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6147330 | |
005 | 20230424163040 | |
007 | ta | |
008 | 230424s2023 ulka AK 001a kor | |
020 | ▼a 9788952131751 ▼g 04000 | |
020 | 1 | ▼a 9788952129451 (세트)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03.482 ▼2 23 |
085 | ▼a 303.482 ▼2 DDCK | |
090 | ▼a 303.482 ▼b 2023z2 | |
110 | ▼a 서울대학교. ▼b 인문대학 ▼0 AUTH(211009)114555 | |
245 | 1 0 | ▼a 문화의 유통 : ▼b 그 과정과 변이 / ▼d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편 |
260 | ▼a 서울 : ▼b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c 2023 | |
300 | ▼a 306 p. : ▼b 삽화 ; ▼c 22 cm | |
490 | 1 0 | ▼a 인문학 공동연구 총서 ; ▼v 03 |
500 | ▼a 집필진: 강정원, 구도영, 권오영, 김성엽, 박흥식, 서원모, 안성두, 양일모, 이승재, 이연승, 정민, 조현설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강정원, ▼g 姜正遠, ▼d 1963-, ▼e 저 ▼0 AUTH(211009)128667 |
700 | 1 | ▼a 구도영, ▼e 저 |
700 | 1 | ▼a 권오영, ▼g 權五榮, ▼d 1962-, ▼e 저 ▼0 AUTH(211009)63152 |
700 | 1 | ▼a 김성엽, ▼e 저 |
700 | 1 | ▼a 박흥식, ▼g 朴興植, ▼d 1963-, ▼e 저 ▼0 AUTH(211009)40481 |
700 | 1 | ▼a 서원모, ▼g 徐元模, ▼d 1961-, ▼e 저 ▼0 AUTH(211009)73792 |
700 | 1 | ▼a 안성두, ▼g 安性斗, ▼d 1957-, ▼e 저 ▼0 AUTH(211009)91199 |
700 | 1 | ▼a 양일모, ▼g 梁一模, ▼d 1962-, ▼e 저 ▼0 AUTH(211009)98063 |
700 | 1 | ▼a 이승재, ▼g 李丞宰, ▼d 1955-, ▼e 저 ▼0 AUTH(211009)16969 |
700 | 1 | ▼a 이연승, ▼g 李姸承, ▼d 1963-, ▼e 저 ▼0 AUTH(211009)8558 |
700 | 1 | ▼a 정민, ▼g 鄭珉, ▼d 1961-, ▼e 저 ▼0 AUTH(211009)90481 |
700 | 1 | ▼a 조현설, ▼g 趙顯卨, ▼d 1962-, ▼e 저 ▼0 AUTH(211009)7520 |
830 | 0 | ▼a 인문학 공동연구 총서 ; ▼v 03 |
945 | ▼a ITMT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2 2023z2 | 등록번호 1118797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간은 언어, 풍습, 종교, 사상, 예술, 제도 등 방대한 문화적 실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교환하고 유통시키며 세상을 발전시켜 왔다. 일상적으로 접하는 놀이와 음악, 커피와 의복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 주변에서 만나는 문화 요소는 유통 과정을 통해 내용이 더욱 채워지고 지역을 넘어 세계 전역으로 이동해 왔다.
문화의 유통 및 이동은 인간을 소통시키고 통합하는 과정인 동시에, 타 문화 혹은 타 집단에 대해 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 책에서는 ‘넘나드는 문물과 문화’, ‘문화의 수용과 재창조’, ‘종교 문화의 교류와 재해석’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경계를 넘어 문화가 수용되고 재창조되는 역동적인 과정을 살펴본다.
경계를 넘어 문화가 수용과 재창조되는
그 역동적인 과정을 살펴본다
인간은 언어, 풍습, 종교, 사상, 예술, 제도 등 방대한 문화적 실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교환하고 유통시키며 세상을 발전시켜 왔다. 일상적으로 접하는 놀이와 음악, 커피와 의복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 주변에서 만나는 문화 요소는 유통 과정을 통해 내용이 더욱 채워지고 지역을 넘어 세계 전역으로 이동해 왔다. 문화의 유통 및 이동은 인간을 소통시키고 통합하는 과정인 동시에, 타 문화 혹은 타 집단에 대해 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 책에서는 ‘넘나드는 문물과 문화’, ‘문화의 수용과 재창조’, ‘종교 문화의 교류와 재해석’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경계를 넘어 문화가 수용되고 재창조되는 역동적인 과정을 살펴본다.
집필진(가나다순)
강정원 서울대 인류학과 교수
구도영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권오영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
김성엽 서울대 서양사학과 조교수
박흥식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
서원모 장로회신학대 신학과 교수
안성두 서울대 철학과 교수
양일모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
이승재 서울대 언어학과 명예교수
이연승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정 민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현설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정보제공 :

목차
서설 / 박흥식 [넘나드는 문물과 문화] 바다를 통해 이동한 유리구슬 / 권오영 차투랑가의 유럽화: 서양 장기의 변천과 재해석 / 박흥식 명나라의 조선 드레스 열풍: 한중 교류와 문화적 변용에 대하여 / 구도영 음식 민속문화의 전파와 발전: 밥·국 상차림을 중심으로 / 강정원 [문화의 수용과 재창조] 한자음 성조의 수용과 그 한국화 과정: 성조에서 악센트로 / 이승재 뱀 의례와 한국 신화 네트워크 / 조현설 동서 철학의 만남: 19세기 말 일본의 서양철학 수용과 이해 / 양일모 재즈, 미국 흑인 하위문화의 탈국가적 상상력 / 김성엽 [종교 문화의 교류와 재해석] 중국에서 인도불교의 수용과 변용: 식과 여래장 개념의 융합을 중심으로 / 안성두 명청대 동서 교류: 『초성학요』와 「월리역지」를 중심으로 / 서원모 프레메어의 ‘유교’ 이해 / 이연승 접촉과 접속: 서학서 『칠극』과 조선 지식인 / 정민 찾아보기 발간사