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8307 | |
005 | 20230509095545 | |
007 | ta | |
008 | 230508s2019 ulkd b 001c kor | |
020 | ▼a 9791162261453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5104780 | |
040 | ▼a 223009 ▼c 223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618.92/8914 ▼2 23 |
085 | ▼a 618.9289142 ▼2 DDCK | |
090 | ▼a 618.9289142 ▼b 2019 | |
245 | 2 0 | ▼a (아동·청소년을 위한) 근거기반 심리치료 / ▼d John R. Weisz, ▼e Alan E. Kazdin 엮음 ; ▼e 오경자 외 옮김 |
246 | 1 9 | ▼a Evidence-based psychotherap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g (3rd ed.)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9 | |
300 | ▼a xi, 637 p. : ▼b 도표 ; ▼c 26 cm | |
500 | ▼a 공역자: 강지현, 김현수, 배주미, 송현주, 양윤란, 이주영, 장혜인, 조아라, 최지영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Child psychotherapy |
650 | 0 | ▼a Adolescent psychotherapy |
650 | 0 | ▼a Evidence-based psychiatry |
700 | 1 | ▼a Weisz, John R., ▼d 1945-, ▼e 편 ▼0 AUTH(211009)6500 |
700 | 1 | ▼a Kazdin, Alan E., ▼d 1945-, ▼e 편 ▼0 AUTH(211009)120082 |
700 | 1 | ▼a 오경자, ▼d 1948-, ▼e 역 ▼0 AUTH(211009)112713 |
700 | 1 | ▼a 강지현, ▼g 姜知賢, ▼d 1971-, ▼e 역 ▼0 AUTH(211009)43035 |
700 | 1 | ▼a 김현수, ▼g 金玹秀, ▼d 1972-, ▼e 역 ▼0 AUTH(211009)82766 |
700 | 1 | ▼a 배주미, ▼e 역 |
700 | 1 | ▼a 송현주, ▼g 宋炫周, ▼d 1967-, ▼e 역 ▼0 AUTH(211009)59767 |
700 | 1 | ▼a 양윤란, ▼d 1969-, ▼e 역 ▼0 AUTH(211009)109147 |
700 | 1 | ▼a 이주영, ▼e 역 |
700 | 1 | ▼a 장혜인, ▼g 張慧仁, ▼d 1979-, ▼e 역 ▼0 AUTH(211009)20333 |
700 | 1 | ▼a 조아라, ▼d 1969-, ▼e 역 ▼0 AUTH(211009)47214 |
700 | 1 | ▼a 최지영, ▼e 역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8.9289142 2019 | Accession No. 1212630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불안, 강박장애, 우울, 반항 행동과 품행 문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신경성 거식증 및 신경성 폭식증, 유뇨증, 물질사용장애, 그리고 이전 판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신경성 폭식증과 자해, 자살사고, 유분증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다루는 책이다. 아울러 실제 임상 현장에 치료를 보급하는 문제를 다른 나라의 모델을 소개하면서 탐구하고 있다.
마무리 부분에는 복합적 정신건강 시스템 내 근거기반 치료 시행에 대한 최신 관점, 발달정신병리학의 임상적 함의, 개인 맞춤형 치료, 신경과학의 발전, 근거기반 평가, 그리고 인터넷 기반 개입과 과학기술에 힘입어 한층 질이 높아진 개입에 관한 새로운 장들이 추가되어 있다.
원서명:Evidence-Based Psychotherap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3/e
이 책은 불안, 강박장애, 우울, 반항 행동과 품행 문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신경성 거식증 및 신경성 폭식증, 유뇨증, 물질사용장애, 그리고 이전 판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신경성 폭식증과 자해, 자살사고, 유분증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아울러 실제 임상 현장에 치료를 보급하는 문제를 다른 나라의 모델을 소개하면서 탐구하고 있다. 또한 책의 마무리 부분에는 복합적 정신건강 시스템 내 근거기반 치료 시행에 대한 최신 관점, 발달정신병리학의 임상적 함의, 개인 맞춤형 치료, 신경과학의 발전, 근거기반 평가, 그리고 인터넷 기반 개입과 과학기술에 힘입어 한층 질이 높아진 개입에 관한 새로운 장들이 추가되어 있다.
