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7423 | |
005 | 20230912093803 | |
007 | ta | |
008 | 230426s2023 ggkad b 000c kor | |
020 | ▼a 9788950906566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6694588 | |
040 | ▼a 241018 ▼c 241018 ▼d 241018 ▼d 211009 | |
082 | 0 4 | ▼a 303.49519 ▼2 23 |
085 | ▼a 303.4953 ▼2 DDCK | |
090 | ▼a 303.4953 ▼b 2023 | |
110 | ▼a 코리아다이나미즘포럼 | |
245 | 1 0 | ▼a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 ▼b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 ▼d 코리아다이나미즘포럼 편저 |
260 | ▼a 파주 : ▼b 21세기북스 : ▼b 북이십일, ▼c 2023 | |
300 | ▼a 358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490 | 1 0 | ▼a KI신서 ; ▼v 10807 |
500 | ▼a 기획: 성공경제연구소 | |
500 | ▼a 저자: 김영섭, 이근, 이장우, 강영철, 이홍, 정은성, 임명묵, 윤종인, 윤명오, 홍길표, 최대석, 로스 킹 | |
504 | ▼a 참고문헌: p. 354-355 | |
700 | 1 | ▼a 김영섭, ▼d 1950-, ▼e 저 ▼0 AUTH(211009)85236 |
700 | 1 | ▼a 이근, ▼g 李根, ▼d 1963-, ▼e 저 ▼0 AUTH(211009)155990 |
700 | 1 | ▼a 이장우, ▼g 李章雨, ▼d 1957-, ▼e 저 ▼0 AUTH(211009)144251 |
700 | 1 | ▼a 강영철, ▼g 姜榮哲, ▼d 1956-, ▼e 저 ▼0 AUTH(211009)62868 |
700 | 1 | ▼a 이홍, ▼g 李洪, ▼d 1959-, ▼e 저 ▼0 AUTH(211009)140126 |
700 | 1 | ▼a 정은성, ▼d 1961-, ▼e 저 ▼0 AUTH(211009)155991 |
700 | 1 | ▼a 임명묵, ▼d 1994-, ▼e 저 ▼0 AUTH(211009)116717 |
700 | 1 | ▼a 윤종인, ▼g 尹鍾寅, ▼d 1964-, ▼e 저 ▼0 AUTH(211009)155992 |
700 | 1 | ▼a 윤명오, ▼g 尹明悟, ▼d 1958-, ▼e 저 ▼0 AUTH(211009)155993 |
700 | 1 | ▼a 홍길표, ▼g 洪吉杓, ▼d 1964-, ▼e 저 ▼0 AUTH(211009)111627 |
700 | 1 | ▼a 최대석, ▼g 崔大錫, ▼d 1956-, ▼e 저 ▼0 AUTH(211009)34331 |
700 | 1 | ▼a King, Ross, ▼d 1961-, ▼e 저 ▼0 AUTH(211009)87887 |
830 | 0 | ▼a KI신서 ; ▼v 10807 |
900 | 1 0 | ▼a 킹, 로스, ▼e 저 |
945 | ▼a ITMT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3.4953 2023 | Accession No. 11187984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한민국이 다음 단계로 도약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경제경영전문가 네트워크인 성공경제연구소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미래에 탁견을 지닌 각 분야의 전문가 12인이 의기투합하여 결성한 코리아다이나미즘포럼은 현시대에 꼭 필요한 국가 성장을 제언으로 이 책을 펴냈다.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의 날카로운 시각과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분석한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에는 선진국 문턱에 선 대한민국의 현주소와 국제적 역할·정치·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과 국가 비전이 담겨 있다. 책 속에 빼곡하게 담긴 나라 걱정과 미래에 대한 고민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 사회와 경제를 폭넓게 바라보는 시야가 생겨 대변화의 시대에 올바른 길을 찾을 수 있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대한민국이 다음 단계로 도약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더 멀리, 높게 날기 위해, 우리에겐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하다!”
