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8871 | |
005 | 20230814145758 | |
007 | ta | |
008 | 230515s2022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61930558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6362962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20.9519 ▼2 23 |
085 | ▼a 320.953 ▼2 DDCK | |
090 | ▼a 320.953 ▼b 2022z49 | |
245 | 0 0 | ▼a 대변동의 미국정치, 한국정치 : ▼b 비유와 투영 / ▼d 정진민 [외]편 |
260 | ▼a 서울 : ▼b 명인문화사, ▼c 2022 | |
300 | ▼a ix, 375 p. ; ▼c 23 cm | |
500 | ▼a 공편자: 임성호, 이현우, 서정건 | |
500 | ▼a 집필진: 가상준, 강우창, 강주현, 권보람, 김성연, 마상윤, 박인휘, 서정건, 손병권, 안병진, 유성진, 윤광일, 이병재, 이소영, 이수훈, 이재묵, 이종곤, 이현우, 임성호, 정영우, 정진민, 조기숙, 조성대, 지병근, 차태서, 채진원, 최준영, 하상응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650 | 0 | ▼a Political parties ▼z Korea (South) |
650 | 0 | ▼a Comparative government |
651 | 0 | ▼a Korea (South) ▼x Politics and government ▼y 2002- |
651 | 0 | ▼a United States ▼x Politics and government ▼y 21st century |
651 | 0 | ▼a United States ▼x Foreign relations ▼y 21st century |
700 | 1 | ▼a 가상준, ▼g 賈尙埈, ▼d 1969-, ▼e 저 ▼0 AUTH(211009)10055 |
700 | 1 | ▼a 강우창, ▼d 1977-, ▼e 저 ▼0 AUTH(211009)113195 |
700 | 1 | ▼a 강주현, ▼g 姜周賢, ▼d 1973-, ▼e 저 |
700 | 1 | ▼a 권보람, ▼g 權보람, ▼d 1982-, ▼e 저 ▼0 AUTH(211009)56411 |
700 | 1 | ▼a 김성연, ▼g 金成淵, ▼d 1967-, ▼e 저 |
700 | 1 | ▼a 마상윤, ▼g 馬相潤, ▼d 1967-, ▼e 저 ▼0 AUTH(211009)133272 |
700 | 1 | ▼a 박인휘, ▼g 朴仁煇, ▼d 1967-, ▼e 저 ▼0 AUTH(211009)106498 |
700 | 1 | ▼a 서정건, ▼g 徐正健, ▼d 1970-, ▼e 편저 ▼0 AUTH(211009)27663 |
700 | 1 | ▼a 손병권, ▼g 孫秉權, ▼d 1963-, ▼e 저 ▼0 AUTH(211009)62453 |
700 | 1 | ▼a 안병진, ▼g 安秉鎭, ▼d 1967-, ▼e 저 ▼0 AUTH(211009)100859 |
700 | 1 | ▼a 유성진, ▼g 兪成振, ▼d 1973-, ▼e 저 ▼0 AUTH(211009)14538 |
700 | 1 | ▼a 윤광일, ▼g 尹光一, ▼d 1969-, ▼e 저 ▼0 AUTH(211009)8891 |
700 | 1 | ▼a 이병재, ▼g 李秉宰, ▼d 1968-, ▼e 저 ▼0 AUTH(211009)96423 |
700 | 1 | ▼a 이소영, ▼d 1967-, ▼e 저 ▼0 AUTH(211009)29174 |
700 | 1 | ▼a 이수훈, ▼g 李秀勳, ▼d 1982-, ▼e 저 ▼0 AUTH(211009)145147 |
700 | 1 | ▼a 이재묵, ▼d 1978-, ▼e 저 ▼0 AUTH(211009)103381 |
700 | 1 | ▼a 이종곤, ▼g 李鍾坤, ▼d 1978-, ▼e 저 ▼0 AUTH(211009)145146 |
700 | 1 | ▼a 이현우, ▼g 李賢雨, ▼d 1961-, ▼e 편·저 ▼0 AUTH(211009)107129 |
700 | 1 | ▼a 임성호, ▼g 林成浩, ▼d 1959-, ▼e 편·저 ▼0 AUTH(211009)70121 |
700 | 1 | ▼a 정영우, ▼d 1982-, ▼e 저 |
700 | 1 | ▼a 정진민, ▼g 鄭鎭民, ▼d 1956-, ▼e 편·저 ▼0 AUTH(211009)94713 |
700 | 1 | ▼a 조기숙, ▼g 趙己淑, ▼d 1959-, ▼e 저 ▼0 AUTH(211009)73711 |
700 | 1 | ▼a 조성대, ▼g 趙誠帶, ▼d 1966-, ▼e 저 ▼0 AUTH(211009)64978 |
700 | 1 | ▼a 지병근, ▼g 池昞根, ▼d 1969-, ▼e 저 ▼0 AUTH(211009)120058 |
700 | 1 | ▼a 차태서, ▼g 車兌西, ▼d 1982-, ▼e 저 ▼0 AUTH(211009)87587 |
700 | 1 | ▼a 채진원, ▼g 蔡鎭源, ▼d 1971-, ▼e 저 ▼0 AUTH(211009)33262 |
700 | 1 | ▼a 최준영, ▼g 崔峻榮, ▼d 1970-, ▼e 저 ▼0 AUTH(211009)71082 |
700 | 1 | ▼a 하상응, ▼g 河尙應, ▼d 1972-, ▼e 저 ▼0 AUTH(211009)154744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20.953 2022z49 | 등록번호 12126311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정진민(엮은이)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시러큐스대학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외무부 조약국, 아주국, 미주국, 주오스트리아 대사관 등에서 근무하였고, 한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미국정치연구회장, 한국정당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미국 UC버클리대학 방문학자 및 일본게이오대학과 쓰쿠바대학 객원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후기산업사회 정당정치와 한국의 정당발전』, 『한국의 정당정치와 대통령제 민주주의』, 『정당정치 변화와 유권자정당』, 「Korean-US Political Parallels and the Trump Presidency」 등이 있다.
