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9314 | |
005 | 20230901170922 | |
007 | ta | |
008 | 230517s2022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57116616 ▼g 93070 | |
035 | ▼a (KERIS)BIB000016702815 | |
040 | ▼a 225009 ▼c 225009 ▼d 211009 | |
082 | 0 4 | ▼a 659.132 ▼2 23 |
085 | ▼a 659.132 ▼2 DDCK | |
090 | ▼a 659.132 ▼b 2022 | |
100 | 1 | ▼a 최진호, ▼g 崔鎭浩, ▼d 1984- ▼0 AUTH(211009)150752 |
245 | 1 0 | ▼a 기사형 광고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d 최진호, ▼e 이형민, ▼e 이정기 |
260 | ▼a 서울 : ▼b 한국언론진흥재단, ▼c 2022 | |
300 | ▼a 165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연구서 ; ▼v 2022-08 |
504 | ▼a 참고문헌: p.159-165 | |
536 | ▼a 이 보고서는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음 | |
700 | 1 | ▼a 이형민, ▼g 李炯敏, ▼d 1978-, ▼e 저 ▼0 AUTH(211009)155544 |
700 | 1 | ▼a 이정기, ▼g 李灯奇, ▼d 1981-, ▼e 저 ▼0 AUTH(211009)135130 |
830 | 0 | ▼a 연구서(한국언론진흥재단) ; ▼v 2022-08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32 2022 | 등록번호 5110577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연구는 기사형 광고에 대한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다. 국내 기사형 광고 규제현황과 심의기준에 대해 논의하고, 해외의 규제체계 및 언론의 자정노력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기사형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경험과 인식을 조사한 내용과 기사형 광고에 대한 문제 진단과 해법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담았다.
기사형 광고는 광고를 목적으로 하지만 기사 형식을 빌린다는 점에서 기만적 영업행위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기사형 광고는 잠재적 소비자인 독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론사에 대한 신뢰나 공신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는 기사형 광고에 대한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다. 국내 기사형 광고 규제현황과 심의기준에 대해 논의하고, 해외의 규제체계 및 언론의 자정노력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기사형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경험과 인식을 조사한 내용과 기사형 광고에 대한 문제 진단과 해법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담았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정기(지은이)
동명대학교 미디어대학 광고홍보학과 조교수다. 동명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학사 학위, 경희사이버대학교에서 정치사회학사와 사회복지학사 학위를 취득했고,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강의교수,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교수학습지원센터 책임연구원(연구교수)으로 일했고,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 자문위원, 부산민주언론시민연합 정책위원, 부울경언론학회 총무이사 및 연구이사, 한국언론법학회 기획이사, 한국PR학회 기획이사, <한국방송학보>, <방송통신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편집위원으로 봉사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표현의 자유와 인권, 미디어 수용자, 교육 커뮤니케이션이다. 『표현, 언론 그리고 집회결사의 자유』(2011), 『대한민국 표현 자유의 현실』(2016), 『대한민국 표현 자유의 현실 2』(2020), 『위축효과』(2021), 『표현의 자유 확장을 위한 논리』(2022)와 같은 언론법, 표현의 자유 분야 저서를 포함한 25권의 책을 집필했고, 128편의 논문을 KCI, SCI, SSCI, SCOPUS 등의 전문 학술지에 게재했다.
최진호(지은이)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이며, 한국방송학회 미디어교육 특별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학사, 한양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과정을 마쳤다. 한양대학교 컴퓨테이셔널 사회과학연구센터(C2S2)에서 박사후연구원(Post-Doc.)을 지냈고,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를 역임했다.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의 뉴스 및 정보 생산, 유통, 소비 과정의 변화, 여론 형성 과정의 역동성과 정치 참여, 미디어 교육 등에 관심을 두고 있다. 「소셜미디어와 뉴스 인식」(2017), 「우리가 침묵하는 이유: 소셜미디어 여론에서 나타나는 침묵의 종류와 사회심리적 영향요인 연구」(2021), 「디지털 시민성 역량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2020),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인식의 전문가 집단 간 동질성과 차별성」(2019), 「AI 미디어와 의인화」(2020) 등 26편의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했다. 저서로 『청소년을 위한 매체 이야기』(2020)가 있다.
이형민(지은이)
ㆍ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국제대외협력처장) ㆍ게임문화포럼 위원(역) ㆍ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문화융합연구 책임연구원(역)

목차
0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 02. 기사형 광고의 개념, 효과, 문제점 1. 기사형 광고의 개념 및 유형 2. 기사형 광고의 효과 및 문제점 03. 기사형 광고 규제 현황과 경과 논의 1. 기사형 광고 관련 규제 현황 및 경과 2. 기사형 광고 규제 관련 입법 논의 3. 기사형 광고 관련 심의체계 04. 해외 주요국의 기사형 광고 규제 현황 1. 해외 주요국 기사형 광고 규제 2. 해외 언론사들의 자율적 노력 3. 소결 05. 기사형 광고에 대한 수용자 인식 1. 조사개요 2. 기사형 광고 노출 및 이용 경험 3. 기사형 광고에 대한 혼동성 경험 및 판단 4. 기사형 광고에 대한 평가 및 태도 5. 기사형 광고에 대한 개선방안 인식 6. 소결 06. 기사형 광고에 대한 전문가 인식 1. 조사개요 2. 기사형 광고의 원인과 문제점 3. 기사형 광고 용어의 적절성 4. 기사형 광고에 대한 ‘광고’ 표기 방식 5. 기사형 광고 문제 해결을 위한 개선방안 6. 소결 07. 결론: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