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마르셀 모스 저작문 서문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Lévi-Strauss, Claude, 1908-2009 Sociologie et anthropologie 박정호, 朴晸浩, 1971-, 역 박세진, 역
Title Statement
마르셀 모스 저작문 서문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지음 ; 박정호, 박세진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파이돈,   2023  
Physical Medium
159 p. ; 21 cm
Varied Title
Introduction à l'œuvre de Marcel Mauss
ISBN
9791198109224
General Note
색인수록  
이 글은 마르셀 모스의 연구 결과물을 모은 『사회학과 인류학(Sociologie et anthropologie)』의 서문임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Structural anthropology Ethnology
주제명(개인명)
Mauss, Marcel,   1872-1950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6147497
005 20230427135450
007 ta
008 230427s2023 ulk 001c kor
020 ▼a 9791198109224 ▼g 93300
035 ▼a (KERIS)BIB000016745995
040 ▼a 211032 ▼c 211032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301 ▼2 23
085 ▼a 301 ▼2 DDCK
090 ▼a 301 ▼b 2023z2
100 1 ▼a Lévi-Strauss, Claude, ▼d 1908-2009 ▼0 AUTH(211009)54361
245 1 0 ▼a 마르셀 모스 저작문 서문 / ▼d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지음 ; ▼e 박정호, ▼e 박세진 옮김
246 1 9 ▼a Introduction à l'œuvre de Marcel Mauss
260 ▼a 서울 : ▼b 파이돈, ▼c 2023
300 ▼a 159 p. ; ▼c 21 cm
500 ▼a 색인수록
500 ▼a 이 글은 마르셀 모스의 연구 결과물을 모은 『사회학과 인류학(Sociologie et anthropologie)』의 서문임
536 ▼a 이 저서는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g (NRF-2022S1A5C2A02093459)
600 1 0 ▼a Mauss, Marcel, ▼d 1872-1950
650 0 ▼a Structural anthropology
650 0 ▼a Ethnology
700 1 ▼e Sociologie et anthropologie
700 1 ▼a 박정호, ▼g 朴晸浩, ▼d 1971-, ▼e▼0 AUTH(211009)99988
700 1 ▼a 박세진, ▼e
740 0 ▼a Sociologie et anthropologie
900 1 0 ▼a 레비스트로스, 클로드, ▼e
945 ▼a ITMT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01 2023z2 Accession No. 12126305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20세기 후반부 서구 사상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 프랑스의 인류학자로서 구조주의의 선구자이자 사회인류학자이다. 마르셀 모스의 저작에 대한 그의 <서문>은 원래 모스의 저작 모음집인 <사회학과 인류학>(1950)의 서문으로 쓰였고 데리다, 라캉, 바르트, 푸코 등에 의해 독자적 의의와 논쟁사를 지닌 텍스트로 주목을 받았다. 사회학과 인류학, 문헌학, 심리학 그리고 20세기 사상과 지성사에서 매우 귀중한 문헌으로 평가된다. 한국어판은 모스 선집의 1권 <몸 테크닉> 출간에 맞춰 전공자들의 꼼꼼한 번역과 충실한 해설로 출간되었다.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20세기 후반부 서구 사상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 프랑스의 인류학자로서 구조주의의 선구자이자 사회인류학자이다. 마르셀 모스의 저작에 대한 그의 『서문』은 원래 모스의 저작 모음집인 『사회학과 인류학』(1950)의 서문으로 쓰였고 데리다, 라캉, 바르트, 푸코 등에 의해 독자적 의의와 논쟁사를 지닌 텍스트로 주목을 받았다. 사회학과 인류학, 문헌학, 심리학 그리고 20세기 사상과 지성사에서 매우 귀중한 문헌으로 평가된다. 한국어판은 모스 선집의 1권 『몸 테크닉』 출간에 맞춰 전공자들의 꼼꼼한 번역과 충실한 해설로 출간되었다.

