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어 음절의 역사 : 음운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승용, 申昇容, 1970-
서명 / 저자사항
국어 음절의 역사 : 음운사 / 신승용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태학사,   2023  
형태사항
167 p. ; 23 cm
총서사항
국어사대계 ;4-3
ISBN
9791168101388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57-165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8820
005 20230525100926
007 ta
008 230515s2023 ggk b 000c kor
020 ▼a 9791168101388 ▼g 93710
035 ▼a (KERIS)BIB000016706980
040 ▼a 244008 ▼c 244008 ▼d 211009
082 0 4 ▼a 495.709 ▼2 23
085 ▼a 497.09 ▼2 DDCK
090 ▼a 497.09 ▼b 2019 ▼c 4.3
100 1 ▼a 신승용, ▼g 申昇容, ▼d 1970- ▼0 AUTH(211009)33941
245 1 0 ▼a 국어 음절의 역사 : ▼b 음운사 / ▼d 신승용 지음
260 ▼a 파주 : ▼b 태학사, ▼c 2023
300 ▼a 167 p. ; ▼c 23 cm
490 1 0 ▼a 국어사대계 ; ▼v 4-3
504 ▼a 참고문헌: p. 157-165
830 0 ▼a 국어사대계 ; ▼v 4-3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09 2019 4.3 등록번호 1118802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세종대왕이 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글을 창제하였지만, 이후 음절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국어학사의 차원에서 음절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저자는 이 책 <국어 음절의 역사>에서, 비록 많지는 않지만 음절과 관련된 연구들을 토대로 해서, 고대국어에서 근대국어 시기까지 국어 음절의 특징 및 음절과 관련된 쟁점을 정리한다.

저자는 국어사에서 음절과 관련된 쟁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고대국어가 구조적으로 종성을 허용하지 않는 개음절로만 이루어진 음절을 가진 언어였느냐 아니냐” 정도로, 여기에 “음절의 내부 구조와 관련한 쟁점 몇 가지”가 추가될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초성의 구조와 관련하여 고대국어 시기에 초성에 자음군을 허용했느냐 아니냐, 그리고 종성의 구조와 관련하여 종성에서 실현될 수 있는 자음의 종류 및 종성에서 실현될 수 있는 자음의 개수에 대한 것도 쟁점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쟁점들을 이 책을 통해 정리한다. 여기에 더하여 하향 이중모음의 소멸에 따른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음절 중성의 구조 변화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고대국어에서 근대국어까지
국어 음절의 특징과 관련 연구 쟁점


세종대왕이 국어의 음절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글을 창제하였지만, 이후 음절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국어학사의 차원에서 음절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저자는 이 책 <국어 음절의 역사>에서, 비록 많지는 않지만 음절과 관련된 연구들을 토대로 해서, 고대국어에서 근대국어 시기까지 국어 음절의 특징 및 음절과 관련된 쟁점을 정리한다.

저자는 국어사에서 음절과 관련된 쟁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고대국어가 구조적으로 종성을 허용하지 않는 개음절로만 이루어진 음절을 가진 언어였느냐 아니냐” 정도로, 여기에 “음절의 내부 구조와 관련한 쟁점 몇 가지”가 추가될 수 있다고 말한다. 즉 초성의 구조와 관련하여 고대국어 시기에 초성에 자음군을 허용했느냐 아니냐, 그리고 종성의 구조와 관련하여 종성에서 실현될 수 있는 자음의 종류 및 종성에서 실현될 수 있는 자음의 개수에 대한 것도 쟁점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쟁점들을 이 책을 통해 정리한다. 여기에 더하여 하향 이중모음의 소멸에 따른 이전과 이후의 변화를 음절 중성의 구조 변화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이 책은 5개 장으로 나뉘어 있다. 1장에서는 논의의 출발점이자 기본 바탕이 되는 음절 및 음절구조의 정의에 대해 짚어 보고, 2장에서는 최초의 음절 분석이라 할 수 있는 ‘훈민정음의 음절 분석’에 대해 살펴본다. 3장에서는 고대국어 연구 방법에 대해 논의한 후 음절구조 연구의 제약에 대해 살펴본다. 4장에서는 본격적으로 고대국어의 음절구조에 대한 논의를 다루는데, 알타이 공통 조어 가설, 차자 표기 재구, 말음 첨기자의 존재, 후기 중세국어 어휘의 음절형, 음절 종성 자음의 외파‧불파, 종성 자음군 어간 등과 관련지어 논의를 이어 나간다. 5장에서는 중세국어에서 초성, 중성, 종성 제약과 그 변화에 대해 살펴본다.

