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9042 | |
005 | 20230525104353 | |
007 | ta | |
008 | 230515s2022 ggka b 001c kor | |
020 | ▼a 9791188466207 (v.1) ▼g 93180 | |
020 | ▼a 9791188466214 (v.2)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6223189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6.85/81 ▼2 23 |
085 | ▼a 616.8581 ▼2 DDCK | |
090 | ▼a 616.8581 ▼b 2022 | |
100 | 1 | ▼a Bateman, Anthony W., ▼d 1952- ▼0 AUTH(211009)114620 |
245 | 2 0 | ▼a (인격장애 환자를 위한) 마음헤아리기 치료 : ▼b 임상가 실무 가이드 / ▼d 앤서니 베이트먼, ▼e 피터 포나기 지음 ; ▼e 석정호 옮김 |
246 | 1 9 | ▼a Mentalization based treatment for personality disorders : ▼b a practical guide |
260 | ▼a 남양주 : ▼b 눈출판그룹, ▼c 2022 | |
300 | ▼a 2책(768 p.) : ▼b 삽화 ; ▼c 22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의 번역 작업은 보건복지부의 재원으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g (HC20C0140) | |
650 | 0 | ▼a Personality disorders ▼x Treatment |
650 | 0 | ▼a Psychodynamic psychotherapy |
700 | 1 | ▼a Fonagy, Peter, ▼d 1952-, ▼e 저 ▼0 AUTH(211009)32877 |
700 | 1 | ▼a 석정호, ▼d 1970-, ▼e 역 |
900 | 1 0 | ▼a 베이트먼, 앤서니, ▼e 저 |
900 | 1 0 | ▼a 포나기, 피터, ▼e 저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581 2022 1 | 등록번호 11188055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04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6.8581 2022 2 | 등록번호 11188046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해하기 쉽고 임상에 효과적인 마음헤아리기 치료. 마음헤아리기 치료는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를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지금은 더 다양한 영역의 정신질환으로 힘들어 하는 환자들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치료자라면 누구나 이 치료의 토대가 되는 이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해하기 쉽고 임상에 효과적인 마음헤아리기 치료
마음헤아리기 치료는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를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지금은 더 다양한 영역의 정신질환으로 힘들어 하는 환자들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 치료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마음헤아리기 치료는 임상적 개입에 대한 명확한 개념의 틀을 제공한다. 치료자라면 누구나 이 치료의 토대가 되는 이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마음헤아리기 치료는 숙련된 일반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적용할 수 있는 심리치료다. 전문적인 치료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다.
마음헤아리기 치료는 발달심리학과 사회인지학에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엄마와 아이의 관계에서부터 청소년, 성인, 노년기까지 인생의 모든 주기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피터 포나기(지은이)
심리학 박사이자 정신분석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현대 정신분석과 발달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심리언어학 분과장이다. 런던 ‘안나 프로이트 센터’의 총책임자이며, 영국정신분석학회에서 아동 및 성인 정신분석 분야의 훈련/감독 분석가이다. 주된 관심 분야는 경계성 인격장애, 초기 애착관계, 폭력성 등이다. 그의 주된 업적은 정신분석 이론에 자신의 경험적 연구들을 통합하는 것이다. 500편 이상의 논문과 270챕터를 출판했고, 19권의 책을 저술했고, 17권의 편저자이다. 평생의 업적으로 대영제국훈장을 수여받았고, ‘영국 한림원’으로부터 최고의 심리학자에게 주는 ‘윌리(Wiley) 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정서조절, 정신화, 그리고 자기의 발달』, 『정신화 중심의 경계성 인격장애의 치료』, 『정신건강 임상영역에서 마음헤아리기의 적용에 대한 핸드북』 등이 있다.
앤서니 베이트먼(지은이)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자 정신분석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방문교수, 코펜하겐 대학의 정신치료 명예교수이다. ‘안나 프로이트 센터’의 마음헤아리기 치료 책임자인 그는 피터 포나기와 함께 마음헤아리기 치료법을 개발하여 경계성 인격장애와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치료에 적용하고 있다.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를 위한 마음헤아리기 치료의 효과를 미국정신의학회지에 발표하여 많은 정신건강 전문가들의 관심을 모았다. 경계성 인격장애에 관한 책을 14권 출간했고, 120편이 넘는 논문과 저술을 남기고 있다. 식이장애, 약물중독 등 다른 분야에도 마음헤아리기 치료기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정신건강임상영역에서 마음헤아리기의 적용에 대한 핸드북』을 피터 포나기와 함께 저술했다. ‘유럽 인격장애 연구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
석정호(옮긴이)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세브란스 정신건강병원에서 전공의 수련과 연구강사를 마쳤다.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교수로 재직하면서 ‘난치성 우울증 클리닉’을 열고 치료가 어려운 중증 우울증 환자를 위한 연구와 치료에 매진해왔다. 2007년부터 우울증 환자 중 생애초기 스트레스 경험이 있는 세부 환자군에 대한 뇌영상 연구와 임상 연구에 집중하면서, 복합외상을 동반한 우울증 환자 중 경계성 인격장애를 동반한 환자가 많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경계성 인격장애의 치료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2010년 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로 이직하여 생애초기 스트레스를 동반한 우울증과 경계성 인격장애에 대한 연구와 진료를 지속했다. 런던 ‘안나 프로이트 센터’의 마음헤아리기 치료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의 워크샵을 이수하고,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마음헤아리기 치료를 시험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예비연구결과를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한글논문집인 『신경정신의학』에 발표했다. 2020년부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기술개발사업단의 ‘환자 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에 ‘경계성 인격장애를 위한 한국형 근거기반 치료기술개발’ 과제가 선정되어 총괄연구책임자로서 경계성 인격장애 임상 코호트 구축 및 근거생성 임상연구를 수행 중이다.

목차
[v.1] 서문 역자 서문 1부 마음헤아리기의 개념 1장 마음헤아리기란 무엇인가? 2장 마음헤아리기 모델을 통한 인격장애의 이해 3장 공존 질환 4장 마음헤아리기 평가 2부 마음헤아리기의 실제 5장 마음헤아리기 치료의 구조 6장 치료자의 입장 7장 마음헤아리기 치료자를 위한 원칙들 8장 마음헤아리기의 초점 : 지지, 공감, 타당화 9장 마음헤아리기의 초점 : 명료화, 정서를 상세히 말해보기, 정서에 초점 맞추기, 도전 10장 마음헤아리기의 관계적 초점 : 전이 단서와 관계에 대한 마음헤아리기 [v.2] 3부 마음헤아리기 집단치료 11장 마음헤아리기 입문 집단치료 12장 마음헤아리기 집단치료 13장 반사회성 인격장애 : 마음헤아리기, MBT-G, 흔한 임상적 문제들 4부 마음헤아리기 체계 14장 마음헤아리기와 가족 : 가족 및 보호자 훈련/지지 프로그램(FACTS) 15장 마음헤아리기 시스템 추천 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