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중국 혁명음악의 별 : 정율성 평전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리혜선, 李惠善, 1956-
서명 / 저자사항
중국 혁명음악의 별 : 정율성 평전 / 리혜선 지음
발행사항
광주 :   시와사람,   2022  
형태사항
512 p. : 삽화 ; 23 cm
ISBN
9788956656366
서지주기
참고문헌: p. 510-512
주제명(개인명)
정률성,   鄭律成,   1914-1976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8573
005 20230512135536
007 ta
008 230511s2022 kjka b 000c bkor
020 ▼a 9788956656366 ▼g 03810
035 ▼a (KERIS)BIB000016549436
040 ▼a 011001 ▼c 011001 ▼d 211009
082 0 4 ▼a 780.92 ▼2 23
085 ▼a 780.92 ▼2 DDCK
090 ▼a 780.92 ▼b 2022z4
100 1 ▼a 리혜선, ▼g 李惠善, ▼d 1956- ▼0 AUTH(211009)9464
245 1 0 ▼a 중국 혁명음악의 별 : ▼b 정율성 평전 / ▼d 리혜선 지음
246 3 ▼a 정률성 평전
260 ▼a 광주 : ▼b 시와사람, ▼c 2022
300 ▼a 512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510-512
536 ▼a 이 책은 화순군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음
600 1 4 ▼a 정률성, ▼g 鄭律成, ▼d 1914-1976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2 2022z4 등록번호 5110578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누구든 한 사람의 일생에는 당연히 공도 있고 과도 있게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에 대한 객관적이고 냉정한 평가를 통해 역사적인 의미를 조명하고 그의 삶과 정신을 기리는 것은 후대들의 마땅한 의무요 책임이 아닐 수 없다.

현장이었고 음악의 뿌리였던 전라남도 광주와 화순군의 정율성 기념사업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그리고 급변하는 시대 한중 관계발전에도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리혜선(소설가, 정율성 평전 저자)

누구든 한 사람의 일생에는 당연히 공도 있고 과도 있게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에 대한 객관적이고 냉정한 평가를 통해 역사적인 의미를 조명하고 그의 삶과 정신을 기리는 것은 후대들의 마땅한 의무요 책임이 아닐 수 없다. 이번에 발간된 이 책을 통해 그동안 막연하게 알려져 왔던 정율성 선생의 삶과 음악에 대한 보다 많은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만들어지기를 기대하며, 그리하여 부족한 부분도 채워지기를 기대한다.
-김성인(정율성 평전 발간위원회 위원장)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리혜선(지은이)

1956년 중국 연길 출생, 연변대학 漢語학부 졸업, 노신문학원 졸업. 연변일보사, 길림신문사 편집, 기자, 차장 역임, 연변작가협회 전업작가, 창작실 주임 역임, 중국작가협회 전국위원원회 위원 역임. 장편소설 『빨간그림자』, 『紅蝴蝶』(중문), 『생명』, 소설집『푸른잎은 떨어졌다』, 『야경으로 가는 여자』, 아동소설『폭죽소리』, 『사과배 아이들』, 『자유찾아 만리길-김학철이야기』, 장편르뽀 『코리안드림』, 『코리안드림, 희망과 방황의 보고서』, 『두만강의 충청도 아리랑』, 『두만강변의 충북마을』, 『정율성 평전』, 『鄭律成評傳』(중문) 등. 제5회, 제7회 중국소수민족문학창작상 준마상, 2019년도 민족문학상, 제5회, 제6회, 제8회 연변조선족자치주정부 진달래문예상, 제4회 연변작가협회 문학상(소설부문 최우수상), 제1회 단군문학상, 흑룡강신문사 장편 공모상, 기타 간행물 문학상 등 다수 수상.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발간사/김성인 ___ 10
서시/강경호 ___ 10
책을 펴내며/리혜선 ___ 10
프롤로그 ___ 12


제1장 양림산 언덕에서 (1914.8-1933.5)
그의 이름 ___ 26
호랑가시나무와 외가 ___ 30
아버지의 전설 ___ 33
무지개와 선녀와 천렵 ___ 38
3.1운동의 폭풍, 형들이 중국으로 떠나다 ___ 44
큰형 피체, 쌍으로 날아온 화 ___ 51
같이 분발해 장성을 쌓자 ___ 56
황홀한 오웬기념각과 스승님 ___ 59
큰형의 두 번째 피체, 그리고 누나의 죽음 ___ 65
대혁명의 소용돌이속에서 ___ 68
외가와는 달라진 길, 그리고 무한에서 맺은 인연 ___ 74
1927년, 둘째형의 희생 ___ 79
큰형의 세번째 피체 ___ 82
만돌린과 축음기 ___ 86
고슴도치와 음악 ___ 91
전주신흥중학교-부은의 첫 투쟁 ___ 94
아버지, 세상을 뜨다 ___ 98
형들의 길을 따라 ___ 104