이 책은 음운사적 관점에서 다루어졌던 문제들을 음절이라는 관점에서 사적(史的)으로 살펴본다는 점에 출간의 의의가 있다.

‘국어사대계’ 시리즈 소개
100년이 넘는 국어사 연구의 방대한 성과를 집대성하여 새로이 선보이는 ‘국어사대계’ 시리즈는 크게 세 분야로 이루어진다. 20년 전 40~50대가 주축이 되어 집필했던 것을 수정 보완하여 새로이 선보이는 『국어사 연구 1‧2』, 원로들의 특출한 논문을 엄선하여 간행하는 『국어사 논문 걸작선』, 그리고 오늘날의 40~60대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어 새로이 집필하는 ‘개별 국어사 주제 연구’가 그것이다. 개별 국어사 주제는 ‘국어사 연구 방법과 자료’, ‘문자사’, ‘음운사’, ‘문법사’, ‘어휘사’ 등을 아우를 예정이다. 이렇듯 국어사학계의 모든 성과와 노력을 아울러 간행하는 ‘국어사대계’는 국어사 연구에 큰 획을 긋는 작업이 될 것이다.

1. <국어사 연구 1: 계통‧문자체계‧시대구분‧음운> ― 국어사대계간행위원회 엮음 | 양장 | 560쪽 | 30,000원 | 2020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작
2. <국어사 연구 2: 문법‧어휘> ― 국어사대계간행위원회 엮음 | 양장 | 520쪽 | 30,000원 | 2020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작
3. <국어사 논문 걸작선> ― 국어사대계간행위원회 엮음 | 양장 | 880쪽 | 50,000원
4-1. <국어 한자음의 역사> ― 김무림 지음 | 296쪽 | 22,000원
4-2. <국어 운소의 역사> ― 이문규 지음 | 144쪽 | 18,000원
4-3. <국어 음절의 역사> ― 신승용 지음 |
5-1. <국어 파생법의 역사> ― 구본관 지음 | 352쪽 | 25,000원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승용(지은이)

서강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를 마치고, 현재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음운론 및 음운사, 문법 교육 및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가 전공 분야이다. 주요 저서로 『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2003), 『학교문법산책』(2010), 『국어음운론』(2013), 『기저형과 어휘부』(2018) 등이, 주요 논문으로 「중세국어피동 접사 ‘-이-, -히-, -기-, -리-’의 분포적 특성과 성격」(2019), 「복합어의 기저형과 복합어 경계 교체의 공시성 유무」(2020)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머리말

1. 음절의 정의와 음절구조
1.1. 음절
1.2. ‘음절구조’의 여러 가지 정의
1.3. CV 층렬의 C, V의 실체

2. 훈민정음의 음절 분석

3. 고대국어 연구 방법과 음절구조 연구의 제약
3.1. 내적 재구에 의한 음절구조 연구와 제약
3.2. 비교 방법에 의한 음절구조 재구와 제약

4. 고대국어의 음절구조
4.1. 알타이 공통 조어 가설과 고대국어 음절구조
4.2. 차자 표기 재구와 고대국어의 음절구조
4.3. 말음 첨기자의 존재와 고대국어 음절구조
4.4. 후기 중세국어 어휘의 음절형과 고대국어 음절구조
4.5. 음절 종성 자음의 외파ㆍ불파와 고대국어 음절구조
4.6. 종성 자음군 어간과 고대국어의 음절구조

5. 중세국어에서 초성, 중성, 종성 제약과 그 변화
5.1. 중세국어 음절 초성 제약과 그 변화
5.2. 중세국어 음절 중성 제약과 그 변화
5.3. 중세국어 음절 종성 제약과 그 변화

참고문헌
《국어사대계》 발간의 말씀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