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영순, 金永洵, 1966-, 저 조영철, 曺永喆, 저 김정희, 金正喜, 저 정지현, 鄭智賢, 1960-, 저 박봉수, 朴奉秀, 1963-, 저 오영훈, 吳榮勳, 1963-, 저 손영화, 孫永和, 1965-, 저 박종도, 朴鍾道, 1971-, 저 이미정, 李美貞, 1976-, 저 정경희, 鄭京憙, 저 박미숙, 朴美淑, 저
서명 / 저자사항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 김영순 [외]
발행사항
성남 :   북코리아,   2019  
형태사항
472 p. ; 24 cm
총서사항
사회통합 총서 ;1
ISBN
9788963246161 9788963246369 (세트)
일반주기
공저자: 조영철, 김정희, 정지현, 박봉수, 오영훈, 손영화, 박종도, 이미정, 정경희, 박미숙  
서지주기
참고문헌(p. 445-469)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ulticulturalism --Korea (South) Cultural pluralism --Korea (South) Social integration --Government policy --Korea (South)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7544
005 20230502161831
007 ta
008 230502s2019 ggk b 001c kor
020 ▼a 9788963246161 ▼g 94300
020 1 ▼a 9788963246369 (세트)
035 ▼a (KERIS)BIB000015084797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303.482 ▼2 23
085 ▼a 303.482 ▼2 DDCK
090 ▼a 303.482 ▼b 2019z7
245 0 0 ▼a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 / ▼d 김영순 [외]
260 ▼a 성남 : ▼b 북코리아, ▼c 2019
300 ▼a 472 p. ; ▼c 24 cm
490 1 0 ▼a 사회통합 총서 ; ▼v 1
500 ▼a 공저자: 조영철, 김정희, 정지현, 박봉수, 오영훈, 손영화, 박종도, 이미정, 정경희, 박미숙
504 ▼a 참고문헌(p. 445-469)과 색인수록
536 ▼a 이 저서는 2017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17S1A5B4055802)
650 0 ▼a Multiculturalism ▼z Korea (South)
650 0 ▼a Cultural pluralism ▼z Korea (South)
650 0 ▼a Social integration ▼x Government policy ▼z Korea (South)
700 1 ▼a 김영순, ▼g 金永洵, ▼d 1966-, ▼e▼0 AUTH(211009)39640
700 1 ▼a 조영철, ▼g 曺永喆, ▼e
700 1 ▼a 김정희, ▼g 金正喜, ▼e
700 1 ▼a 정지현, ▼g 鄭智賢, ▼d 1960-, ▼e▼0 AUTH(211009)103484
700 1 ▼a 박봉수, ▼g 朴奉秀, ▼d 1963-, ▼e▼0 AUTH(211009)59934
700 1 ▼a 오영훈, ▼g 吳榮勳, ▼d 1963-, ▼e▼0 AUTH(211009)121674
700 1 ▼a 손영화, ▼g 孫永和, ▼d 1965-, ▼e▼0 AUTH(211009)119206
700 1 ▼a 박종도, ▼g 朴鍾道, ▼d 1971-, ▼e▼0 AUTH(211009)62678
700 1 ▼a 이미정, ▼g 李美貞, ▼d 1976-, ▼e▼0 AUTH(211009)18272
700 1 ▼a 정경희, ▼g 鄭京憙, ▼e▼0 AUTH(211009)24581
700 1 ▼a 박미숙, ▼g 朴美淑, ▼e
830 0 ▼a 사회통합 총서 ; ▼v 1
945 ▼a ITMT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3.482 2019z7 등록번호 111879922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04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 사회는 주류사회 중심의 일방향적이고 일시적인 동화 형태의 사회통합이 아니라, 이민자를 정주민과 동일한 위치에서 공존과 상호문화적 소통이 가능한 다문화사회를 만들어나가기 위한 양방향적 사회통합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이주배경과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 양상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개인 및 집단별 맞춤형 사회통합정책이 필요하며, 이주민뿐만 아니라 정주민을 포함한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사회통합정책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사회통합의 대상은 이주민만을 제한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을 포함한 한국 사회 시민 모두가 그 대상이기 때문이다.

