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백 년간의 프로젝트(1351-1450) : 고려인은 어떻게 조선인이 되었나? : 고려에서 조선으로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현모, 朴賢模, 1965-, 저 이익주, 李益柱, 1962-, 저 송재혁, 宋載赫, 1979-, 저 김윤주, 金潤珠, 1974-, 저
서명 / 저자사항
백 년간의 프로젝트(1351-1450) : 고려인은 어떻게 조선인이 되었나? : 고려에서 조선으로 / 박현모 [외]
발행사항
고양 :   문우사,   2023  
형태사항
411 p. ; 23 cm
ISBN
9791197967634
일반주기
공저자: 이익주, 송재혁, 김윤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8825
005 20230522110610
007 ta
008 230515s2023 ggk 001c kor
020 ▼a 9791197967634 ▼g 93910
035 ▼a (KERIS)BIB000016680327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41 0 ▼a kor ▼a chi
082 0 4 ▼a 951.902 ▼2 23
085 ▼a 953.051 ▼2 DDCK
090 ▼a 953.051 ▼b 2023
245 0 0 ▼a 백 년간의 프로젝트(1351-1450) : ▼b 고려인은 어떻게 조선인이 되었나? : ▼b 고려에서 조선으로 / ▼d 박현모 [외]
260 ▼a 고양 : ▼b 문우사, ▼c 2023
300 ▼a 411 p. ; ▼c 23 cm
500 ▼a 공저자: 이익주, 송재혁, 김윤주
500 ▼a 색인수록
536 ▼a 본 저서는 한국연구재단의 2020년도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일반공동연구)으로 수행되었음
546 ▼a 一部 韓漢對譯
700 1 ▼a 박현모, ▼g 朴賢模, ▼d 1965-, ▼e▼0 AUTH(211009)45594
700 1 ▼a 이익주, ▼g 李益柱, ▼d 1962-, ▼e▼0 AUTH(211009)6842
700 1 ▼a 송재혁, ▼g 宋載赫, ▼d 1979-, ▼e▼0 AUTH(211009)126130
700 1 ▼a 김윤주, ▼g 金潤珠, ▼d 1974-, ▼e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1 2023 등록번호 111880289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20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저자들이 수행한 한국연구재단 과제다. 제목이 '백 년간의 프로젝트'인 이유는 공민왕 즉위(1351년) 무렵부터 시작된 유교 지식인들의 새로운 나라 만들기가 태종과 세종에 의해 본격화되었으며, 세종이 사망하는 즈음(1450년)에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제1부는 네 명의 연구자들이 각각 ‘고려인은 어떻게 조선인이 되었나?’라는 주제로 정치와 사상(언론의 나라 만들기), 외교(대외관계의 변화), 정부형태(정부조직의 변화), 중앙과 지방 관계(지방 지배방식의 변화)에 대해 연구한 결과이다. 제2부에서는 제1부 연구주제를 확장시킬 수 있는 1차 자료를 선별하여 해제를 붙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현모(지은이)

1999년 서울대학교에서 ‘정조(正祖)의 정치사상’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2001년부터 14년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정조와 세종, 정도전과 최명길 등 왕과 재상의 리더십을 연구했다. 2013년부터는 미국의 조지메이슨대학교, 일본의 ‘교토포럼’ 등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형 리더십’을 강의하는 한편, 시민강좌 ‘실록학교’를 운영했다(2022년 기준 3,600여 명 수료). 현재 여주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교수 및 세종리더십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대학교양 필수과목인 ‘세종리더십’을 대학생들에게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태종평전』, 『정조평전』, 『정조 사후 63년』, 『세종처럼』 등이 있고, 『몸의정치』와 『휴머니즘과 폭력』을 우리말로 옮겼다. 「경국대전의 정치학」, 「정약용의 군주론: 정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왕의 동선과 정치재량권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정조와 순조」 등 90여 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이익주(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구 분야는 고려 후기 정치사와 13~14세기 고려-몽골 관계사이며,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에서 한국의 위상을 밝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이색의 삶과 생각』(2013)이 있고, 공저로 『정치가 정도전의 재조명』(2004),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2006),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2010), 『세종 리더십의 핵심 가치』(2014) 등이 있으며, 그 밖에 고려 후기 정치사와 국제관계사 분야의 논문을 다수 발표했다.