레비스트로스의 『서문』, “구조주의의 선언문”이자 “구조주의의 진정한 성경”

분량은 짧지만 자주 인용되는 레비스트로스의 『서문』은 사회학과 심리학의 연관성 및 상징체계와 상징적 사고, 무의식의 고유한 효력에 대한 모스의 성찰을 드러내며, 모스의 저작이 20세기 모더니즘의 새로운 흐름에 비옥한 지적 토대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수십 년의 시차로 분리된 모스의 저작들에 내재한 사유의 총체성, 그리고 그 축을 이루는 상징체계와 사회적 삶의 관계라는 테마를 관통하는 레비스트로스의 논증은 경탄을 자아낸다. ‘기표의 과잉’, ‘부유하는 기표’, ‘제로 상징가’ 등의 표현들을 만나볼 수 있는 『서문』의 번역과 해설을 맡은 옮긴이들은 “뒤늦게나마 이뤄진 한국어 번역을 통해 독자들 역시 모스 사상의 정수가 레비스트로스 사상의 마중물로 변환되는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이 글을 쓸 당시의 레비스트로스는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인 『친족관계의 기본구조』(1949)를 끝낸 직후의 레비스트로스로서, 모스의 사상을 학문적으로 충실하게 연장하고자 했다. 그러나 레비스트로스는 “언약의 땅으로 자신의 백성을 인도했으나 그 영광을 미처 보지 못했던 모세처럼 모스 역시 엄청난 가능성의 언저리에서 멈추고 말았다.”(59쪽)라고 말하며 뒤르켐 및 모스와 자신을 구별 짓는다. ‘언약의 땅’ 그것은 바로 구조주의였다. 그는 이제 막 첫 성과를 낸 구조주의라는 탐구 방법을 프랑스 사회학의 거장 모스의 저술에서 연역하는 시도를 감행한다. 그럼으로써 많은 이들은 『서문』을 일종의 ‘구조주의 선언문’으로 받아들인다. 한편 구조인류학이 남긴 성과와 영향력을 적극 인정하는 관점에서는 『서문』을 질 들뢰즈, 자크 라캉 또는 롤랑 바르트에게 기반을 제공한 핵심적 텍스트이자 구조주의의 진정한 ‘성경’으로도 평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를 떠나서 레비스트로스의 『서문』이 사회학의 고유 영역을 심리학과 언어학에 개방하고 훗날 인류학에서 모스가 점하게 될 선구자적 위상과 사회과학 전반에 끼치게 될 심대한 영향의 상당 부분을 매개한 텍스트라는 사실은 확고하다.

상징의 사회적 기원이 아니라 “사회의 상징적 기원을 규명”하는 데 초점

『서문』에서 레비스트로스가 시도한 것은 모스의 저작에서 구조주의적 사유의 원형을 이끌어 내는 일이었다. 레비스트로스에 따르면 뒤르켐의 사회학은 구조주의에 도달할 수 없었던 반면, 모스의 저작 곳곳에는 구조주의를 시사하는 단서들이 존재한다. 그 단서들 가운데 가장 눈여겨봐야 할 것은 사회학과 심리학의 연관성 및 상징체계의 고유한 효력에 대한 모스의 성찰이다.
옮긴이들에 따르면, 상징의 사회적 기원이 아니라 “사회의 상징적 기원을 규명하는 일”이 요구된다는 진술이 『서문』 전체를 요약한다. 레비스트로스가 보기에 사회적이라고 부를 수 있는 과정과 질서, 현상은 모두 상징체계를 통해서만 출현하고 존재할 수 있다. 『서문』은 “모든 사회적 현상을 언어와 동일시할 수 있다는 모스의 가르침”을 급진적으로 밀고 나가, “언어학에 점점 더 밀접히 결합”하면서 “언젠가 언어학과 함께 방대한 커뮤니케이션 과학을 이룰” 인류학의 미래를 전망한다. 이런 점에서 역자들의 해설은 상징체계의 커뮤니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인류학(하나의 상징체계)이 어떻게 작동(사고)하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총체적 사실은 언제나 “총체적인 사회적 사실”

