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7444 | |
005 | 20230427091929 | |
007 | ta | |
008 | 230426s2022 ulka AC 000c kor | |
020 | ▼a 9788971551875 ▼g 94910 | |
020 | 1 | ▼a 9788971550731 (세트) |
035 | ▼a (KERIS)BIB000016158607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38.476234 ▼2 23 |
085 | ▼a 338.476234 ▼2 DDCK | |
090 | ▼a 338.476234 ▼b 2022 | |
100 | 1 | ▼a 유승주, ▼g 柳承宙, ▼d 1937- ▼0 AUTH(211009)133880 |
245 | 1 0 | ▼a 조선후기 군수광공업사 연구 : ▼b 조총·화약·연환제조를 중심으로 / ▼d 유승주 지음 |
260 | ▼a 서울 : ▼b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 ▼c 2022 | |
300 | ▼a 348 p. : ▼b 삽화 ; ▼c 23 cm | |
490 | 1 0 | ▼a 民族文化硏究叢書 ; ▼v 11 |
536 | ▼a 이 책은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院이 새로운 民族文化의 暢達과 國學振興을 위하여 제정한 『芝薰國學硏究造成費』와 『民族文化硏究叢書刊行計劃』에 의하여 출판되었음 | |
650 | 0 | ▼a Nonfuel minerals industry ▼z Korea ▼x History |
650 | 0 | ▼a Mines and mineral resources ▼z Korea ▼x History |
650 | 0 | ▼a Firearms industry and trade ▼z Korea ▼x History |
651 | 0 | ▼a Korea ▼x History ▼y 1637-1864 |
830 | 0 | ▼a 민족문화연구총서 ; ▼v 11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8.476234 2022 | Accession No. 1118798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선후기,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중말엽에 이르는 100여 년간 조선은 전시 또는 준전시체제하에 놓여 있었다. 이 시기 조선 정부는 국난을 극복하고 외세에 대항하기 위하여 국방을 강화하고 군비를 확충하였다. 이를 계기로 총약환의 제조판매업 등 군수광공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17~18세기 말 군수광공업의 발전 동기와 생산실태, 성장과정을 규명하고, 특히 군수광공업의 경영형태가 변화 발전하는 과정을 통해 조선후기 생산경제 발전의 시기구분을 가늠해 보고자 수행된 연구의 결과물이다.
이 책은 조선 후기 군수광공업에 대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조선후기,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중말엽에 이르는 100여 년간 조선은 전시 또는 준전시체제하에 놓여 있었다. 이 시기에는 7년에 걸친 왜란과 두 번의 호란, 그리고 효종·현종대를 거쳐 숙종초에 이르는 북벌정책의 추진 등이 있었다. 이 시기 조선 정부는 국난을 극복하고 외세에 대항하기 위하여 국방을 강화하고 군비를 확충하였다. 이를 계기로 총약환의 제조판매업 등 군수광공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17~18세기 말 군수광공업의 발전 동기와 생산실태, 성장과정을 규명하고, 특히 군수광공업의 경영형태가 변화 발전하는 과정을 통해 조선후기 생산경제 발전의 시기구분을 가늠해 보고자 했다. 조선후기 군수광공업에 대한 연구는 그 자체로도 가치가 있지만, 조선후기 광공업 연구의 선행연구로서도 연구 가치가 있다. 철물수공업분야에서는 총약환제조업이 생산시설 및 생산규모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광업에서도 군수광물의 필요에서 개발된 철·유황·연은·동광이 거의 전부였기 때문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유승주(지은이)
・1937년 경남 산청 출생. 진주중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사학과 및 대학원 석사・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한국사전공). 육군사관학교 사학과 조교수, 홍익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를 거쳐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정년퇴임 명예교수. 중재김황선생기념사업회 회장, 한국사연구회 회장, 고려사학회 회장, 역사학연구회 회장, (사)한국인물사연구회 이사장 역임. ・저서로는 <조선시대 광업사연구>(고려대출판부: 치암학술상 수상), <병자호란전후 류림장군의 장략과 김화대첩>(도서출판 온샘), <조선후기 중국과의 무역사>(공저, 경인문화사), <조선후기 사회경제사 연구 입문>(공저, 민족문화사), <조선후기 군수광공업사 연구>(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역서로는 홍대용의 <담헌서>(공역, 대양출판사), 류혁연의 <야당유고>(대명기획)가 있으며, 논문 다수가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군수산업성장의 배경 제1절 속오삼수제(束伍三手制)의 성립과 변천 제2절 각읍월과총약환가(各邑月課銃藥丸價) 설정 제2장 군·아문 군수공업의 성장 제1절 군·민간의 방납권 분쟁 1) 군아문 방납제(防納制)의 성립 2) 상진청(常賑廳) 소관 월과계(月課契)의 성립 3) 군기시 소관 월과계(月課契)의 성립 제2절 군아문의 군기제조실태 1) 조총의 제조실태 2) 자초법(煮硝法)의 개선과 화약제조 실태 3) 화약의 제조실태 제3장 군아문 군수광업의 발전 제1절 광산의 절수(折受) 및 경영실태 제2절 군아 문·호조간의 연·은수세권분쟁과 연점의 경영실태 1) 설점수세제(設店收稅制)의 성립 2) 군아문·호조간의 연·은수세권 분쟁 3) 연점의 경영실태 제3절 유황광개발과 유황점의 경영실태 1) 청·일유황의 밀수와 유황광 개발 2) 유황점의 경영실태 제4장 군아문 군수산업의 몰락과 계인(契人)·별장제하(別將制下)의 광공업 발전 제1절 군아문 군수산업의 몰락 제2절 월과계인(月課契人)의 방납권 확대와 수가제납(受價製納) 실태 1) 월과계(月課契)의 방납권 확대와 수가액(受價額) 2) 월과계인(月課契人)의 수가제납(受價製納) 실태 제3절 별장제하(別將制下) 광산의 경영실태 1) 은점의 경영실태 2) 연은(鉛銀)의 수세 및 판로 제5장 18세기 말 19세기 초 ‘물주(物主)’제하 자본제적 민영광업실태 제1절 은(銀) · 동(銅)점의 물주제(物主制)와 수령수세제 성립 1) 은점의 물주제와 수령수세제 성립 2) 동점(銅店)의 물주제와 수령수세제 성립 제2절 사금점(砂金店)의 물주제와 수령수세제 성립 제3절 물주제하 금·은·동점의 경영실태 1) 혈주(穴主)·덕대(德大)와 물주(物主)·광군(鑛軍)의 성격 2) 금·은·동점의 운영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