이 권위 있는 책은 심리학자, 사회복지사, 상담가, 정신과 의사 및 정신 간호사 등 아동과 청소년 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다양한 임상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와 근거기반 임상 실무에 관한 대학 강좌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교재이며, 치료 연구의 최근 발전 내용을 알아보려는 임상과학자들에게는 탁월한 자원이 될 것이다.
“아동·청소년을 위한 근거기반 임상 실무의 발달, 평가, 수행과 그 강점 및 약점을 저자들만큼 깊이 있고 폭넓게 이해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이 책은 임상가가 마주하는 거의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망라하고 있으며,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의 근거기반 개입 이행에 관한 아주 중요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임상가와 임상과학자라면 모두 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자원을 자기 책꽂이에 두고 싶어 할 것이며, 심리적 개입에 대한 대학원 강의에 이상적 교재가 될 것이다.”
-David H. Barlow, PhD, ABPP,
심리학과 및 정신의학과 교수, 미국 보스턴대학교
불안 및 관련 장애 센터 창립자 및 명예센터장
“오늘날 심리치료자들과 심리치료 연구자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이미 나와 있는 치료와 모니터링 도구들을 잘 활용해서 근거기반 치료를 개인 내담자 맞춤형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는 성인 심리치료뿐 아니라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에도 해당되는 문제이다. 이 훌륭한 책은 그 과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최고의 자원이 되리라고 믿는다.”
-Wolfgang Lutz, PhD,
독일 트리어대학교 심리학과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앨런 카즈딘(지은이)
예일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좌교수 및 아동정신의학 교수로 아동과 가족을 위한 외래치료기관인 Yale Parenting Center의 소장, 혁신적 상호작용연구실(Innovative Interactions Laboratory)의 실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예일대학교 심리학과장, 의과대학 아동센터(Child Center) 소장, 예일뉴헤이븐병원 아동정신의학서비스 과장을 역임한 바 있다. 또한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자녀양육과 육아, 공격성과 반사회적 행동, 방법론과 연구설계에 관한 750편이 넘는 연구논문, 북 챕터, 그리고 책을 저술 혹은 편집하였다. 미국심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미국심리학회에서 심리학 응용에서의 우수과학상, 그리고 심리학에의 평생 공헌상을 수상하였다.
John R. Weisz(지은이)
하버드대학교 심리학과 및 동 의과대학의 심리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심리학과의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연구실장을 역임하고 있다. 그는 하버드 의과대학 제휴기관인 Judge Baker Children’s Center의 소장을 8년간 맡은 바 있다. 또한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검증, 그리고 심리치료 연구의 메타분석과 체계적 개관을 집중적으로 연구해왔으며, 최근에는 임상 및 학교 현장에서 여러 진단범주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아동·청소년 심리치료를 개발하고 검증하는 데 관여하고 있다. 미국심리학회 제53분과인 아동·청소년 임상심리학회(Division 53 of the Amerian Psychological Association) 회장과 국제아동청소년정신병리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미국심리과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로부터 James McKeen Canttell 평생 공헌상, 스위스의 Klaus Grawe 재단으로부터 임상심리학 분야에서의 혁신적 연구발전에 대하여 Klaus Grawe상을 수상하였다.
오경자(옮긴이)
미국 하버드대학교 심리학 박사 현 연세대학교 명예특임교수
배주미(옮긴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임상심리학 전공). 삼성 서울병원 임상심리 레지던트 과정 수료.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 박사후 과정. 미국 Beck Institute of Cognitive Therapy 인턴과정 수료. 임상심리전문가 및 정신보건 임상심리사(1급). 현재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조교수.
