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간추린) 신형사소송법 / 제15판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동운, 申東雲, 1952-
서명 / 저자사항
(간추린) 신형사소송법 / 신동운 저
판사항
제15판
발행사항
파주 :   法文社,   2023  
형태사항
34, 1043 p. ; 26 cm
총서사항
법학총서 (법문사)
ISBN
9788918913933
일반주기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8298
005 20230508175642
007 ta
008 230508s2023 ggk 001c kor
020 ▼a 9788918913933 ▼g 93360
035 ▼a (KERIS)BIB000016673847
040 ▼a 211017 ▼c 211017 ▼d 211009
082 0 4 ▼a 345.51905 ▼2 23
085 ▼a 345.5305 ▼2 DDCK
090 ▼a 345.5305 ▼b 2023z2
100 1 ▼a 신동운, ▼g 申東雲, ▼d 1952- ▼0 AUTH(211009)100355
245 2 0 ▼a (간추린) 신형사소송법 / ▼d 신동운 저
246 3 0 ▼a 형사소송법
250 ▼a 제15판
260 ▼a 파주 : ▼b 法文社, ▼c 2023
300 ▼a 34, 1043 p. ; ▼c 26 cm
490 1 0 ▼a 법학총서 (법문사)
500 ▼a 색인수록
830 0 ▼a 법학총서 (법문사)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도서실(법학도서관 지하1층)/ 청구기호 345.5305 2023z2 등록번호 11188014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제15판의 개정 목표는 2022년 12월 말까지를 기준으로 그동안의 개정 법령과 새로운 판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개하는 데에 있다. 제15판에서는 2022년 5월 개정된 『형사소송법』과 『검찰청법』의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소개하였다. 특별법의 영역으로 오면, 특히 긴급통신제한조치에 대해 사후영장을 규정한 『통신비밀보호법』의 개정이 주목된다.

머리말

이번에 “간추린 신형사소송법”제15판을 내어놓게 되었다. 제15판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성원해 주신 독자들께 감사드린다. 제15판의 개정 목표는 2022년 12월 말까지를 기준으로 그동안의 개정 법령과 새로운 판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개하는 데에 있다. 2022년 5월 9일 검사의 직접 수사권 제한을 내용으로 하는 『형사소송법』과 『검찰청법』의 일부 개정이 있었다. 개정 법률은 2022년 9월부터 시행되었다. 그런데 본서 제14판은 2022년 3월에 출간되었으므로 저자는 부득이 제14판의 별쇄본 추록 형태로 개정 법률의 내용을 소개할 수밖에 없었다. 이번의 제15판은 2022년 5월 개정된 『형사소송법』과 『검찰청법』의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소개하였다. 특별법의 영역으로 오면, 특히 긴급통신제한조치에 대해 사후영장을 규정한 『통신비밀보호법』의 개정이 주목된다.
판례의 경우를 보면, 무엇보다도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전자정보의 압수ㆍ수색과 관련한 다각적인 법리 전개가 주목된다. 수사기관의 전자정보 압수ㆍ수색절차에 대해 형사소송법은 ‘피의자 또는 변호인’의 참여권을 규정하고 있다. 대법원은 이를 ‘피압수자 또는 변호인’으로 해석하면서, 제삼자가 소유ㆍ소지하는 정보저장매체에 대한 압수ㆍ수색절차에 피의자가 ‘실질적 피압수자’로 인정되는 경우라면 제삼자 외에 피의자에게도 참여권을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아울러 대법원은 원격지 서버에 대한 전자정보 압수ㆍ수색과 관련하여 그 대상의 명확성을 요구하였다. 전자정보 압수ㆍ수색 이외의 영역을 보면, 우선 비약적 상고에 대해 상대방의 항소제기가 있을 경우 상고는 물론 항소의 효력까지도 부정하였던 종전 판례를 변경하여 항소의 효력을 인정한 전원합의체 판결이 주목된다. 특별법의 영상녹화물의 본증사용 규정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위헌결정을 내렸다는 점에 대해서는 제14판에서 이미 언급한 바가 있었다. 대법원은 이 위헌결정의 취지를 발전시켜 피고인의 반대신문권 보장을 강화하는 일련의 판례들을 제시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동운(지은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졸업, 동 대학원 졸업(법학석사), 독일 Max-Plank 국제 및 외국형법연구소 객원연구원,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법학박사(Dr. jur.),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교 로스쿨 방문학자, 일본 동경대학 법학부 방문교수,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 인권위원, 사법개혁위원회 위원,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실무위원, 법무부 형사법개정특별심의위원회 위원, 한국형사정책학회 회장, 한국형사법학회 회장, 국민사법참여위원회 위원장, 경찰수사정책위원회 위원장,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현재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빙교수.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편 수사
제1장 형사소송법의 기본개념
제2장 수사기관과 피의자
제3장 수사조건과 수사단서
제4장 임의수사와 강제수사
제5장 수사상 강제처분
제2편 수사종결과 공소제기
제1장 수사종결
제2장 공소제기
제3편 공판절차
제1장 공판절차의 기초지식
제2장 소송주체
제3장 공판절차의 진행
제4장 증  거
제5장 재  판
제4편 상소와 그 밖의 절차
제1장 상  소
제2장 비상구제절차
제3장 특별절차
제4장 재판의 집행절차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