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8935 | |
005 | 20230525100947 | |
007 | ta | |
008 | 230515s2022 ggk b 000c kor | |
020 | ▼a 9791168101166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6598683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495.709 ▼2 23 |
085 | ▼a 497.09 ▼2 DDCK | |
090 | ▼a 497.09 ▼b 2019 ▼c 4.2 | |
100 | 1 | ▼a 이문규, ▼g 李文圭, ▼d 1964- ▼0 AUTH(211009)43748 |
245 | 1 0 | ▼a 국어 운소의 역사 : ▼b 음운사 / ▼d 이문규 지음 |
260 | ▼a 파주 : ▼b 태학사, ▼c 2022 | |
300 | ▼a 141 p. ; ▼c 23 cm | |
490 | 1 0 | ▼a 국어사대계 ; ▼v 4-2 |
504 | ▼a 참고문헌: p. 126-139 | |
830 | 0 | ▼a 국어사대계 ; ▼v 4-2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09 2019 4.2 | 등록번호 1118803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어 운소의 역사를 다루는 책이다. 중세국어 및 동남, 동북, 강원 영동방언의 성조체계, 중부방언의 음장체계와 비변별적 음고형 체계, 서남방언의 전이 체계 등의 공시적인 모습과 그 변화 양상을 검토하고, 이들 사이의 대응 관계를 분석하여 고대국어의 운소체계를 재구한 다음, 다시 이 체계로부터 시작하는 체계 변화의 흐름을 추론하는 방식으로 기술하였다.
저자는 국어 운소의 역사를 그 체계 및 변화 과정을 기술할 수 있는 시대와 그렇지 못한 시대로 나누어 접근하되, 후자는 전자의 자료나 현상, 체계 간 대응 관계, 그 밖의 문헌 기록 등으로부터 추출되는 단서를 근거로 하는 추론적 논의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고대국어의 단일 성조체계 및 이후의 변화 과정에 관한 논의를 보완하고 여기에 현대국어가 겪고 있는 운율 차원의 변화 양상을 하나의 흐름으로 엮었다.
고대국어 시기의 단일 운율 체계와 이후의 변화 과정,
현대국어가 겪고 있는 운율 차원의 변화 양상을
하나의 흐름으로 엮은 국어 운소사(韻素史)
중세국어 및 동남, 동북, 강원 영동방언의 성조체계, 중부방언의 음장체계와 비변별적 음고형 체계, 서남방언의 전이 체계 등의 공시적인 모습과 그 변화 양상을 검토하고, 이들 사이의 대응 관계를 분석하여 고대국어의 운소체계를 재구한 다음, 다시 이 체계로부터 시작하는 체계 변화의 흐름을 추론하는 방식으로 기술한 국어 운소의 역사.
저자는 국어 운소의 역사를 분절음의 역사에 버금갈 정도로 기술하기는 어렵다고 전제한다. “15~16세기 국어의 성조 체계를 방점 자료를 통해 확인하고 현대 방언의 운율체계와 비교할 수 있는 것만 해도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두 시기 사이의 변화 과정이나 14세기 이전까지의 모습을 밝힐 직접적인 자료가 없다는 점에서, 운소사를 시대별로 균형 있게 기술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자는 국어 운소의 역사를, “그 체계 및 변화 과정을 기술할 수 있는 시대와 그렇지 못한 시대로 나누어 접근하되, 후자는 전자의 자료나 현상, 체계 간 대응 관계, 그 밖의 문헌 기록 등으로부터 추출되는 단서를 근거로 하는 추론적 논의”로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국어 운소사의 큰 흐름은 “고대국어 시기 단일 성조체계의 존재, 후기 중세국어 이전 어느 시기에 일어난 성조체계의 남북 분화, 중세국어 시기에 시작되어 근대국어 시기에 완료된 중‧서부방언 성조체계의 음장체계로의 전환, 그리고 현대국어에 와서 일어난 음장의 비음운화와 비변별적 음고형 체계의 형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그리하여 저자는 고대국어의 단일 성조체계 및 이후의 변화 과정에 관한 논의를 보완하고 여기에 현대국어가 겪고 있는 운율 차원의 변화 양상을 하나의 흐름으로 엮은 점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국어사대계’ 시리즈 소개
100년이 넘는 국어사 연구의 방대한 성과를 집대성하여 새로이 선보이는 ‘국어사대계’ 시리즈는 크게 세 분야로 이루어진다. 20년 전 40~50대가 주축이 되어 집필했던 것을 수정 보완하여 새로이 선보이는 『국어사 연구 1‧2』, 원로들의 특출한 논문을 엄선하여 간행하는 『국어사 논문 걸작선』, 그리고 오늘날의 40~60대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어 새로이 집필하는 ‘개별 국어사 주제 연구’가 그것이다. 개별 국어사 주제는 ‘국어사 연구 방법과 자료’, ‘문자사’, ‘음운사’, ‘문법사’, ‘어휘사’ 등을 아우를 예정이다. 이렇듯 국어사학계의 모든 성과와 노력을 아울러 간행하는 ‘국어사대계’는 국어사 연구에 큰 획을 긋는 작업이 될 것이다.
1. 국어사 연구 1 ― 계통‧문자체계‧시대구분‧음운
국어사대계간행위원회 엮음 | 양장 | 560쪽 | 30,000원 | 2020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작
2. 국어사 연구 2 ― 문법‧어휘
국어사대계간행위원회 엮음 | 양장 | 520쪽 | 30,000원 | 2020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작
3. 국어사 논문 걸작선
국어사대계간행위원회 엮음 | 양장 | 880쪽 | 50,000원
4-1. 국어 한자음의 역사
김무림 지음 | 296쪽 | 22,000원
4-2. 국어 운소의 역사
이문규 지음 | 144쪽 | 18,000원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문규(지은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음운론을 전공하여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를 거쳐 지금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음운교육론, 국어사, 국어문법교육론 등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2018), 『문법교육론』(공저, 2010), 『(개정판) 국어교육을 위한 현대국어 음운론』(2015), 『형태소 성조형 중심의 국어 성조론』(2017/2018)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국어교육의 이념과 어휘 교육의 방향』 (2003), 『음운규칙의 공시성과 통시성』(2009), 『국어 방언 성조의 성격과 성조 체계 기술의 기본 단위』(2011), 『국어 성조론의 성과와 전망』(2021), 『중세 문헌어 성조의 방언 운율사적 정체성』(2022)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국어 운소사 기술의 대상과 범위 1.1. 운소사 기술 대상으로서의 운율체계들 1.2. 한글 창제 이전의 운소체계와 자료 1.3. 운소사 기술의 범위와 내용 제2장 중세국어와 현대 방언의 운소체계와 변화 양상 2.1. 중세국어의 성조체계 2.2. 동북방언의 성조체계 2.3. 동남방언의 성조체계 2.4. 강원 영동방언의 성조체계 2.5. 중ㆍ서부 방언의 음장체계 2.6. 중ㆍ서부 방언의 비변별적 음고형 체계 제3장 대응 관계를 바탕으로 본 운소체계의 변천 과정 3.1. 대응 관계의 내용과 운소사적 의미 3.2. 고대국어 시기의 단일 성조체계 3.3. 운소 변천의 주요 내용 제4장 요약과 과제 참고문헌 《국어사대계》 발간의 말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