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8913 | |
005 | 20230831125725 | |
007 | ta | |
008 | 230515s2023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46074392 ▼g 93330 | |
035 | ▼a (KERIS)BIB000016692582 | |
040 | ▼a 244008 ▼c 244008 ▼d 211009 | |
082 | 0 4 | ▼a 302.23 ▼2 23 |
085 | ▼a 302.23 ▼2 DDCK | |
090 | ▼a 302.23 ▼b 2023z3 | |
245 | 0 0 | ▼a 현대사회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 ▼d 강신규 [외]지음 ; ▼e 한국언론정보학회 엮음 |
246 | 1 1 | ▼a Critical approaches to media & communication |
246 | 3 1 | ▼a Critical approaches to media and communication |
250 | ▼a 전면 3개정판 | |
260 |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 ▼b 한울엠플러스, ▼c 2023 | |
300 | ▼a 579 p. : ▼b 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한울아카데미 ; ▼v 2439 |
500 | ▼a 공저자: 김수정, 김예란, 박영흠, 윤상길, 이상규, 이상기, 이성민, 이소은, 이승선, 장민지, 정사강, 정준희, 조항제, 주재원 | |
500 | ▼a 이전판의 표제는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임 | |
504 | ▼a 참고문헌(p. 551-572)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신규, ▼g 姜信奎, ▼d 1977-, ▼e 저 ▼0 AUTH(211009)44561 |
700 | 1 | ▼a 김수정, ▼e 저 |
700 | 1 | ▼a 김예란, ▼d 1971-, ▼e 저 ▼0 AUTH(211009)56678 |
700 | 1 | ▼a 박영흠, ▼d 1979-, ▼e 저 ▼0 AUTH(211009)24583 |
700 | 1 | ▼a 윤상길, ▼g 尹相吉, ▼d 1972-, ▼e 저 ▼0 AUTH(211009)141460 |
700 | 1 | ▼a 이상규, ▼e 저 |
700 | 1 | ▼a 이상기, ▼e 저 |
700 | 1 | ▼a 이성민, ▼e 저 |
700 | 1 | ▼a 이소은, ▼e 저 |
700 | 1 | ▼a 이승선, ▼g 李承宣, ▼d 1964-, ▼e 저 ▼0 AUTH(211009)30523 |
700 | 1 | ▼a 장민지, ▼d 1984-, ▼e 저 ▼0 AUTH(211009)40921 |
700 | 1 | ▼a 정사강, ▼d 1981-, ▼e 저 ▼0 AUTH(211009)152259 |
700 | 1 | ▼a 정준희, ▼d 1971-, ▼e 저 ▼0 AUTH(211009)53533 |
700 | 1 | ▼a 조항제, ▼g 趙杭濟, ▼d 1961-, ▼e 저 ▼0 AUTH(211009)45845 |
700 | 1 | ▼a 주재원, ▼g 周在元, ▼d 1978-, ▼e 저 ▼0 AUTH(211009)131853 |
710 | ▼a 한국언론정보학회, ▼e 편 ▼0 AUTH(211009)16963 | |
740 | 0 | ▼a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
830 | 0 | ▼a 한울아카데미 ; ▼v 243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3 2023z3 | Accession No. 1118803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1990년 초판이 발행된 이후 커뮤니케이션학의 대표 교양입문서로 많은 이들로부터 성원을 받아온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이 전면 3개정판에 이르러 <현대사회와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이라는 새 이름으로 독자를 맞는다.
신문기사를 인터넷 포털이나 유튜브 영상으로 접하고 방송뉴스도 SNS에서 문자로 읽을 수 있다. 이제는 콘텐츠의 이렇게 새로운 활용방식에 비판적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다. 10년 전과는 전혀 다른 미디어 환경이기 때문이다. 포털, SNS, 숏폼 동영상, OTT 따위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지침서가 필요하다.
디지털 대전환으로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펼쳐졌다. 일부에게는 이미 생활이지만 다른 일부에게는 아직 낯선 여러 미디어들을 분석했다. 각 장마다 ‘더 읽어볼 책’들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배경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또 ‘연구문제’를 풀어보면서 독자 나름의 통찰력으로 미디어와 사회현상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매스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으로
디지털 대전환이 가져온 미디어 환경 변화
1990년 초판이 발행된 이후 커뮤니케이션학의 대표 교양입문서로 많은 이들로부터 성원을 받아온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이 전면 3개정판에 이르러 『현대사회와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이라는 새 이름으로 독자를 맞는다.
신문기사를 인터넷 포털이나 유튜브 영상으로 접하고 방송뉴스도 SNS에서 문자로 읽을 수 있다. 이제는 콘텐츠의 이렇게 새로운 활용방식에 비판적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다. 10년 전과는 전혀 다른 미디어 환경이기 때문이다. 포털, SNS, 숏폼 동영상, OTT 따위에서 길을 잃지 않으려면 미디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지침서가 필요하다.
