ▼a 324.73 ▼2 DDCK | |
090 | ▼a 324.73 ▼b 2023 | |
100 | 1 | ▼a 구교태, ▼g 具敎泰, ▼d 1968- ▼0 AUTH(211009)55668 |
245 | 1 0 | ▼a 미디어 정치학 = ▼x Media politics / ▼d 구교태 지음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 ▼b 한울엠플러스, ▼c 2023 | |
300 | ▼a 238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한울아카데미 ; ▼v 2438 |
504 | ▼a 참고문헌(p. 228-234)과 색인수록 | |
830 | 0 | ▼a 한울아카데미 ; ▼v 2438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73 2023 | 등록번호 1118805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디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 실전 영역을 다룬 개론서. 미디어를 통해 현상적으로 드러난 내용을 넘어 정치 전반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려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총체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이 책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되고 활용된 다양한 미디어 정치 분야를 다루고자 했다.
이 책은 미디어 매개 정치에 대한 이해를 넘어 정치 전문가를 위한 기초 자료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 정치 전문가 양성은 여론 조작과 같은 부정적 이미지와도 연결되지만, 이들의 전략을 간파하여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유권자 양성이라는 측면도 있다. 미디어 정치 관련 다양한 실천 영역에 대한 유권자들의 이해와 대처 능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미디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 실전 영역을 다룬 개론서
미디어를 통해 현상적으로 드러난 내용을 넘어 정치 전반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려면 다양한 분야에 대한 총체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이 책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되고 활용된 다양한 미디어 정치 분야를 다루고자 했다. 언론 보도, 방송토론, 정치광고, 인터넷 캠페인 등이 대표적이다. 이 주제들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미디어 자료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미디어 매개 정치에 대한 이해를 넘어 정치 전문가를 위한 기초 자료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 정치 전문가 양성은 여론 조작과 같은 부정적 이미지와도 연결되지만, 이들의 전략을 간파하여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유권자 양성이라는 측면도 있다. 미디어 정치 관련 다양한 실천 영역에 대한 유권자들의 이해와 대처 능력에 도움이 될 것이다.
정치제도와 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디어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다양한 정치 실전 영역을 다루었다. 특히, 설득 차원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정치 활동을 언론, PR, 과학적 마케팅 관점에서 설명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구교태(지은이)
계명대학교와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아칸소주립대학교와 오클라호마대학교에서 저널리즘 석사와 커뮤니케이션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계명대학교 언론영상학과 교수로서 커뮤니케이션 이론, 미디어 정치, 미디어 글쓰기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널리즘과 정치 커뮤니케이션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최근에는 방송심의와 언론윤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연구 논문들은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및 국내 언론 관련 저널을 통해 발표되었고, 저술로는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글쓰기』 등이 있다.

목차
서문 제1장 정치와 민주주의 제1절╷정치와 여론 제2절╷민주주의 이념과 원칙 제3절╷선거와 투표 제2장 정치 커뮤니케이션 제1절╷정치와 미디어 제2절╷정치 정보와 미디어 효과 제3절╷정치 메시지와 설득 제3장 과학적 정치 커뮤니케이션 제1절╷정치 마케팅 절차와 방법 제2절╷선거와 이미지 제4장 미디어 정치 영역 제1절╷선거와 유권자 조사 제2절╷선거와 언론 보도 제3절╷선거방송토론 제4절╷정치광고 제5절╷온라인 캠페인 제6절╷기타 캠페인 활동 제5장 선거 후 정치 제1절╷선거 후 정치 제2절╷정치 참여와 위기관리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