뒤르켐은 사회적인 것을 개인을 강제하는 구조로 개념화함으로써 이 과제를 처리하고자 했지만, 레비스트로스는 모스에게 기대어 상징체계를 출발점으로 설정해 집단과 개인의 관계가 인과적이기보다는 상보적임을 논증한다. 모스는 상징체계가 작동하면서 사회적-심리적-생리적인 것이 서로 공명한다는 사실을 효과적으로 밝혀냈다. 레비스트로스는 다음과 같은 말로 모스의 관점을 이어받는다. “상징은 그것이 상징하는 것보다 더 실재적이며, 기표는 기의에 선행하고 그것을 결정한다.”
사회적인 것은 상징체계를 통해 총체화되는 나머지 두 차원(심리적인 것과 생리적인 것)을 대표한다. ‘총체적인 심리적 사실’이나 ‘총체적인 생리적 사실’ 같은 표현으로는 체계화하는 상징체계 고유의 특성을 포착할 수 없다. 총체적 사실은 언제나 ‘총체적인 사회적 사실’이다. 이렇게 상징체계를 통해 사회적인 것의 존재론적 지위를 방어한 뒤 레비스트로스는 논의의 초점을 인식의 문제로 이동시킨다. 모스가 제안한 총체적인 사회적 사실, 즉 사회적-심리적-생리적인 것의 만남과 종합은 오직 구체적이고 평범한 개인 ‘안에서만’ 이뤄진다.
레비스트로스는 여기서 중요한 사실 하나를 짚어낸다. 총체적 사실은 무엇보다 사회적인 것으로서 ‘존재’하지만, 반드시 구체적 체험의 주관성을 경유해야만 ‘인식’될 수 있다. 이는 총체적 사실을 구체적 인간의 체험 수준에서 연구하는 과업에 특권적 위상을 부여하는 동시에 사회과학의 익숙한 난제 즉 관찰에서 주관성을 제거하는 문제, 주관적 객관성이라는 이율배반적 요구의 문제를 증폭시킨다. 이런 난국을 돌파하기 위해 레비스트로스는 주관성의 다른 차원으로 눈을 돌린다. 민족학자와 원주민이 ‘나’라는 사적 개인으로서 의식하고 참조하는 주관성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우리에게 공통된 ‘가장 보편적 주관성’, 의식적으로 조절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주관성이 아니라 의식이 미치지 않는 ‘가장 내밀한 주관성’이 그것인데 가장 보편적인 이 주관성의 다른 이름은 집합적 사고의 범주와 동일시된 ‘무의식’이다. 이런 식으로 자신이 설정한 인식론적 난제를 해소하면서, 레비스트로스는 인류학적 관찰의 문제를 무의식의 법칙적 활동을 확인하는 문제로 치환시킨다.

『증여론』에 대한 레비스트로스의 논평

『서문』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것은 『증여론』에 대한 논평이다. 레비스트로스는 모스의 대표작인 이 작품에 사건적 지위를 부여한다. “민족학적 사유의 역사에서 처음”으로 “경험적 관찰을 넘어 더 근원적 실재에 도달하려는 노력”이 『증여론』을 통해 이뤄졌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레비스트로스에 따르면 『증여론』은 “모스가 통과하지 못한 결정적 지점”이 무엇이었는지 또한 드러낸다. “전체의 통일성은 그 각각의 부분들보다 더 실재적”이라는 원칙에 반해 교환을 해명하는 오류를 저질렀다는 것이다.
레비스트로스는 『증여론』에서 개진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가장 심도 깊은 영향력을 끼쳐온 것, 즉 주고, 받고, 돌려줄 삼중의 의무를 통해 선물의 순환이 이해될 수 있다는 착상이 바로 모스가 자기 자신에 반해 설치한 사고의 장애물이라고 본다. 『서문』에서 개진된 레비스트로스의 반론은 교환을 요소들의 합성물 즉 “줄 의무, 받을 의무, 돌려줄 의무라는 뼈대 세 개를 감정적, 신비적 접착제[하우]로 붙여 만든 복합적 체계”가 아니라 분할 불가능한 전체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 의무들이 아니라 교환 자체를 “근원적 현상”으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하우는 주고, 받고, 돌려줄 의무들을 접합시켜 교환을 만들어내는 힘이 아니라, 한편으로 상징체계를 통해서만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모든 존재에게 부과된 운명, 다른 한편으로는 기호로서 상징체계에 포섭되지 않을 수 있는 모든 사물의 운명을 반영하는 것이다. 나와 너는 교환(=커뮤니케이션)하도록 운명지어져 있고 사물은 교환(=커뮤니케이션)되도록 운명지어진바, 하우는 이 같은 무의식적 요구를 의식적으로 표현하는 관념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지은이)