“지속 가능한 다문화사회를 위한 사회통합 연구”

현재 한국 사회에서 실시되고 있는 사회통합정책과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은 결혼이민자에게 치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민자의 국가별 또는 문화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인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한국 사회는 주류사회 중심의 일방향적이고 일시적인 동화 형태의 사회통합이 아니라, 이민자를 정주민과 동일한 위치에서 공존과 상호문화적 소통이 가능한 다문화사회를 만들어나가기 위한 양방향적 사회통합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이주배경과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 양상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개인 및 집단별 맞춤형 사회통합정책이 필요하며, 이주민뿐만 아니라 정주민을 포함한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사회통합정책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사회통합의 대상은 이주민만을 제한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을 포함한 한국 사회 시민 모두가 그 대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총서 발간의 목적은 이주민만을 대상으로 한 제한적 사회통합 대안 마련이 아닌, 이주민을 포함한 한국 사회 시민 모두를 위한 것이다.
- 서문 중에서


<저자 소개>

김영순(金永洵) kimysoon@inha.ac.kr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연구책임자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

조영철(曺永喆) tem2000@hanmail.net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전임연구교수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연구교수

김정희(金正喜) lovebird0110@hanmail.net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전임연구원
인하대학교 아시아다문화융합연구소 전임연구원

정지현(鄭智賢) oxy59j@hanmail.net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공동연구원
인하대학교 언어교육원 강사

박봉수(朴奉秀) wuligaqi@naver.com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공동연구원
디아스포라연구소 소장

오영훈(吳?榮勳) ohy10106@hotmail.com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공동연구원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강의교수

손영화(孫永和) drsonn2@inha.ac.kr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공동연구원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박종도(朴鍾道) jdp23@inu.ac.kr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공동연구원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이미정(李美貞) pro03@daum.net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전문연구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연구교수

정경희(鄭京憙) jungkh414@naver.com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전문연구원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강의교수

박미숙(朴美淑) parkmisuk@inha.ac.kr
한국연구재단 사회통합 총서 전문연구원
인하대학교 BK21+ 글로컬다문화교육사업팀 연구교수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영순(지은이)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베를린 자유대학교 철학박사 김영순 교수는 교육과학기술부 범부처 범교과 체험교육 사업단 장 및 전국 교육대학원 원장 협의회 회장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한국국제문화교육학회 회 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교수, 인하대 다문화융합연구소 소장 BK21 글로벌 다문화 교육연구단 단장직을 맡고 있다. 김교수는 그리움이란 관점에서 행복을 바라본다. 그리움 자체가 내게 기다리는 시간, 그리워하는 시간, 과거의 추억을 되새겨서 내 삶에 현실로 가져오는 시간, 그것이 사람이던, 자연이던, 장소이던, 어떤 상황이던 간에 이 세상에 존재하는 그리움의 모든 대상은 모두 행복이 된다고 한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서문: 『다문화 생활세계와 사회통합 연구』를 시작하며
연구개요

1부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 생활세계
1장. 초국적 이주와 상호문화 이해
1. 전 지구적 현상으로서 초국적 이주
2. 다문화사회와 다문화성
3. 다문화성을 넘어 상호문화성으로
2장. 다문화 생활세계와 이주민의 정체성
1. 다문화 생활세계의 형성
2. 다문화사회와 문화적응
3. 이주민의 정체성 협상
3장. 다문화사회의 이주민 유형

2부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
4장. 이주와 다문화사회 형성
1. 다문화사회의 이주 현상
2. 다문화사회의 이주 이론
3. 다문화 공간의 형성과 변천
5장. 사회통합과 사회통합정책 이론
1.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
2. 사회통합정책 이론
3. 국내의 사회통합정책

3부 국외의 사회통합정책 사례
6장. 북미의 사회통합정책
1. 미국
2. 캐나다
7장. 유럽의 사회통합정책
1. 영국
2. 독일
3. 프랑스
8장. 아시아의 사회통합정책
1. 중국
2. 일본
3. 베트남
4. 우즈베키스탄

4부 사회통합정책 모형
9장. 생활세계 기반 사회통합정책 모형
1. 인지정서적 사회통합정책 모형
2. 사회제도적 사회통합정책 모형
10장. 이주민 생애사 기반 문화적응 연구방법
1. 생애사 연구의 필요성
2. 생애사 서술 모형의 필요성
3. 생애사 서술 모형의 실제

11장. 다문화 생활세계 디지털 아카이브
1. 서론
2. 디지털 아카이브와 에스노그래피
3.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요건 및 과정
4. 연구절차와 수집자료(컬렉션)의 종류
5. 후속연구

참고문헌
찾아보기

관련분야 신착자료

권승태 (2023)
연세대학교. 디지털사회과학센터 (2023)
이성민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