제2장 불평과 희망의 노래 (1933.5-1937.10)
중국으로, 중국으로 ___ 114
남경 화로강 효자방 ___ 118
남경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___ 122
처녀작과 「교가」 ___ 127
졸업, 그리고 작은 형의 피검 ___ 130
다재다난했던 1934년, 그리고 큰형의 희생 ___ 136
율성, 음악으로 대성하리 ___ 142
스승 크리노와를 만나다 ___ 148
5월의 노래, 더 큰 세계로 ___ 153
좌익예술가들과의 비밀적인 모임 ___ 160
조직의 불신, 김산을 배웅하다 ___ 165
선성해와의 첫 만남 ___ 171
음악으로 불평과 희망을 말하다 ___ 175
환승역, 두군혜 ___ 179

제3장 자유의 깃발 휘날린다 (1937.10-1942.8)
잘못 채운 첫 단추, 예고된 시련 ___ 186
노신예술학원에 입학하다 ___ 192
날개 돋친 「연안송」 ___ 195
한 처녀가 그를 향해 다가오다 ___ 204
대추나무 우거진 조원의 음영 ___ 209
모택동이 경극을 설명해주다 ___ 215
연수요, 연안에서 맺은 첫사랑 ___ 219
1939년, 세기의 인연 ___ 224
폭풍우, 특무로 의심당하다 ___ 231
군가의 탄생-자유의 기발 휘날린다 ___ 236
모택동의 관심, 왕진과의 우의 ___ 242
산단단화는 불길같이 피어나고 ___ 248
홍소육, 삼불첨과 술 석 잔 ___ 252
조선의용군 ___ 257
무정장군과의 깊은 인연 ___ 262
두 사람의 아리랑, 봉황열반 ___ 266
결혼, 주덕장군이 총을 빌려주다 ___ 270
또다시 시련속으로 ___ 274
죽을 바에는 전방에 나가 죽을 것이요 ___ 278

제4장 태항산으로 가다 (1942.8-1945.12)
잎사귀가 붉은 감나무 아래에서 ___ 284
정바이올린, 팔삭둥이 딸이 태어나다 ___ 291
적후무공대, 태항산에 울려퍼지는 팔도민요 ___ 296
다시 연안으로 ___ 303
불야성의 연안, 일본의 패망 ___ 307
임을 위한 행진곡-조국 향해 나아가자 ___ 316

제5장 북한에서 (1945.12-1951.4)
또 하나의 군가 ___ 326
어머니와의 상봉 ___ 333
밀월은 짧았다 ___ 340
다시 중국으로 ___ 344
주은래 총리의 편지 ___ 350

제6장 행복한 농장 (1951년 4월-1956년 12월)
꽃이 피고 새가 노래 부르고 ___ 356
「강의 노랫소리」, 처갓집을 방문하다 ___ 362
지음 ___ 368
산타클로스 ___ 372
행복한 농장 ___ 378
이상과 시대의 밀월 ___ 382

제7장 자유로의 모험 (1957년 1월-1965년 5월)
늦가을의 매미, 요절한 예술단 꿈 ___ 390
또 하나의 모험 ___ 394
동토에서 ___ 399
「망부운」, 벨 칸토가극창작의 고봉에 오르다 ___ 403
또다시 진정한 가극을 위해 ___ 410
어머니의 사망, 또다시 부딪친 벽 ___ 419

제8장 고난의 강을 건너다 (1966년 5월-1976년 10월)
전국을 뒤덮은 홍색 테러 ___ 426
탈출 ___ 432
폭풍우 속에서 남은 것은 진정 ___ 439
서풍은 세차고 ___ 449
자유의 꽃 만발하리 ___ 457
자유의 조건 ___ 465
창문을 열어라 ___ 470

제9장 대지의 깊은 고요속으로 (1976년 10월-12월, 그리고 더 많은 세월)
마지막 두 달 ___ 478
넘지 말아야 할 세 개의 방어선 ___ 484
1976년 12월 7일, 대지의 깊은 고요속으로 ___ 486
그는 살아있었다 ___ 490
양림동 언덕에서 부르던 노래, 영원한 기억 ___ 499

에필로그 ___ 505
후기 ___ 506
참고자료 ___ 51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