국내외 위기 요인들을 극복하고 차별화된 선진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국가 비전 방향을 제시하다
대한민국은 경제 규모 세계 10위권, 1인당 국민 소득 4만 5,000불 달성, 세계 5위 연구개발비 규모의 과학기술 대국, 한류의 문화강국 이미지 구축 등 유례없는 빠른 압축성장을 이루어 왔다. 그 결과 2021년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대한민국의 지위를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변경하며, 공인된 ‘선진국’이라는 지위를 얻게 되었다. 선진국 담론은 아주 오래되었지만, 아직도 우리가 진짜 선진국인가에 대한 물음에는 선뜻 ‘그렇다’라고 답하기 어렵다. 끊임없는 대외적 위기 요인들과 밝지 않는 전망 탓에 국가 정세가 불안하기 때문이다. 이럴 때일수록 국가는 선진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이며 장기적 방향 제시를 해야 하지만, 미봉책에 불과한 단기적이고 단편적인 문제 해결에만 급급한 실정이다.
경제경영전문가 네트워크인 성공경제연구소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미래에 탁견을 지닌 각 분야의 전문가 12인이 의기투합하여 결성한 코리아다이나미즘포럼은 현시대에 꼭 필요한 국가 성장을 제언으로 이 책을 펴냈다.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의 날카로운 시각과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분석한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에는 선진국 문턱에 선 대한민국의 현주소와 국제적 역할·정치·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과 국가 비전이 담겨 있다. 책 속에 빼곡하게 담긴 나라 걱정과 미래에 대한 고민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 사회와 경제를 폭넓게 바라보는 시야가 생겨 대변화의 시대에 올바른 길을 찾을 수 있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대한민국, 이름뿐인 선진국이 될 것인가?
위기의 대한민국을 기회로 바꿀 새로운 ‘코리아 다이나미즘’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은 경제경영전문가 네트워크인 성공경제연구소를 중심으로 의기투합하여 각 분야의 전문가 12인이 코리아다이나미즘포럼을 결성해 출간한 책이다. 갈수록 심해지는 갈등 구조의 고착화, 집단 이기주의와 탐욕의 정치, 청년층의 실망과 멈추지 않는 저출산,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의 변화 위기에 걱정을 치열한 담론 끝에 이 책으로 의견을 모았다.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의 날카로운 시각과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톺아본다.
대한민국은 경제 규모 세계 10위권, 1인당 국민 소득 4만 5,000불 달성, 세계 5위 연구개발비 규모의 과학기술 대국, 한류의 문화강국 이미지 구축 등 유례없는 빠른 압축성장을 이뤄왔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이루어진 저자들은 입을 모아 한국이 유례없는 현재의 위기에 봉착하게 된 원인은 위기를 기회로 바꿔왔던 ‘코리아 다이나미즘’의 쇠퇴에 있다고 지적한다. 성장동력 엔진이 꺼져가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 문화, 행정, 사회심리, 정치·안보 등이 동시에 대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마치 새로운 심장으로 갈아 끼우는 양태로 완전히 새로운 ‘다이나미즘’으로 갈아타야 한다고 역설한다.
“지속 가능성 위협 개혁”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저출산·고령화 앞에 선 ‘청년의 삶’은 어디로?
이 책의 중심에는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다. 구조적 변화를 동반하는 전환기적 상황이 ‘지속 가능 개발’을 통해 통합 발전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하여, 전환기 대한민국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여 한국형 ‘지속 가능 발전 모델’을 모색한다. 이제는 일방적인 경제 성장보다는 경제·사회 전반의 영역에서 지속 가능성을 염두에 둔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도시와 농촌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건축 및 주거 규제 등을 개선하는 노력이,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서는 시장 자본주의로의 전환과 정부의 개입 최소화가, 국가와 정치권이 국가 경제를 망가뜨리지 않도록 확실한 경계가, 경제적 성장과 환경 개선을 위한 공생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대한민국에서 지속 가능성의 위기가 가장 극단적으로 표출되는 가장 큰 난제가 바로 저출산·고령화와 청년의 삶이다. 주목해야 할 점은 청년의 삶이 팍팍해질수록 저출산과 고령화의 문제는 서로 맞물려 깊은 수렁으로 빠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동안 정부가 「저출산·고령 사회 기본법」을 제정하고, 16년 동안 280조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 지출했지만, 합계출산율은 최저점을 찍고 있다. 이러한 정책 실패는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생각과 인식의 대전환이 요구된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을 대한민국 재구축이라는 해결책으로 풀어내고 있다. 청년들의 실질적인 삶의 기반으로 한 공간 재구축으로 인구의 지역분산을 이뤄낸다면 다방면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반도를 벗어나 더 큰 세상으로 향하는 세계화 전략
전 세계의 K-열풍 이어가기 위해서는?
