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8860 | |
005 | 20230516131124 | |
007 | ta | |
008 | 230515s2022 ulk b 000c kor | |
020 | ▼a 9791170484660 ▼g 03360 | |
035 | ▼a (KERIS)BIB000016564586 | |
040 | ▼a 247017 ▼c 247017 ▼d 211009 | |
082 | 0 4 | ▼a 342.519029 ▼2 23 |
085 | ▼a 342.53029 ▼2 DDCK | |
090 | ▼a 342.53029 ▼b 2022z2 | |
100 | 1 | ▼a 김정원, ▼d 1965- |
245 | 1 0 | ▼a 조선, 헌법을 심다 : ▼b 헌법이 만들어지는 배경에 관한 이야기 / ▼d 김정원 |
260 | ▼a 서울 : ▼b 생각나눔, ▼c 2022 | |
300 | ▼a 286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282-286 |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 청구기호 342.53029 2022z2 | 등록번호 1118803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재의 법률이 식민지 시대를 거치며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그 의문을 풀어가면서 만들어진 책이다. 모든 나라는 헌법과 법률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헌법이 어떤 경위로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그 배경을 추적하는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근대사를 헌법적 관점에서 설명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객관적일 수밖에 없도록,
‘헌법’이 바라본 대한민국 근대사 이야기
‘러일전쟁부터 을사늑약을 넘어 대한민국의 헌법이 생기기까지.’
현재의 법률이 식민지 시대를 거치며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그 의문을 풀어가면서 만들어진 책입니다. 모든 나라는 헌법과 법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의 헌법이 어떤 경위로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그 배경을 추적하는 이야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근대사를 헌법적 관점에서 설명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법이라고 하면 딱딱한 법조문으로 이루어진 그 무엇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그 만들어진 과정을 살펴보면 그 시대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기도 합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책머리에 프롤로그 1장 일본 제국의 태동 가. 마지막 막부 나. 서구제국의 진출 다. 메이지유신 라. 정한론 2장 권력투쟁과 내전 가. 유신세력의 균열 나. 정한론 세력의 축출 다. 조선을 둘러싼 외교전 3장 헌법의 형성 가. 입헌제에 대한 공감대 나. 로드맵 다. 다시 유럽으로 라. 귀국 마. 헌법의 제정 바. 메이지 헌법의 특징 사. 오쓰(大津) 사건 4장 입헌제 구현 가. 제국의회 탄생 나. 의회정치의 학습기 다. 변수 5장 조선, 황혼이 깃들다 가. 외교적 환경 (1) 갑신정변 (2) 청의 마지막 무대 (3) 태풍 속의 고요(1885-1894) 나. 청일전쟁 다. 고조되는 긴장 라. 떠오르는 군부세력 마. 러일전쟁 바. 영국의 이집트 통치방식 사. 통감통치의 성격 아. 헤이그 밀사 사건 (1) 극동 정세 (2) 밀사 (3) 반향 (4) 정체 논쟁의 종지부 (5) 의병 투쟁 상황 자. 병탄의 길 6장 식민지의 규범정립과정 가. 제국 의회와의 단절 나. 헌법은 조선에도 적용되는가 다. 치안 라. 교육 마. 경제 7장 식민지에서의 헌법의 위치 가. 식민통치와 법체계 나. 제령 체제 다. 국제관계의 영향 라. 사법권을 둘러싼 논쟁 8장 헌정질서의 정립 가. 일본 제국의 패망 나. 사법시스템의 딜레마 다. 미군정기 라. 제2차 대전 종전 후 전개된 규범적 상황 마. 대한민국 헌법의 제정 에필로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