임성호(엮은이)
·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미국 M.I.T. 정치학 박사 · 국회입법조사처장 (2014~16년) · 한국아메리카학회장 (2022~23년) · 한국정당학회장 (2009년) · 한국세계지역학회장 (2014년) · 『정당정치의 변화, 왜 어디로』 (공저, 2015년), 『지구화 시대의 정당정치』 (공저, 2011년), 『한국 국회와 정치과정』 (공저, 2010년) 외 저서 및 논문 다수
이현우(엮은이)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정건(엮은이)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에서 미국 의회-정당 정치와 외교 정책을 주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윌밍턴) 교수와 우드로우 윌슨 센터 풀브라이트 펠로우를 지냈고 현재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저로 <미국 정치와 동아시아 외교정책> 등이 있고 “The China Card: Playing Politics with SinoAmerican Relations,” “Wedge Issue Dynamics and Party Position Shifts: Chinese Exclusion Debates in the post-Reconstruction U.S. Congress, 1879-1882,” “미국 국내 정치와 북한 비핵화 이슈,” “트럼프 행정부와 미국 외교의 잭슨주의 전환” 등 다수의 연구를 출간하였다.

목차
서문 1부 정치양극화의 심화 1장 한국과 미국의 정당간 이념 양극화 특징 비교 / 가상준 2장 한국 정당의 지지 기반 재편성 전망: 미국 정당정치 변화의 함의 / 김성연 3장 당파적 양극화의 정치사회적 효과ㅣ 최근 한국과 미국의 경험 / 이재묵 4장 정치적 양극화와 정당의 후보선출 / 정진민 5장 지역 유권자의 정당편향성과 민주적 책임성 / 지병근 6장 정파적 양극화와 선거캠페인 : 변화와 지속 / 유성진 7장 정진민 교수의 미국정치 분극화 연구와 한국정치 연구 방향 / 조성대 2부 정채성 정치의 강화 8장 정치정체성과 분열의 정치 / 윤광일 9장 부족주의를 넘어 종파주의뢰 미국사회의 정파적 분열 / 이소영 10장 전환기 정의의 관점에서 본 미국의 인종문제 / 이병재 11장 여성의 정치적 태도와 행동에 대한 고찰 / 미ㅣ국과 한구의 비교 분석 /. 강주현 12장 유권자 세대구성 변화와 정치 변화 / 이현우 13장 민주주의 비가시적 인프라: 마음의 습관 / 최준영 3부 한미 비교정치의 동학 14장 의회 개혁 방식의 비교 정치하기 미국 의회 현대화 위원회를 중심으로 / 서정건 15장 미국의회 ''의사규칙자문관''의 영향력 확대와 그 시사점 / 임성호 16장 미국 뉴딜정책의 정치적 기초와 일자리 정책 / 정영우 17장 포퓰리즘 이론으로 본 적대적 대결 정치 / 조기숙 18장 태평양 양안의 포퓰리즘: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 부상 / 차태서 4부 정치권력과 선거 19장 국정운영 방식의 성찰: ''당정청 원팀''이 만든 제왕적 통치의 함정 / 채진원 20장 제왕적 대통령제: 민주주의 회복을 ㅜ이한 필요악인가? / 하상응 21장 한국과 미국의 대통령 후보 선정과 정당 내부 정치 / 이종곤 22장 미국과 한구의 선거국 획정과정의 비교 / 손병권 23장 자유와 공정사이: 한국과 미국의 선거관리 / 강우창 5부 미국외교와 국제체제의 급변 24장 미국 ''신냉전'' VS 지구행성 리버럴의 고뇌 / 안병진 25장 세계질서변화를 둘러싼 논쟁과 미국: 한국적 함의 / 박인휘 26장 미중경쟁과 한미동맹의 미래 / 이수훈 27장 아프간 철군 이후 미중 경쟁: 가치외교와 군사적 대결의 심화 / 권보람 28장 카불 함락과 한강의 기저기 미국의 민주주의 외교 / 마상윤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