송재혁(지은이)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한국 및 동양 정치사상으로, 그동안 조선 초기 국가건설의 구체적인 내용을 당대의 정치가들이 활용한 서적들을 통해 밝히는 연구를 수행해 왔다. 최근에는 조선 초기의 정치지성사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세종의 고백, 임금 노릇 제대로 하기 힘들었습니다』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정도전의 국가론: 『조선경국전』과 원 제국의 유산」, 「정도전은 왜 인용한 자료를 밝히지 않았나?: 창업군주를 위한 통치론의 저술과 원 제국의 유산」, 「세종, 역사를 고치다: 세종 20년 신개의 상소와 무인정변의 재구성」, 「헌장의 수호자: 세종 시대 황희의 정치적 역할」 등이 있다.

김윤주(지은이)

2011년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조선 태조∼태종대 정치와 정치세력’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서울시립대학교, 제주대학교, 여주대학교 등에서 한국사를 가르쳤고, 고려 말 조선 초의 정치 권력 관계의 변화와 정치 체제의 구축 과정, 조선 건국 이후 수도 한양의 공간 변화 등을 주로 연구하였다. 저서(공저)는 『서울 역사 답사기 3-한강을 따라서』, 『경복궁 중건 천일의 기록』이 있고, 번역서(공역)는 『국역 공사기고』, 『국역 경복궁영건일기』가 있다. 그리고 「고려 우왕대 이색과 한수의 교유와 시(詩)-『목은시고』, 『유항시집』의 차운시를 중심으로」, 「조선 초 공신 책봉과 개국․정사․좌명공신의 정치적 동향」, 「조선 초기 상왕(上王)의 정치적 위상」, 「조선 태조〜태종대 한양 건설 공역의 인력 동원과 물자 수급」, 「조선 초기 ‘조선 건국’에 대한 역사 인식의 형성과 추이」 등 여러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부 조선의 탄생과 조선인 만들기
제1장 ‘언론의 나라’ 만들기(이익주)
1.머리말
2. 고려 전기 ‘진시무’의 양상
3. 고려 후기 ‘진시무’ 양상의 변화
4. 맺음말-‘조선인’의 진시무
제2장 대외관계의 변화(박현모)
1. 조선왕조 대외관계의 기본 틀 형성
2. 태종시대의 외교와 국방
3. 조선 외교력의 정점, 세종시대
제3장 원 제국의 유산과 조선의 탄생(송재혁)
1. 서론
2. 조선 건국 시기의 제국의 유산
3. ‘첫 번째 조선인’ 정도전
4. 제국의 짙은 그림자
5.『조선경국전』의 관직제도와 원의『경세대전
6.『경제문감』의 은폐와 새로운 정치모델의 표방
7. 1성 6부제와 최고위 재상의 배타적 권한
8. 세종 18년(1436) 의정부서사제 부활의 의미
9. 육조직계제의 운영 실상과 조선적 정부구조의 확립
10. 결론
제4장 지방사회의 변화(김윤주)
1. 들어가며
2. 조선 건국과 지방사회의 동요
3. 지방 수령의 위상 제고
4. 지방 군현의 재편과 속현ㆍ부곡의 소멸
5. 지방민의 삶은 어떻게 바뀌었나
종 장 21세기 한국인이 ‘백 년간의 프로젝트’에서 배울 점(박현모)

제2부 읽을거리
1. ‘언론의 나라’ 만들기 관련 자료(이익주)
2. 고려 말 조선 초 대외관계 관련 자료(박현모)
3. 조선 초기 정부조직 관련 자료(송재혁)
4. 지방사회의 변화 관련 자료(김윤주)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