디지털 대전환으로 새로운 미디어 환경이 펼쳐졌다. 일부에게는 이미 생활이지만 다른 일부에게는 아직 낯선 여러 미디어들을 분석했다.
각 장마다 ‘더 읽어볼 책’들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배경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또 ‘연구문제’를 풀어보면서 독자 나름의 통찰력으로 미디어와 사회현상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신문과 방송의 지배력이 사라지고 있다.
콘텐츠의 생산, 유통, 소비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대형 일간지와 공중파 방송의 영향력이 날로 축소되고 발행부수와 시청률은 곤두박질치고 있다. 그 자리를 SNS와 인터넷포털, OTT 서비스가 차지하고 있다. 새로운 미디어들은 콘텐츠 창작부터 소비까지 여러 과정에 이용자의 자발적 적극적 참여를 요구한다. 개인 미디어와 다양한 플랫폼이 새로 등장했고 기존 미디어의 지분을 빼앗고 있다. 기존 미디어는 자기만의 채널이 아니라 다양한 유통 방식을 활용해 콘텐츠를 유통시키며 적응하고 있다. 이런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전국의 ‘신문방송학과’들이 거의 대부분 ‘미디어학과 또는 커뮤니케이션학과’ 등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번 전면 3개정판에서도 ‘매스미디어’는 ‘미디어’로 ‘매스커뮤니케이션’은 ‘커뮤니케이션’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매스mass라는 접두어가 사라진 만큼 이 책이 다루어야 할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현상은 더욱 광범위해졌다. 기존 매스미디어는 물론이고 뉴미디어들의 특성과 콘텐츠 생산 유통의 변화와 적응을 살피고 한국 사회와 미디어 환경이 서로 주고받는 영향을 비평적으로 분석했다.
1부는 미디어란 무엇인가에서 시작해서 미디어와 인간의 상호작용과 관계성을 살펴보고 한국 근현대사를 시대마다 변화하는 미디어정경으로 짚어보았다.
2부에서는 정치, 경제, 법, 노동의 측면에서 미디어어가 풀어가야 할 문제들을 짚어보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새로 등장한 미디어와 관련된 다종다양한 현상을 설명했다.
3부는 비평적 시각에서 대중문화와 소수자 묘사,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로서의 대중매체, 자발적 적극적 이용자라는 측면과 팬덤을 고찰하고 빠르게 성장하지만 어떤 미래를 가져올지 알 수 없는 AI를 기술적 사회적으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콘텐츠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뉴스와 광고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예측했으며 영상미디어 콘텐츠의 생태계 변화와 이를 둘러싼 쟁점을 논의했다. 미디어로서의 게임 능동적 이용자 측면에서 분석했다.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판적 접근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으로 미디어 관련 국내외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실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우리 사회의 미디어 환경을 민주적·참여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의 비판적 분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국 문화와 콘텐츠와 미디어는 점점 세계 중심부로 나아가고 있다. K가 붙은 여러 가지가 세계 곳곳에서 환영 받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 태어나 자라 우리나라가 유럽이나 미국 일본에 못 미친다는 자격지심을 가진 기성세대와 달리 젊은 세대는 날 때부터 선진국이며 문화 강국인 대한민국에서 자랐다. 그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세계를 선도할 할 때 이 책이 핸드북이 되기를 바란다.
지은이(가나다순)
강신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미디어광고연구소 연구위원
김수정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김예란 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박영흠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윤상길 신한대학교 미디어언론학과 부교수
이상규 강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이상기 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조교수
이소은 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이승선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장민지 경남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정사강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연구위원
정준희 한양대학교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겸임교수
조항제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주재원 한동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제1부 미디어의 이해 1 배경으로서의 미디어, 전경으로서의 미디어 _정준희 2 미디어와 인간 _김예란 3 근현대 한국사회의 미디어정경 _윤상길 제2부 미디어와 사회 4 민주주의와 미디어 _조항제 5 미디어와 플랫폼 산업의 이해 _이상기 6 미디어와 법 _이승선 7 미디어 생산자와 노동 _이상규 제3부 미디어와 문화 8 미디어와 대중문화, 소수자, 젠더 _정사강 9 미디어와 이데올로기 _주재원 10 미디어 이용자와 팬덤 연구 _김수정 11 빅데이터와 알고리즘 _이소은 제4부 미디어의 변동 12 디지털 저널리즘의 진단과 전망 _박영흠 13 지금의 미디어 광고, 앞으로의 미디어 광고 _강신규 14 영상미디어 콘텐츠 _이성민 15 게임의 능동적 이용자성과 게임문화의 형성 _장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