이 책은 대한민국이 차별화된 일류 선진국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내부적으로는 안보와 평화를 지켜나가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고, 외부적으로는 대한민국이 가진 문화적 특성과 창의성을 전 세계와 공유하며 큰 그림을 그려야 할 때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평화와 안보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오늘날의 한반도 상황을 돌아보면서 우리가 평화의 목표를 제대로 세웠는지, 평화를 만들기 위한 정부의 정책에는 문제가 없었는지 냉철하게 분석하고 정책의 방향성을 점검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대한민국의 문화적 열풍인 K-팝, K-시네마, K-드라마, 웹툰 등이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받으며 문화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지만 그에 따라 한국어의 입지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는 사실은 정작 놓치고 있다. 한국어 수요의 폭발적인 급증에도 불구하고 북미나 유럽에서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하는 정책 기반은 사실상 전무하다는 것을 지적하며, 소프트 파워의 기반은 언어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류가 단지 '유행'에 그치지 않고 진정한 문화선도자로 올라서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한국어 교육 지원’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은 대전환기의 대한민국을 통찰하는 거시적인 안목을 선사하며, 국내외적인 변화의 흐름을 읽고, 다음 시대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대한민국의 미래 목표를 새롭게 설정하고 나아가야 할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근(지은이)
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이다. 동 대학교 국제학연구소장 및 국제협력본부장을 역임하였고, 외교부 산하 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의 이사장을 하였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국방부자문위원, 미래기획위원 등으로도 활동하였고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의 한국위원회 의장 및 지역거버넌스 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민간 싱크탱크 미래전략연구원장을 하였고, 2012년 동아일보가 뽑은 ‘10년 뒤 한국을 빛낼 인물 100인’에 선정된 바 있다.
이홍(지은이)
경영 일선에서 간과되기 쉬운 비즈니스의 맥을 짚어주는 국내 최고의 경영 멘토. 고려대학교와 KAIST를 졸업하고, 현재 광운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삼성인력개발원, LG그룹, CJ그룹, 포스코, 한전 등에서 자문교수를 하였고 한국지식경영학회장과 중견기업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정부혁신관리위원회 위원장으로 정부혁신에 기여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 사업재편심의위원회 위원장으로 한국 기업들의 사전 구조조정 업무에도 관여하였다. 한국장학재단 비상임 이사직을 수행하면서 대학생들의 장학지원 업무도 수행하였다. 저서로 《언박싱》, 《국가경쟁력, 중견기업에서 답을 찾다》, 《세종에게 창조습관을 묻다》, 《초월적 가치경영》, 《비즈니스의 맥》, 《창조습관》, 《자기창조 조직》, 《지식과 창의성 그리고 뇌》, 《지식점프》 등이 있다.
김영섭(지은이)
현 건축문화설계사무소 대표이다.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로 지냈으며, 최근 서울시 도시건축전시관 관장을 역임했다. 건축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을 결성했으며, 제4차 IAA 국제심포지엄 서울대회 조직위원장, 초대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한강르네상스 마스터플래너, 행정안전부 공공디자인포럼위원회 위원장, 서울시 공공디자인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으며 제주도 경관위원회 위원장, 행정개혁시민연합 공동대표, 동계올림픽 강릉도심재생 공동위원장 ‘월하거리’ 조성, 일본 도쿄 임해 부도심 신도시 계획 초청 건축가, 중국 심양시 어린이궁전 국제설계 지명건축가, 서울 동대문운동장 국제설계경기 심사위원 및 설계 추진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김수근건축상, 한국환경문화대상, 한국건축문화대상, 건축가협회상, 건축사협회 최우수상, 서울시건축상, 가톨릭미술상 등을 수상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이미지사(Image Publishing) 선정 세계 마스터 건축가 100권 시리즈 작품집을 출간했으며, 세계 건축가 1000 인명사전 마스터 아키텍트에 등재했고, 일본 Art Design이 선정한 ‘세계 건축가 51인’에 선정되었다.