언어학 모델을 인간 사회·문화 연구에 이식한 구조주의 방법론을 통해 20세기 후반부 서구 사상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 프랑스의 인류학자이다. 파리대학에서 법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사회주의 정당인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의 대학생 조직에 적극 참여하기도 했다. 1931년 철학 교수자격시험을 통과한 뒤 교편을 잡았으나, 자신이 가르치는 학문의 지적 무미건조함에 대한 회의와 로버트 로위의 『원시사회』(1919)와의 우연한 만남이 계기가 되어 민족학으로 방향을 틀었다. 1934년 뒤르켐과 모스의 동료였던 셀레스탱 부글레의 추천으로 브라질 상파울루대학의 사회학 교수가 되었다. 1935~6년과 1938년 두 차례 걸쳐 브라질의 카두베오족, 보로로족, 남비콰라족, 투피-카와히브족, 문데족 등을 방문 조사하였으며, 이때의 경험은 훗날 그에게 커다란 대중적 명성을 가져다준 『슬픈 열대』(1955)의 바탕이 된다. 1939년 프랑스로 돌아왔으나 1941년 유대인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 뉴욕 신사회조사연구원에서 연구와 강의를 병행하면서 다양한 국적의 지식인들과 폭넓게 교류하였다. 특히 러시아 태생의 언어학자 로만 야콥슨과의 만남은 구조인류학의 탄생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였는데, 구조주의를 모색하고 실험하던 이른 시기의 논문들은 뒤에 『구조인류학』(1958)으로 묶여 출판되었다. 1949년 박사학위 논문이자 구조인류학의 첫 번째 ‘대작’인 『친족관계의 기본구조』(1949)를 출간했다. 1950년에는 『마르셀 모스 저작집 서문』을 작성하는 한편 과거 모스가 재직했던 고등실습연구원 종교학 분과 교수가 됨으로써 모스의 진정한 계승자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메를로퐁티가 이러한 지적 계보를 “모스에서 레비스트로스에게로”(1959)라는 논문에서 확인한 그해, 레비스트로스는 역시 모스의 길을 따라 콜레주 드 프랑스의 사회인류학 교수로 선출된다. 『오늘날의 토테미즘』(1962), 『야생의 사고』(1962)를 쓴 뒤 아메리카 원주민의 신화 연구에 매진, 4권의 신화학 연작─『날 것과 익힌 것』(1964), 『꿀에서 재까지』(1967), 『식사예절의 기원』(1968), 『벌거벗은 인간』(1971)─을 펴냈다. 그밖에 『멀리서 보는 시선』(1983), 『질투하는 도공』(1985), 『보다 읽다 듣다』(1993) 등의 저서가 있다.

박정호(옮긴이)

서강대학교에서 화학과 사회학을 공부한 뒤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뒤르켐, 베버, 모스: 마나에서 구원으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대학교 사회학과에 재직하면서 선물과 희생제의의 문화적 담론과 실천을 연구하고 있다. 증여와 선물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고, 미셀 마페졸리의 『부족의 시대』(공역), 로베르 에르츠의 『죽음과 오른손』을 우리말로 옮겼다.

박세진(옮긴이)

고려대학교와 성공회대학교에서 사회학을 공부한 뒤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호미니드 진화의 사회학을 위하여: 현 자료에 입각한 인류학적 사고실험」이라는 논문으로 사회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사물이전 양식과 사회성, 북조선 사회의 존재론 등의 주제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어버이수령의 이름과 북조선 사회의 원자」(2022), 「코로나19 앞의 사회/공동체」(2022), 「관찰 공정으로서의 교환」(2021), 「호혜성을 관찰하기」(2021)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I 13
II 35
III 59

해설 사회의 상징적 기원을 찾아서
뒤르켐으로부터 모스에게로 91 | 상징체계와 개인/집단: 모스 사유의 모더니티 97 | 총체적인 사회적 사실 104 | 관찰자와 관찰 대상 110 | 무의식 또는 상징적 사고 115 | 교환(=커뮤니케이션)과 호혜성 123 | 부유하는 기표 131 | 의문들 136 | 구조주의적 방법과 인류학적 관찰 147

찾아보기 15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