양윤란(옮긴이)
마인드빅 상담센터 공동소장 연세대학교 및 동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 (철학박사, 임상심리학 전공)
강지현(옮긴이)
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전공 교수 철학박사(임상심리학 전공), 임상심리전문가, 상담심리사 1급 전) 연세대학교 인간행동연구소 내 연세심리건강센터 상담원 전)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상담원
김현수(옮긴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및 석사 노던일리노이 대학교 석사 및 박사(임상심리학)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미국 면허심리학자(워싱턴 주) 현 한양대학교 아동심리치료학과 교수
이주영(옮긴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박사(임상심리학)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현 동덕여자대학교 아동학과 교수
최지영(옮긴이)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교수 임상심리학 박사, 임상심리전문가, 인지행동치료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전)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전) 서울해바라기아동센터 임상심리전문가 전) 다복솔센터 놀이치료실장
송현주(옮긴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석사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 심리학과 박사(발달심리) (전) University of Illinois 박사 후 연구원 (전) 연세대학교 성평등센터장 (전) 한국발달심리학회 학술위원장, 편집위원장
장혜인(옮긴이)
미국 미시간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조아라(옮긴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전 인제의대 상계백병원 정신과 교수

Table of Contents
제 1 부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연구의 토대 제 1 장 서론 : 맥락, 배경, 그리고 목표 제 2 부 임상 문제와 치료 제 2 장 아동중심 불안 치료 제 3 장 소아 강박장애 치료 : 노출기반 인지행동치료 제 4 장 청소년 우울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제 5 장 대인관계 심리치료를 활용한 청소년 우울 치료 제 6 장 오리건 부모관리 훈련 모델의 진화 : 아동·청소년의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개입 제 7 장 부모-자녀 상호작용 치료와 파괴적 행동장애 치료 제 8 장 Incredible Years 부모, 교사, 아동 훈련 시리즈 : 품행 문제 아동을 위한 다면적 치료 제 9 장 아동·청소년의 품행 문제에 대한 부모관리 훈련과 문제해결 기술 훈련 제10장 아동의 공격 행동 대처 능력 프로그램 제11장 청소년을 위한 오리건 치료 위탁 보호 : 연구와 실행 제12장 다중체계치료를 활용하여 심각한 반사회적 행동 치료하기 제13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하계 치료 프로그램 제14장 청소년 자살 및 자해에 대한 개입의 개발과 실험 제15장 외상 아동을 위한 외상 초점 인지행동치료 제16장 덴버 조기 개입 모델을 통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 제17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 대한 중심축 반응 치료 제18장 섭식장애 청소년을 위한 가족기반 치료와 행동적 가족체계치료 제19장 유뇨증과 유분증의 행동치료 제20장 청소년 약물사용장애에 대한 기능적 가족치료 제 3 부 실 행과 보급 : 새로운 집단과 새로운 현장에 치료 확장하기 제21장 소수민족 아동·청소년을 위한 근거기반 심리치료 제22장 국가, 문화, 언어 장벽 넘기 : 노르웨이에서 근거기반 실천을 실행하고 검증하기 제23장 뉴질랜드 근거기반 치료를 위한 국립센터의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의 시행과 검증 제24장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관리 증진을 위한 국가적 노력 :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접근성 향상 노력-잉글랜드 사례 제25장 긍정적 양육 프로그램(트리플 P)의 국제적 보급 제 4 부 중대한 이슈들 제26장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연구에서의 윤리적 쟁점 제27장 복합적 정신보건 체계에서의 아동·청소년 근거기반 심리치료 실행 제28장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에서의 발달정신병리과학의 활용 제29장 임상치료에서 아동·청소년을 위한 개별화된 근거기반 심리치료 제30장 아동·청소년 심리치료 발전에 신경과학 혁신을 입히다 제31장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의 평가 문제 제32장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문제 치료 제 5 부 결론 및 향후 방향 제33장 근거기반 아동·청소년 심리치료의 현재와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