로스 킹(지은이)
현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BC) 아시아학과 한국어문학 교수이다. 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콘코디아 언어마을(Concordia Language Villages) 전국자문회 위원이고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터유니버시티센터(The Inter-University Center for Korean Language Studies at SKKU, ‘IUC at SKKU’)의 공동설립자며 해외위원회 공동의장으로 있다. 콘코디아 언어마을 “숲속의 호수”라는 한국어 마을의 설립자이자 1999년부터 2014년까지 15년간 ‘촌장’으로 일했다. 2022년 가을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 선생을 기리는 제44회 외솔상을 외국인 처음으로 실천 부문에서 수상받았다. 한국어와 한글의 역사 연구, 해외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교육과 보급 등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https://ubc.academia.edu/RossKing).
홍길표(지은이)
현 백석대학교 경상학부 교수이자 (재)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기업가정신연구소 소장이다. 행정안전부, 인사혁신처, 산림청 등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교육부, 통일부 등 기타 공공 기관 경영평가단장을 역임하였다.
임명묵(지은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언어문명학부에서 서아시아 지역학을 전공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20세기 소련의 무슬림 지역의 근대화지만 역사, 국제정치, 대중문화 전반에 대한 다양한 관심사를 바탕으로 책을 쓰고 조선일보, 중앙일보, 시사저널 등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시진핑 시대 중국의 전환을 다룬 『거대한 코끼리, 중국의 진실』(2018)과 90년대생 한국 청년의 세계 인식을 비롯하여 현대 한국을 주제로 한 사회비평서인 『K를 생각한다』(2021)이 있다.
강영철(지은이)
KDI 국제정책대학원 초빙교수다. 매일경제에서 세계지식포럼과 비전코리아 국민보고대회를 조직했으며 경제부장, 논설위원을 역임했다. 풀무원으로 옮겨 미국법인 대표를 맡아 미국 내 인수 합병과 사업 확장을 지휘했다. 언론과 민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일하고자 2014년 7월부터 3년간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장으로 규제개혁에 노력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신문사 기자 재임 중 미국으로 유학 피츠버그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이윤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및 정의로운 기업시스템’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풀무원 재직 중에 하버드 경영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을 이수했다. 주요 저서로는 헨리 스튜어트(Henry Stuart)의 『해피 매니페스토(Happy Manifesto)』라는 직장 내 행복관리에 대한 번역서와 『함께 못사는 나라로 가고 있다』 , 『정부사용매뉴얼』 등이 있다.
이장우(지은이)
현 성공경제연구소 이사장이자 세계문화산업포럼(WCIF) 의장이며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 이사장과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경북대학교 경상대학 경영 학부 명예교수이며 1995년 학계를 대표해 벤처기업협회 설립에 참여했다. 2002년 (사)한국문화산업포럼의 설립을 통해 한류 문화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과 민간 네트워크 구축에 노력했다. 한국경영학회 회장, 전자부품연구원 이사장,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 등을 역임했다.
정은성(지은이)
(주)에버영코리아의 창립자이자 현 대표이사이다. 나이, 성, 학력 차별이 없는 세상을 위해 일하고 있다. 세계적인 ESG 기업 인증기관인 비콥(B Corp) 한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고, (사)비랩코리아 이사장으로서 기업의 변화를 통한 자본주의 및 사회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대중 대통령 비서실 통치사료비서관을 역임했으며, 국회보좌관과 국회정책연구위원으로서 정치개혁 관련 법안 작성 업무를 맡아 선거법과 정치자금법 개정에 이바지하였다. 정치학, 국제관계학, 정책학, 협상학 등의 분야에서 교수 및 연구 활동을 했고 『협상의 전략』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들을 저술하였다.
윤종인(지은이)
현 이화여대 정책대학원 초빙교수이다. 1988년 공직을 시작하여, 청와대 행정자치비서관,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지방자치분권실장·차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상임위원(차관급)·위원장(장관급)을 역임하였다. 정부조직 전문가로 김대중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정권 변동기 정부조직 개편에 직접 참여하였고, 노무현 정부의 정부혁신, 박근혜 정부의 정부3.0과 데이터 개방, 문재인 정부의 디지털 정부혁신을 추진하였다. 박근혜 정부 행정자치비서관으로 공무원연금 개혁을 지원하였으며, 행정안전부 차관으로 재직 시에는 지방자치법 전면개정 등 자치분권 확대를 위해 노력하였다. 2020년 장관급 중앙행정기관으로 독립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으로 임용되어 2년간 조직의 전문성과 독립성 향상을 위하여 기여하였다. 역사학도로서 역사의 필연성보다는 합리적 이성, 공감과 유대에 입각한 역사진보의 가능성을 믿고 있다.
윤명오(지은이)
현 서울시립대학교 명예교수이다. 그 외 한국119청소년단 총재, 한국생활안전연합 공동대표, 원자력기술 전문위원 및 문화재 재난안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에서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한주택공사와 명지대학교건축학과 교수를 거쳐, 1997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로 부임한 이후 방재공학과, 재난과학과, 소방방재학과와 서울시 조례기관인 도시방재안전연구소를 설립하고 동 대학교 연구소장을 역임했다. 2002년 민간부단장(1급)으로 소방방재청 창설을 주도했고, 원자력안전위원회 초대위원, 대통령직속 규제개혁위원 및 한국화재소방학회장, 한국 화재보험협회 기술고문을 역임했다.
최대석(지은이)
현 (사)경제사회연구원 이사장이자 이화여대 명예교수이다. 통일연구원 책임연구원을 시작으로 동국대와 이화여대에서 북한과 통일 문제를 연구하였다. 이화여대에 재임하면서 통일학연구원장, 사회대 학장, 대외부총장을 지냈으며, 한국정치학회 연구이사, 북한연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통일부, 외교부, 국가안보실 자문위원을 두루 거쳤으며, 2016년 남북교류에 기여한 공로로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다.
코리아다이나미즘포럼(지은이)
이 책의 집필진이 중심이 되어 한국의 성장동력을 활성화하고 선진국으로서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개방적 네트워크 조직으로서 한국 특유의 다이나미즘을 지키고 확장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자 한다.
성공경제연구소(기획)
2009년 (재)창조경제연구원 설립 이후 축적한 창조화 혁신 관련 정책연구들을 기반으로 2015년 1월 사단법인으로 출범했다. 설립목적은 각 경제주체들이 선한 뜻과 의지를 실현함으로써 경제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촉진하고 성공경험을 세계적으로 공유하는 데 있다.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제고시키면서 사랑받는’ 주체가 되고, 국민들은 ‘스스로 성공하는 삶을 살아감으로써 행복한’ 존재가 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정책연구보고서로서 「공유경제 현황 및 시사점 연구」를 발표했으며, 한국 경제가 성공경제로 발전하는 데 기여하고자 2015년 7월부터 성공경제포럼을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홈페이지(www.successeconomy.com)에서 도서 관련 동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발간사 머리말 1장 세계로 향하는 선진 대한민국의 비전 ‘강대국 대한민국’으로 가는 길 대한민국을 어떤 선진국으로 만들 것인가? 2장 지속 가능한 한국 경제 정주와 평화가 함께 지속 가능한 공화의 세계 규제 개혁으로 시장 자본주의를 완성하자 국가 경제를 망치는 주범: 포퓰리즘과 정치 자본주의 3장 저출산·고령화 문제와 청년의 삶 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 방안 청년 삶의 미래와 국가 공간 재설계 4장 국민 안전과 디지털 행정 데이터 시대, 인간과 공동체에 주목하자 재난극복을 위한 국가 안전 레질리언스 전략의 지향점 ‘빠름’과 ‘오롯함’의 부조화,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5장 강대국화와 한반도 평화 어떤 한반도 평화를 만들어갈 것인가? 탈민족어·탈국어로서의 한국어와 소프트 파워 맺는말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